•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학습목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학습목표"

Copied!
24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11주차.

한국어 문장구조(3):

문법요소(2)

(2)

1. 한국어 높임법과 그에 따른 문법형태소를 안다.

2. 한국어 부정법과 그에 따른 문법형태소를 안다.

3. 한국어 피동법과 사동법과 그에 따른 문법형태소를 안다.

학습목표

(3)

11주차.

한국어 문장구조(3):

문법요소(2)

(4)

2 1

한국어 문법 범주

2.4 높임법

 높임법의 방법에 따른 분류

문법적인 방법: ‘께서’나 ‘-(으)시-’ 등과 같은

문법형태소를 통해 높이는 방법

어휘적인 방법: ‘드리다, 모시다’ 등과 같이 낱말을

바꿔 높이는 방법

(5)

2.4 높임법

2) 높임법

󰋎 주체높임법

화자가 서술어의 주체(대체로 주어)를 높 여 말하는 법으로 주체높임선어말어미 ‘-(으)시-’를 붙

여 나타내고, 경우에 따라 높임의 특수 서술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주체에 대해서는 ‘께서’를 사용하

기도 한다.

예) 선생님이/께서 오신다.

할아버지는 집에/에서 계신다/주무신다.

2 1

한국어 문법 범주

(6)

2.4 높임법

 가정 내

Q. 다음의 상황에서는 압존법을 사용하여야 하는가?

예) (손자가 할아버지에게 말하는 상황) “할아버지, 아버지는 아직 안 들어왔다.”

{ }

압존법(壓尊法): 주체가 청자보다 낮은 지위에 있는 경우 ‘-(으)시-’를 사용하지 않는다.

2 1

한국어 문법 범주

(7)

2.4 높임법

 가정 밖

Q. 다음 중 맞는 표현은 어느 것인가?

① 가. (평사원이 사장에게 말하는 상황)

“사장님, 김 과장님은 외출하셨습니다.” ( ) 나. (평사원이 사장에게 말하는 상황)

“사장님, 김 과장님은 외출하였습니다.” ( )

② 가. (부장이 대리에게 말하는 상황) “김 대리, 김 과장 들어왔어요?” ( ) 나. (부장이 대리에게 말하는 상황) “김 대리, 김 과장님 들어오셨어요?” ( ) (cf. 엄마 친구가 하는 말: “엄마, 어디 나가셨니?”)

2 1

한국어 문법 범주

(8)

2.4 높임법

: 높여야 할 사람의 신체의 일부분이거나 소유물을 높이는 법

예) 우리 사장님은 마음이 무척 넓으시다.

할아버지께서는 귀가 어두우시다.

선생님은 모자가 참 많으시네요.

* ‘아프시다/편찮으시다’와 ‘있으시다/계시다’의 경우

예) 할아버지, 손자가 {있으십니까? , 계십니까}? [ ] 선생님께서는 지금 교실에 {있으십니다, 계십니다}. [ ] 아버지, 팔이 {아프세요, 편찮으세요}? [ ] 할머니께서 많이 {아프십니다, 편찮으십니다 }. [ ]

2 1

한국어 문법 범주

(9)

2.4 높임법

화자가 듣는 사람인 상대방에 대하여 높이거나 낮추어 말하는 법으로, 종결어미로

나타낸다.

예) 선생님, 저는 책을 읽는 것을 좋아합니다.

철수야, 나는 책을 읽는 것을 좋아한다.

󰋏 상대높임법

2) 높임법

2 1

한국어 문법 범주

(10)

1 1

한국어 문장 구조 2.4 높임법

 격식체와 비격식체

격식체 비격식체

높임 등급 예 높임 등급 예

높임

아주높임 (하십시오체)

합니다/합니까?/하십시오/

하십시다

두루높임

(해요체) 해요 예사높임

(하오체) 하오/하(시)오/합시다

낮춤

예사낮춤(하게체) 하네/하나?/하게/하세

두루낮춤

(해체) 해 아주낮춤(해라체) 한다/하느냐?/해라/하자

/하는구나

(11)

2.4 높임법

예) 여러분, 우리 모두 학교의 발전을 위해 노력합시다.

사장님, 9시까지 오십시오.(→ 오시지요/오시겠습니까?) 선생님, 저희들과 같이 갑시다.(→ 가시지요?)

* 명령형과 청유형의 ‘하십시오체’의 경우

(i) 공식적인 자리에서 여러 사람에게 요청하거나 권유할 때 사용하고, (ii) 윗사람 개개인에게는 권유나 의문형어미 등의 완곡어법을 사용한다.

 6등급체계

해라체 < 해체 < 하게체 < 하오체 < 해요체 < 하십시오체

2 1

한국어 문법 범주

(12)

2.4 높임법

화자가 서술어의 행위가 미치는 대상 (즉, 목적어나 부사어가 지시하는 대상)을 높여 말 하는 법으로, 높임의 특수 어휘를 이용한다.

부사어의 경우 ‘께’라는 조사를 사용한다.

예) 나는 할머니를 모시고 병원에 갔다.

나는 부모님께 결혼기념일 선물을 드렸다.

선생님, 하나만 여쭙겠습니다.

이렇게 뵙게 되어 영광입니다.

󰋐 객체높임법

2 1

한국어 문법 범주

(13)

2.4 높임법

󰋑 높임의 특수 어휘

: 대개 ‘-시-’를 포함

계시다(← 있다), 잡수시다, 드시다(← 먹다), 편찮으시다(← 아프다), 주무시다(← 자다), 돌아가시다(← 죽다), 말씀하시다(← 말하다)

2 1

한국어 문법 범주

(14)

2.4 높임법

󰋑 높임의 특수 어휘

: 높임의 특수 어휘와 함께 높임의 서술어 사용.

경우에 따라서는 문장 표현 자체가 달라지기도 한다.

예) 집이 어디니? → 댁이 어디신가요?

병에 걸렸다. → 병환이 나셨다.

이름이 무엇입니까? → 성함이 어떻게 되십니까?

병환(← 병), 진지(← 밥), 댁(← 집), 생신(← 생일), 연세, 춘추(← 나이), 성함(← 이름)

위의 특수 어휘 중 명사는 대체로 우리말이 낮춤말이고 한자어 가 높임말이다. 이러한 국어 생활이 과연 올바른 것인지 생각 해 보자.

2 1

한국어 문법 범주

(15)

2.5 부정표현

부정을 나타내는 말이 쓰여서 내용 전체 또는 일부를 부 정하는 문장을 만드는 방법

긍정문의 어순을 그대로 둔 채

① + 서술어

② 서술어 어간 +

2 1

한국어 문법 범주

‘아니(= 안)/못’

‘-지 아니하다(=않다)/못하다/말다’

아니다

짧은 부정/선행 부정

긴 부정/후행 부정

예) 철수는 노래를 안/못 부른다.

예) 철수는 노래를 부르지 않는다/못한다.

노래를 부르지 마라/말자.

예) 철수는 아이가 아니다.

(16)

2.5 부정표현

① ‘안’ 부정법 ② ‘못’ 부정법 ③ ‘말다’ 부정법

2 1

한국어 문법 범주

(17)

2.5 부정표현

단순 부정, 의지 부정

예) 영수는 학교에 안 갔다./가지 않았다.

① ‘명사+이다’의 부정: 명사

예) 철수는 학생이다. → 철수는 학생

② 용언의 부정

짧은 부정: + 용언

예) 철수는 노래를 부른다. → 철수는 노래를 부른다.

긴 부정: 용언 어간 +

예) 철수는 노래를 부른다. → 철수는 노래를 부르

2 1

한국어 문법 범주

+이/가 아니다

‘안’

‘-지 않다’

이 아니다

지 않는다.

(18)

2.5 부정표현

① 문장 제약: 명령문과 청유문에는 사용하지 못한다.

예) *밥 먹지 않아라. *밥 먹지 않자.

② 서술어 제약: 파생어와 합성어의 경우는 짧은 부정을 사 용하지 못하는 경향이 많다.

예) 나는 {거짓말하지 않았다. *안 거짓말했다.}

(cf. 나는 거짓말 안 했다.(○))

그는 운동선수치고는 별로 {재빠르지 않은, *안 재빠른} 사람이다.

이 옷은 {값싸지 않다, *안 값싸다}

(cf. 안 들어가다/내려오다, 안 독하다/상하다, 안 웃긴다/보인다(○))

2 1

한국어 문법 범주

(19)

2.5 부정표현

③ 시제표현

짧은 부정 : 서술어에 제시

예) 나는 거기에 안 간다/갔다/가겠다.

긴 부정: ‘않다’와 결합(-지 않는다/않았다/않겠다)

예) 나는 거기에 가지 않는다/않았다/않겠다.

*나는 거기에 가는지/갔지/가겠지 않다.

아래 문장의 경우는 어떠한가?

어제 정말 춥지 않았니?

어제 정말 추웠지 않니?

2 1

한국어 문법 범주

(20)

2.5 부정표현

④ 주체높임표현

짧은 부정 : 서술어에 제시

예) 할아버지께서는 몸이 안 불편하시다.

긴 부정 : 서술어와 ‘않다’ 모두 가능

예) 할아버지께서는 몸이 불편하지 않으시다.

할아버지께서는 몸이 불편하시지 않다.

할아버지께서는 몸이 불편하시지 않으시다.

2 1

한국어 문법 범주

(21)

2.5 부정표현

예) 영수는 노래를 못 부른다./부르지 못한다.

비가 와서 못 간다./가지 못한다.

짧은 부정: + 동사

예) 영수는 노래를 부른다. → 영수는 노래를 부른다.

긴 부정: 동사 어간 +

예) 영수는 노래를 부른다. → 영수는 노래를 부르

2 1

한국어 문법 범주

‘못’

‘-지 못하다’

지 못한다

(22)

2.5 부정표현

① 문장 제약: 명령문과 청유문에는 사용하지 못한다.

예) *밥 먹지 못해라. *밥 못 먹자.

② 서술어 제약: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서술어는 동사만 가능.

예) *나는 손이 못 예쁘다./예쁘지 못하다.

*영수는 못 학생이다./학생이지 못하다.

예) 고기가 우리가 먹기에는 넉넉하지/충분하지 못하다.

나는 물리학을 공부하기에는 머리가 그렇게 똑똑하지 못해.

2 1

한국어 문법 범주

(23)

생각해 봅시다 (1)

부정문의 의미는 부정이 미치는 범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아래 ①의 경우 초점이 놓이는 대상 즉, 부정하고자 하는 대상이 무엇이냐에 따라 문장 안의 각 성분에 대한 부정 의 해석이 달라져 여러 가지 의미를 나타낼 수 있다(국립국어 원 2005: 243). 이와 같은 부정문의 중의성의 예를 제시해 보고 어떠한 해석이 가능한지 알아보자. 그리고 아래 ②와 같 이 ‘다, 모두’와 같이 수량을 나타내는 말이 있을 경우의 중의성 에 대해서도 살펴보고 그 해결 방법도 알아보자.

예) ① 철수는 책을 사지 않았다.

② 친구들이 다/모두 모이지 않았다/못했다

.

(24)

2.5 부정표현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명령문과 청유문(동사)에서만 사용한다.

예) 떠들지 마세요.

나쁜 일을 하지 맙시다.

*나쁘지 마세요.(형용사) *학생이지 말자.(체언+이다) ② 긴 부정만 가능

③ 시제선어말어미와 결합이 불가능

예) *영이야, 사과를 먹었지/먹겠지/먹더지 마라.

2 1

한국어 문법 범주

참조

관련 문서

지금까지 군항도시 진해는 주로 일본해군의 군항도시계획과 그에 따른 형성 과정을 중심으로 연구되어왔다.. 이와 같은 연구들은 러일전쟁을 전후로 한 시기에

동아시아 여러 나라의 건축물과 생활

특히 도시근교는 각종 산업시설과 그에 따른 택지개발이 큰 규모로 실행되었 다.또한 국가의 정책적 일환으로 세웠던 건설행위는 이제 국토면적의 한계

7)본 연구에서 분단소설,전쟁소설,이산소설이라는 용어는 사용을 지양한다.전쟁의 결과를 소재의 차원으 로 분류하고 한정하기 때문이다.본 고에서는 원인과 그에

이 프로그램을 통해 축구화에 숨은 과학 원리를 이해하고, 우리 실생활 속 많은 경우에 과학 기술이 적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축구를 비롯한 스포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보조사 ‘도, 까지, 조차, 마저’의 의미․통사적 특징을 살피고, 한국어 학습자들의 사용 오류 양상 및 한국어 교재 분석을 토대로 이들

다. OOH에서 사용된 사진들의 출처가 제공되고 있다.. 업분류에 따른 O*NET 번호와 그에 따른 직업명을 제시하고 있으며, 해당 페이지를 제시하고 있어 직업정보원들의

본 논문에서는 영어와 한국어 형용사를 논의의 대상으로 하였다.영어와 한국어 형용사는 명확하게 구분된 범주가 존재하며,각각 통사적 그리고 의미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