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사회적 신뢰형성을 위한 북한이탈주민 공연예술단체의 활동 분석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사회적 신뢰형성을 위한 북한이탈주민 공연예술단체의 활동 분석"

Copied!
30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사회적 신뢰형성을 위한 북한이탈주민 공연예술단체의 활동 분석

I.

II.

III.

IV.

V.

국내 예술교류의 의미와 필요성

이론적 논의: 사회적 신뢰 형성과 예술의 공공목적 근거이론분석을 활용한 연구 설계

북한이탈주민 공연예술단체의 환경과 영향 이해 맺는말: 국내 예술교류의 방향성

(2)

75 [국문초록]

남북통일 과정과 통일 이후 도래할 민주시민사회에서 사회적 신뢰 형성은 한반도 사회통 합을 성공으로 이끌 핵심 조건 중 하나이다. 70년에 가까운 분단의 시간동안 축적된 애증의 감정 과 이질화된 문화는 남북한 주민의 상호 신뢰형성이 한반도 통일을 준비하는 과정에서부터 심층 적으로 논의되고 준비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는 사실을 알게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예술이 발현 하는 사회적 영향에 주목하고, 남북한 주민 간 신뢰형성 과정에 대한 북한이탈주민 예술단 공연 활동의 영향과 한계에 대해 이해하고자 한다. 예술에 내재된 ‘변화로 이끄는 힘(Transformative Power)’이 사회일반의 신뢰(Thin trust) 형성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가에 대해 이론적으로 고찰 하였다. 이 때, 예술의 공공목적과 비영리성(Bryce, 2006; Wyszomirski, 2000), 그리고 예술의 상 징성을 활용한 국가정체성(Offe, 1999; Putnam, 2000) 공유와 관련된 개념들이 사회적 신뢰 형성 과정에서 예술이 발현하는 사회적 영향을 설명해준다. 현황에 대한 이해를 주요 목적으로 한 본 연구의 사례분석은 해석주의적(Interpretivist) 관점을 통해 북한이탈주민 중심 예술단의 공연활 동에서 발견되는 내 · 외부적 환경을 분석하였다. 나아가, 구조주의적 근거이론방법(Constructiv- ist Grounded Theory)을 통해 이들 예술단 활동이 드러내는 사회적 신뢰 형성 과정에 대한 분석 적 이해를 제공한다.

[ 주제어 ] 사회통합, 신뢰, 북한이탈주민, 공연예술, 근거이론방법론

신혜선

투고일 : 2017.6.3. 심사일 : 2017.7.7. 게재 확정일 : 2017.8.2.

신혜선_숙명여자대학교 다문화통합연구센터 책임연구원/ 주저자(hyesun.shin@gmail.com)

사회적 신뢰형성을 위한 북한이탈주민 공연예술단체의 활동 분석 *

* 본 논문은 저자의 박사학위논문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음을 밝힙니다.

(3)

76

Ⅰ. 국내 예술교류의 의미와 필요성

「남북통합지수」(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2013: 131-132)에서 발표한 ‘사회문화양식의 동질 성’ 조사 항목을 살펴보면, ‘남북한의 사회문화 간 차이가 (거의)없다’고 답한 응답자 비율이 남한 주민은 13.0%, 북한이탈주민 7.9%로 나타나 남북한 주민 다수가 양측의 문화 차이를 체감하는 것 으로 드러났다. 또한 「2015 통일의식조사」(Ibid., 2016: 95)에 의하면 북한출신주민이 느끼는 남 북 이질성 인식 평균과 남한 주민들의 그것이 각각 93.6%와 87.6%로 나타나 상호이해 증진의 필 요성이 부각된다. 더 나아가 상대방 문화에 대한 인식을 질문했을 때, 남한주민 응답자의 27.3%

만이 북한문화를 경험한 적이 있다고 답한 반면, 북한이탈주민의 85.9%는 입국 전 남한문화를 접 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위의 조사결과를 종합해 볼 때, 결국 남북한의 문화차이에 대한 인 식은 남북한 주민이 공유하고 있으나, 남한주민의 북한문화에 대한 접근이나 경험 정도는 북한주 민에 비해 현저히 떨어져 이러한 불균형을 완화하기 위한 방안이 통일 준비과정에서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문화관광연구원에서 발간한 「남북문화공동체 형성을 위한 문화통합의 방향과 과제」연 구보고서에 따르면, 통일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남북사회통합을 위한 기반을 조성해야 하며, 지속 적인 문화교류를 통한 남북한 상호이해 증진이 함께 실천되어야 한다(박영정, 2012). 현재 한반도 통일을 준비하는 과정에 있는 우리사회에 남북관계 발전과 문화통합을 위해 필요한 사업으로 남 북문화 교류사업과 협력사업을 꼽을 수 있다(Ibid.). 그러나 한반도 분단 이후 약 70년이 지나는 동 안 남북한 문화교류를 포함한 민간교류는 한반도를 둘러싼 정세와 남북관계의 변화에 취약함을 드러냈다. 2016년 2월 남북교류의 마지막 보루였던 개성공업지구마저 폐쇄 결정되면서 간헐적으 로 시행되는 이산가족상봉 사업 외에 공식적인 남북한 민간교류 기회는 잠정 중단상태에 이르렀 다. 비록 2017년 5월 문재인 정부 출범 후 통일부가 내놓은 통일정책의 방향성이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 틀 안에서 유연한 민간교류 시도’(정인환, 2017.5.22.)라고 발표된 후 남북한 민간교류 회복 에 대한 기대가 고무되어 있기는 하나, 경험에 비추어 이제는 방문교류 사업에만 의존할 것이 아니 라 남북관계에 영향을 적게 받는 대안적 교류활동이 동시에 시행되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따 라서 본 연구에서는 남북한 민간교류의 대안방안으로 남한에서 활동 중인 북한이탈주민 중심 예

(4)

77 술단체1)를 주목하고 그들의 예술 활동이 통일 전 · 후 한반도 사회통합 과정에 기여할 수 있는 사회 적 영향과 한계, 그리고 이것이 실현되는 환경적 배경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국제문화교류의 이론적 개념으로 빈번히 차용되는 나이(Nye, 2004)의 ‘소프트파워(Soft Pow- er)’ 개념은 경제나 무력 제재와 같이 위협을 통한 설득과 구별되는 힘으로, 내가 혹은 우리가 제시 한 가치와 목적에 대해 상대가 자발적인 동의에 이르도록 유도하는 힘을 의미한다. 이러한 ‘공동 으로 선택하도록 하는 힘(Co-optive Power)’은 문화자원, 예를 들어 예술을 매개로 활용할 때 발 현되기도 하는데, 상대가 자의적으로 동의에 이르는 과정에서 예술이 상호이해를 촉진시키고 신 뢰를 증진시키는 등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렇게 변화로 이끄는 힘(Transformative Power)은 예 술의 사회적 영향으로 개인과 공동체, 사회의 단위에서 관찰된다(Matarasso, 1997; McCarthy et al., 2004; Belfiore & Bennett, 2008). 본 연구는 이처럼 예술에 내재되어 있는 ‘변화를 유도하는 힘 (Transformative Power)’을 중심에 둔 문화교류 레토릭(Rhetoric)을 국제적 맥락에서 국내로 옮겨 와 예술 활동을 매개로 한 남북한 주민 간의 상호신뢰 형성에 대해 탐구하였다. 다시 말해, 상이 한 사회 · 문화 영향아래 있었던 사람들 간의 이해와 신뢰를 촉진하고, 상호 배타적 문화로 인한 간극을 좁히는 데에 예술교류의 매개적 역할을 관찰하고 논의한 것이다. 남북통일을 준비하는 과 정과 통일 이후 민주시민사회에서 사회통합을 위한 국민 간 신뢰형성은 매우 중요한 사회적 자 본이라는 인식아래, 국내에서 활동 중인 북한이탈주민 예술단의 공연활동을 ‘변화로 이끄는 힘 (Transformative Power)’을 내포한 문화자원으로 보았다. 그리고 그들의 예술 활동으로부터 남북 한 주민 간 상호이해와 신뢰형성 과정에서 기대할 수 있는 부분과 한계점으로 도출되는 장애요인 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였다.

남한사회라는 장소적 맥락과 통일의 선상에서 남북한 사회통합이라는 의미적 맥락 가운데, 북한이탈주민 중심 예술단의 공연이 갖는 의미와 역할을 현상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해석주의 접 근으로 정성연구방법을 채택하였다. 덴진과 링컨(Denzin & Lincoln, 2000)이 정의한 바에 의하면, 질적 연구란 자연적인 상황, 즉 있는 그대로의 대상에 대해 연구하며, 또한 사람들이 의미를 부여 한 그 상황을 이해하고 납득하려는 시도이다. 이해의 대상이자 정성연구방법에서 관찰하는 ‘자연 스러운 환경, 상황(Settings)’은 공간적 제한을 포함한 구성 또는 계획(Setup)이 주어진 그대로의 것으로, 질적 연구자가 반복적으로 연구 참여자들과 교류하고 소통하는 물리적 공간을 가리킨다

1) 북한이탈주민 ‘중심’ 예술단체로 지칭한 이유는 연구자가 참여관찰조사 과정 중 발견한 사실과 관련하여 현실적 상황을 조금 더 명확히 반영하고자 하는 목적에서이다. 국내 북한이탈주민이 운영하는 예술단체의 적지 않은 경우가 실제 북한 이탈주민만으로 구성되어 있기 보다는 중국동포나 남한출신의 예술인이 포함되어 있음을 인터뷰와 참여관찰을 통해 발 견할 수 있었다. 예술단 구성원의 출신지역이 다를지라도 해당 예술단들이 표방하고 전달하는 것이 ‘북한예술’이라는 점 을 들어 본 연구논문에서는 ‘북한이탈주민 중심 예술단체’라고 기재하기로 하며, 문장의 길이를 고려하여 ‘북한이탈주민 예술단’으로 작성할 때에도 단원들의 구성원이 모두 북한이탈주민이 아닌 경우 역시 포함하고 있음을 밝힌다.

(5)

78

(Creswell, 2013). 따라서 연구자는 관찰하는 환경과 상황에 대해 어떠한 조작이나 임의적 변형을 가하지 않고, 완전하지 않으나 있는 그대로의 자연스러운 환경 안에서 관찰하고 연구 참여자와 교 류하고 소통함으로써 자료를 수집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정성연구방법론에 의지하여 남한에서 활동하는 북한이탈주민 중심 예술단을 둘러싼 배경 및 구조적 환경에 대해 이해하고자 하며, 또 한 예술단원들 및 협력단체 전문가들과의 면담을 통해 예술단 활동의 현재(Status Quo)와 현상적 이해를 목적으로 한다.

Ⅱ.이론적 논의: 사회적 신뢰 형성과 예술의 공공목적

1. 사회적 신뢰 형성과 국가 정체성

신뢰(Trust)라는 주제는 그에 대한 측정이 어렵고 또한 상황적 맥락 가운데에서도 관찰이 쉽지 않 은 이유로 사회과학 분야에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난다(Luhmann 1988). 그렇다 고 해서 정치학이나 사회학 분야에서 신뢰라는 주제에 대한 연구가 전무한 것은 아니다. 시민과 정부 간 신뢰에 대한 연구(Dunn, 1988; Hardin, 1999)를 비롯하여 시민사회 내 사람들 간의 신뢰에 대한 논 의(Luhmann, 1988; Putnam, 1993 & 2000) 등 해당 주제에 대한 지속적인 접근과 연구가 진행되고 있 다. 이 중, 퍼트냄(Putnam, 1995)은 우리가 다른 사람들과 연결이 강하게 되면 될수록 그 대상들을 더 욱 신뢰하게 되고 같은 현상이 상대에게도 발생한다고(Sztompka, 1999: 15 재인용) 기술하였다. 그 의 주장은 사람들 사이의 연결성, 즉 네트워크가 강하게 발현될수록 신뢰형성관계가 뚜렷하게 나타 나는 현상에 대한 설명이라고 볼 수 있다. 이 같은 이유로 시민사회와 공동체 생활에 참여하는 사람들 에게서 더욱 분명하고 깊이 있는 신뢰와 상호존중의 경향이 드러나는 것이다(Putnam, 2000).

이러한 사회적 신뢰는 민주정치사회(A Democratic Political Society)에서 본질적이고 중요한 역할 을 담당한다는 견해에 많은 동의를 얻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Almond & Verba, 1965; Inglehart, 1988;

Parry, 1976; Silver, 1985; Sztompka, 1999 재인용). 예를 들어, 공산주의 이후 사회의 사회질서에서 나 타나는 ‘신뢰’를 주제로 이론적 논의와 실증연구을 시행한 츠톰프카(Sztompka, 1999)에 의하면, 신뢰 는 시민문화, 시민사회, 문화자본, 사회자본, 그리고 사회에 나타나는 시민의 문명역량의 주요 요소 이며, 또한 후기 자본주의 가치와도 연결되어 있다고 밝혔다.

하나의 정체성을 공유함으로 형성된 연대감은 한 공동체, 사회, 더 크게는 국가의 구성원 사이의 신뢰를 형성하는 데에 촉진적 역할을 할 수 있다. 오프(Offe, 1999)는 국가 정체성(National Identity) 이 신뢰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정치적 의견 불일치도 신뢰를 생성하는 데에는 크게 장애가

(6)

79 되지 않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 이유로 “국가성과 국가 정체성은 정치적 분열, 익명성, 문화적 다 양성, 그리고 다수 국민에 대한 생소함을 연결하는 신뢰 전이와 같은 기능적 역할을” 하기 때문이라 고 설명한다(Ibid.: 59). 그러나 국가 정체성은 자연발생적이거나 고정적이지 않다. 오히려 국가 정체 성과 같이 집단적 정체성은 그것이 형성되는 과정에 방점이 있으며 가변적, 유동적 특성을 나타낸다 (Griswold, 2013; Melucci, 1989). 즉, 집단적 정체성 형성은 매우 섬세한(Delicate) 과정이며, 이에는 지속적인 투자가 필요하다. 왜냐하면 집단적 정체성은 곧 상호적 교환과 공유된 의미가 함축된 정의 로 정립된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신뢰 형성에 긍정적 영향요인으로 지목되는 집단적 정체성을 논함에 있어 본 연구에서는 정체성 이 형성되는 과정으로서 공유와 교류의 중요성을 주목하고, 이에 대한 예술의 기여에 대해 살펴보았 다. 대표적으로 비영리 예술 활동에서 관찰되는 공공목적 가운데 예술의 주요 특징인 상징성과 표현 이 시민 공동의 국가 정체성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나타내는 긍정적 역할을 기술한 선행연구를 문헌 조사 하였다. 따라서 다음 절에서는 예술 혹은 예술 활동에의 참여를 중심으로 공동체의 정체성 형성 과정과 관련한 예술의 공공목적에 대해 논의를 잇고자 한다.

2. 참여 중심의 비영리성과 사회적 신뢰 형성

문화예술 분야에서 주요한 특성인 비영리성은 비단 문화예술 분야의 잠재적 민간실패(김정수, 2010)에만 근거하지 않고, 공중(The Public)의 편익을 목표하는 공공목적을 성취함에 적용되는 예술 의 촉진적 역할에서도 발견할 수 있다. 공공정책을 달성하는 과정에서 목격되는 근래 새로운 패러다 임은 비영리 조직의 공공목적에 대한 기여나 역할이 여타 공공 조직과 기업의 그것과 비등하게 나타 나는 현상을 담고 있으며, 이 새로운 패러다임은 문화예술 분야에도 적용된다(Bryce, 2006). 브라이 스(Bryce, Ibid.)는 비영리 조직이 수반하는 공중과의 관계와 공공 정책 실현 과정에서의 기능적 역할 을 근거로 제시하며, 비영리 조직이 드러내는 공공목적 달성에의 참여와 기여를 논술하였다. 사회적 연결망(Networks), 공동 목표, 참여와 상호교류 등 비영리 조직이 포함하는 요소는 비영리 활동을 ‘무 형의 사회적 자본(Intangible Social Capital)'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다(Ibid: 315). 결국 각 비영리 단 체가 내포하는 사회적 자본 속성은 소속 시민사회의 공공목적 성취에의 기여로 귀결되며, 비영리성 과 공공성 사이의 유효한 관계에 대한 논리적 근거가 된다.

위조미어스키(Wyszomirski, 2000: 71)는 비영리 단체 참여가 낯선 사람들 사이에서 “신뢰와 협 동의 연대를 형성”하도록 돕는데 이는 특히 생활예술 활동에서 더욱 부각된다고 기술하였다. 참여자 간 신뢰의 결속을 다지는 과정에서 비영리 단체는 민주주의의 수단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비영리 단체는 대개 공공재를 제공하거나 중개자 역할을 하는 특성을 보이는데, 이는 비영리 단체 가 공공기관이나 민간단체 혹은 개인으로부터 제공받은 지원금으로 운영되기 때문이다(Hansmann,

(7)

80

1980). 비영리 단체가 추구하는 미션을 중심으로 사람들은 함께 모여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공동 으로 일한다. 이 과정에서 단체와 단체가 제공하는 프로그램의 수혜자들(예: 지역 공동체 구성원) 사 이에 신뢰가 형성 또는 강화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단체를 구성하는 내부자들, 예를 들어, 위원회나 임원, 사무직원들 사이에서도 함께 단체의 미션을 위해 일함에 따라 신뢰가 형성될 수 있다(Handy &

Kats, 1998). 이처럼 협동 중심적 환경에서 예술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비영리 단체들은 물리적 공간 을 운영하기도 하고, “리더, 재정운영, 파트너십, 소통기재 등 조직적 자원을 운영”하기도 한다(Crane, 2011: 4). 이러한 참여 중심적 활동은 비영리 단체가 활동적인 민주주의를 성취하는 데에 촉진제 역 할을 하는 주요한 요인이다.

유사하게 오프(1999)도 기존에 이미 속해있는 공동체를 넘어서서 또 다른 그룹 및 사람들과 신 뢰관계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중재역할을 해줄 기관 혹은 단체가 필요하다고 언급하였다. 중재역할 의 단체의 필요성은 특히 직 · 간접적인 관계가 있는 사람들과 형성하는 신뢰가 특징적인 공산체제 이후 사회(Post-communist Society)에서 더욱 강하게 나타난다. 그러나 민주주의 사회를 지향하기 위해서는 가깝건 멀건 내가 ‘아는’ 사람들과의 신뢰 이상의 사회적 신뢰(Thin trust)2)가 필요하다. 따 라서 통일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공산주의 독재체재에서 사회적 관계를 유지해 온 북한시민들과의 사회통합을 고려하면, 사회전반에 대한 신뢰형성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과 이에 대한 중재역할을 해 줄 기관의 형태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신뢰-중재기관의 역할로 비영리 예술단체의 적 극적인 참여를 대안 중 하나로 고려하여 사회 전반, 국가단위에서의 시민 간 신뢰형성과 활동적 민주 주의 양성을 도모해 볼 수 있다.

3. 공공목적을 위한 예술

비영리성을 바탕으로 공공목적 달성을 촉진하는 예술의 특질에 대한 고찰로서 위조미어스키 (2000)는 미국 헌법과 정부의 행정활동 역사를 문헌 분석하여 예술의 기여도가 발견되는 공공목적 다섯 가지를 도출 및 제시하였다. 예술의 촉진역할이 드러나는 주요 공공목적은 “(1)안보추구 증진, (2)공동체 조성, (3)번영에의 기여, (4)삶의 질 개선, (5)민주주의 함양”으로 축약되어 나타난다(Ibid.:

60). 열거된 예술의 공공목적이 시사하는 바는 예술의 영향, 또는 ‘변화로 이끄는 힘(Transformative Power)’의 도구적 기능이 시민사회부터 정치적, 경제적 정책에 까지 폭넓게 나타난다는 것이다. 다음 은 예술이 공공목적에 기여하는 바와 관련하여 예술 활동 참여가 시민사회의 신뢰 형성 과정에 작용 할 수 있는 긍정적 영향에 대한 이론적 논의이다.

2) ‘Thin trust’는 사회적 자본 개념에서 분류하고 있는 신뢰의 두 특성 중 하나로 직접적인 교류와 교제를 통해 형성되는 ‘Thick trust’에 반하여, 시민 사회 참여를 통해 형성되는 간접적이고 일반적인 신뢰 형태를 지칭한다(Putnam, 2000). 본 연구에서는 한 사회를 구성하는 다수의 시민 구성원 간 신뢰를 논의하므로, 직접 교류를 바탕으로 형성되는 ‘Thick trust’

보다는 간접적이고 사회 전반에 나타나는 양상으로서의 ‘Thin trust’를 중심 개념으로 채택하였다.

(8)

81 1) 예술의 공동체 조성에 대한 영향

통일의 과정으로 사회통합을 준비하며 그 가운데 공연예술의 역할을 이해하고자 하는 본 연구 목적과 관련하여, 위의 다섯 가지 예술의 공공목적 중 ‘공동체 조성’과 ‘민주주의 함양’에서 이론적 연 관성을 발견하게 된다. 우선 ‘공동체(Community)’는 예술의 집단적 사회적 영향과 맞닿아 있으며, 사 회통합, 대표성(Representativeness), 평등과 같은 사회적 가치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목 표를 추구함은 다양한 내용과 구조의 예술 활동을 통해 가능하고, 이들 예술 활동은 대개 “정체성 확 립, 소통장려, 시민 자의식 고양”을 촉진시키는 데에 활용된다(Wyszomirski, 2000: 66). 여기서 지칭 하는 ‘정체성’이란 개인부터 그룹 혹은 공동체, 그리고 국가까지 다양한 범주 혹은 단위의 정체성을 포함한다.

사회통합의 과정에서는 특히 어느 한 공동체도 소외되지 않은, 전반적으로 통합된 시민사회를 구 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국가 정체성이 모든 시민의 참여와 구성 아래 형성되어야 함을 의미하 는 것은 물론이고, 상호 간의 공정하고 열린 소통과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독려해야하기 때문이다.

이처럼 포용 중심적 공동체(An Inclusive Community)를 촉진하는 예술의 역할에 대해 벤자민 바버 (Benjamin Barber, 1997)는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다.

예술은 여러 공동체와 그룹(주류 공동체로부터 배제된 것 같은 그룹을 포함)에서 나타나는 복 수의 개별 정체성을 표현함과 동시에 한 국가전체에 속한 다양한 공동체와 그룹 간의 공통성과 보편성을 포착하는 능력(Capacity)을 갖고 있다 (Wyszomirski, 2000: 15 재인용).

실제로 다문화적 특성이 강하게 나타나는 사회의 경우 하나의 주류 문화가 대표성을 띠게 되면서 그 들이 가진 “문화적 패권과 [...] 소외된 타자 사이의 비대칭적 관계”가 형성되게 된다(Mulcahy, 2008:

197). 사회에서 관찰되는 이러한 불균형성에 대해 예술이 기여할 수 있는 바는 사회 · 문화적 긴장 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다시 말해, 문화와 정체성을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중심부와 주 변부 사이”의 긴장을 완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Ibid.). 여기서 예술을 통한 표현이 하나의 창구기능 을 함으로써 다양한 배경의 사회 구성원들 사이에서 공유된 국가 정체성을 찾고 확인할 수 있는 교 두보가 될 수 있다.

2) 예술참여를 통한 민주주의 함양

장르를 막론하고 예술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행위는 민주주의의 실천으로 자연스럽게 이어질 수 있으며, 또한 민주주의 가치를 장려하는 부분이 있다. ‘민주주의 함양’에 대한 예술의 역할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하여 볼 수 있는데, “사회적 자본과 도덕적 자원(Moral Resources)의 형성 그리고 절차상

(9)

82

교정(Procedural Correctness)을 통한 정치적 체계 유지”이다(Wyszomirski, 2000: 71). 예를 들어, 사회 적 자본 및 도덕적 자원을 형성함에 있어 개인, 그룹, 혹은 국가 정체성의 이미지와 상징을 개발하는 데에 예술적 표현이 활용되며 이러한 공동의 정체성을 구현해냄에 따라 소속감과 같은 사회적 결속 력을 생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정치적 체계 유지의 경우 예술활동 참여를 통해 열린 토론과 의사결 정 그리고 그 가운데 공정성을 추구하는 일련의 과정과 경험을 통해 관련 공공목적을 성취하는 데에 기여한다는 논리이다(Wyszomirski, 2000). 이렇듯 시민참여(Civic Engagement)는 다양한 사람과 그 룹 간 사회적 유대를 형성하는 데에 긍정적 기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나며, 협력과 상호교류를 통해 신뢰형성까지 촉진할 수 있다. 이는 “시민참여 연결망이 소통을 촉진시키며”(Putnam, 1993: 174), 이 러한 연결망 내에서 발생하는 개인 간의 소통은 협동과 상호신뢰 증진을 촉진시키기 때문이다. “시민 참여 네트워크는 [각 개인이나 그룹에게 나타나는] 사회적 상이성을 관통하는 가운데, 보다 넓은 양 태의 협력을 증진시킨다”(Ibid.: 175). 동시에 이러한 사회활동에의 참여는 넓은 사회적 맥락에서 볼 때, “[시민]참여의 수평적 네트워크가 형성”되는 데에 기여한다(Wyszomirski, 2000: 74, 이탤릭체 저 자추가). 따라서 사회참여 연결망의 한 종류로서의 예술 또는 창의적 활동에 참여하는 것은 공통적 인 문화적 경험을 갖도록 기회를 제공하고, 참여자 간의 소통과 협력, 신뢰의 과정을 통해 다양한 문 화적 가치에 대한 이해의 초석을 마련하는 데에 기여한다.

더불어 실증연구를 통해 복수의 연구자들은 때로 예술과 문화적 활동이 정치적이거나 사회적 이 슈에 대한 대중의 의견을 표출하고 동원(Mobilize)하기도 하며, 공동체의 사회적 자본과 화합을 이 끌어내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고 밝힌다(Crane, 2011; Peterson, 2011). 이에 대해 피터슨(Peterson, 2011)은 전통적인 예술장르처럼 다수에게 친숙한 예술장르가 소통을 장려하고 예술참여를 독려하 는 데에 더욱 효과적임을 발견할 수 있다고 덧붙인다. 유사한 맥락에서 생활예술활동에 참여하는 것 역시 참여자들로 하여금 소속감과 신뢰, 시민참여습관 등을 고취시키는 데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McCarthy et al., 2004: 15). 생활예술(Informal Arts)은 넓은 범위의 시민들이 대 중문화나 전통예술, 취미예술, 그리고 형식에서 비교적 자유로운 형식의 예술과 같은 활동에 참여하 는 것으로 대개 역사공원방문이나 야외공연 및 페스티벌 관람, 학교나 종교행사로서의 예술 프로그 램을 지칭하며, 합창단이나 오케스트라, 시문학 동호회의 일원으로 직접 예술창작활동에 참여하는 것을 포괄한다(National Endowment for the Arts, 2010).

이러한 예술 활동 참여를 통해 전술된 예술이 민주시민사회에 참여의 효과를 더욱 잘 발현되게 하기 위해서는 이를 견인할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한데, 그러한 역할에 있어 이윤을 목적으로 하는 영 리단체 보다 비전과 목적 중심의 비영리 단체 구조가 더욱 적합하다고 판단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 이 론적 개념 틀을 구성하였다.

(10)

83

4. 연구 분석을 위한 이론적 개념 틀

서론에서 전술하였듯이, 예술의 ‘변화로 이끄는 힘(Transformative Power)’은 외교적 목적을 달 성하는 데에 활용되어 소프트 파워를 발휘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러한 ‘변화를 유도하는 힘’을 만약 국내적 맥락에서 차용한다면, 예술은 혹은 예술적 활동에의 참여는 시민들 간의 연결 및 소통을 촉진 하여 신뢰형성에 역시 긍정적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같은 이론적 논의를 바탕으 로 본 연구에서는 예술참여를 통해 사회적 자본의 한 형태인 신뢰가 발생할 수 있는 요인들이 관찰 되는지 사례연구를 통해 살펴본다. 선택한 사례는 북한이탈주민을 중심으로 구성된 공연예술단체로 그들의 활동이 공공목적, 사회통합을 위한 국가 정체성, 비영리성의 핵심인 시민참여와 어떠한 연관 성을 나타내는지 그 특징을 관찰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다음 그림은 이론적 논의 바탕으로 구성한 개 념적 틀로서 분석을 통해 도출된 카테고리를 동 개념적 틀에 대입하여 살펴볼 것이다.

[그림 1] 이론적 개념틀

Ⅲ. 근거이론분석을 활용한 연구 설계

1. 북한이탈주민 예술단의 활동 배경과 환경 이해를 위한 근거이론분석 활용 본 연구는 정성연구방법으로 접근하여 해석주의적 관점(Interpretivist Perspective)에서 북한이

Transformative Power

신뢰 Thin Trust

예술

공공목적 (사회�정치적 규범)

국가정체성 (사회통합)

비영리성 (시민참여)

(11)

84

탈주민 공연예술단체의 활동을 살펴보고 통일과정에서 그들의 역할과 한계를 이해하는 데에 목 적이 있다. 연구자들은 관찰대상인 현상을 주제와 목적에 따라 있는 그대로 이해하기 위해 정성연 구(Denzin & Lincoln, 2000)를 채택한다. 이 때, 정성연구자들은 다층적 깊이의 상호교류와 관찰 등 을 통해 연구 참여자들의 관점에서 현상을 이해하고자 한다. 다시 말해, 논의 주제로 삼은 현상이 나 상황에 누구보다 밀착된 삶을 살며 경험하는 연구 참여자의 시각에서, 그리고 그들이 이해하는 의미를 바탕으로 현상에 대한 접근과 분석을 하고자 정성연구를 수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론 적 전제를 바탕으로 삼아 근거이론방법(Grounded Theory)을 도입하여 북한이탈주민의 예술 활동 을 사례 분석하였다. 앞서 이론적 탐구를 통해 구조화 된 분석틀의 흐름에 따라 예술의 ‘변화로 이 끄는 힘(Transformative Power)’이 신뢰라는 사회적 자본으로 전환 혹은 그것을 형성하는 과정에 긍정적 역할과 제한점에 대해 분석하고 논의할 것이다.

근거이론방법의 선구자로 익히 알려진 글래이저와 스트라우스(Glaser & Strauss, 1967)가 명시 하는 근거이론방법론의 전략은 데이터에 근거한 분석으로부터 이론을 개발한다는 점이다(Char- maz, 2006). 근거이론방법론이 발전함에 따라 이후 두 갈래로 나뉘었는데 하나는 글래이저로 대 표되는 객관주의적(Objectivist) 근거이론방법과 다른 하나는 글래이저와 스트라우스를 잇는 후세 대로 샤머스(Charmaz)가 선도하는 구조주의적(Constructivist) 근거이론방법이다. 전자의 경우 전 통적인 실증주의적 추정을 채택하고 있으며, 외면으로 나타나는 객관적 현실, 편견이 배제된 자료 수집, 기술적 과정, 검증과 일반화를 분석과정에 포함하고 있다. 반면, 구조주의적 근거이론방법의 경우 실증주의(Positivism)와 후기실증주의(Post-positivism) 사이 어딘가에 자리 잡고 “직접 체험 하여 얻은 지식을 중심으로 분석하며, 관찰자와 관찰대상자 간 교류를 통해 형성된 지식을 발견”

해 나간다(Guba & Lincoln, 1994; Schwandt, 1994; Charmaz, 2000: 510 재인용).3) 이처럼 연구자의 체험과 교류의 과정을 강조한 구조주의적 근거이론방법에 대한 이해가 본 연구에서 차지하는 위 치는 매우 중요하다. 부수적으로 설문조사 분석을 포함하고는 있으나, 면담조사를 중심으로 자료 의 수집과 분석이 진행되었기 때문이다.

근거이론방법을 통해 도출한 추상적 이론(들)은 일련의 귀납적 분석과정을 통해 얻어진다. 이 때의 분석과정은 이론적 샘플링(Theoretical Sampling), 코딩 혹은 분류, 수집된 자료의 취합으로 단계적으로 진행된다(Charmaz, 2006; Glesne, 2010). 자료 분석과정 중 불충분한 부분이나 자료 간 간격을 발견했을 때, 분석의 완성도를 위해 다시 자료수집으로 돌아가 보완하는 과정(Satura- tion) 이 포함된다. 이와 같은 자료수집과 분석과정 사이의 상호반복성이 근거이론방법을 활용한 연구로 하여금 이론 지향적이고 구조적 설명을 이끌어내는 데에 충분한 동력을 제공하는 것이다

3) 본 연구에서 구분하고 있는 근거이론(Grounded Theory)의 세분류에 대하여 더 이상의 논의는 연구의 중심에서 벗어날 우려가 있으므로, 이영철(2014)의 논문 “근거이론의 근거에 대한 음미: 방법론과 방법”을 참고하기를 권장한다.

(12)

85 (Charmaz, 2000). 따라서 본 연구의 자료수집 과정도 두 시기에 걸쳐 시행되었으며, 1차 시기에 서 수집된 자료와 초기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2차 자료수집이 시행되었다. 특히 2차 자료 수집 과정에서 시행한 설문조사(Grounded Survey) 설계는 1차 자료 분석과정에서 나타난 내용을 토대 로 이루어졌다.

[그림 2] 근거이론 연구조사 방법을 통한 연구의 과정

2. 자료수집 구성과 과정

정성연구 방법론에서는 수집된 자료에 대한 해석적 오류를 방지하고, 현상에 대한 이해와 의 미의 명확성을 상승시키기 위해 복수의 연구방법(Methods)을 차용한다(Denzen & Lincoln, 2000;

Stake, 2000). 연구의 신뢰도 증진을 위해 본 연구에서도 참여관찰(Participatory Observation), 반 구조화 면담조사(Semi-structured Interview), 설문조사(Grounded Survey)를 활용하여 ‘삼각 측 량(Triangulation)’을 시행하였다(Lather, 2007). 자료 수집 과정은 크게 세 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사례 선정 및 조사 설계를 위한 사전조사(2013년 8~9월) 기간과 2회 차에 걸친 자료수집(2013년 11~12월, 2014년 6월) 과정을 통해 분석에 필요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설계한 면담조사 질문지와 설문지는 1차 자료수집에 착수하기 전, 모두 IRB 심의를 거쳐 승인을 받았다.

1) 면담조사 설계와 수집

본 연구의 목적대로 남한 내 북한이탈주민 예술단의 활동이 남북한 주민 간 상호신뢰 형성에 근거이론방법

해석주의적접근

이해과정 사례연구자료수집: 참여관찰, 인터뷰, 설문조사

필사, 코딩, 카테고리화

도출된 패턴과 테마를 토대로 이론 구성

해석과정

구조화

추가자료 필요 발견 시 반복

(13)

86

대해 어떠한 기여 가능성과 한계점이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서는 이들 예술단의 내 · 외적 활동 환 경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따라서 북한이탈주민 예술단 ‘PBH 예술단’의 공연활동을 중심으로 참 여관찰을 시행한 후, 또 다른 북한이탈주민 예술단인 ‘PT 예술단’을 관찰하였다.4) 더불어 이들 예술 단들과 직 · 간접적 협력관계에 있는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이하 민주평통) 16기 상임위원과 실 장급 행정담당자, 그리고 남한 예술단 및 공연장 책임자와의 반구조화 면담조사(Semi-structured Interview)를 실시하여, 다각적 시각을 자료화 하였다. 면담조사는 개별심층면담(In-depth Inter- view) 8회와 3명과의 그룹면담(Focused Group Interview) 1회가 복합적으로 시행되었다. 각 면담 참여자들의 경험과 설명을 통해 실제 북한이탈주민 예술단들이 마주하고 있는 현실에 대한 다층 적 이해의 발판을 마련하였다.

면담조사 참여자 선정은 스노우볼 샘플링(Snowball Sampling)을 활용하였으며, PBH 예술단 의 단장이 문지기(Gatekeeper) 역할을 하였다. 자료수집 과정의 초기에 단장의 연구자에 대한 일 종의 관찰기간을 거친 후에야 연구자는 단원들을 소개받고 대면할 수 있었다. 자료수집 기간 중 무 대 뒤, 리허설, 공연관람, 뒷풀이 현장 등을 동행하고 소일거리를 도우며 참여-관찰할 수 있었고, 관찰한 공연의 횟수는 총 17회(PBH와 PT 예술단 통산)였다. 공연활동 외에도 PBH 예술단장의 통 일교육 행사에 수차례 동행하였으며, 단원들과의 친목도모 자리에도 동석하는 등 연구자와 연구 참여자 간 신뢰형성 기간을 가졌다. 비교적 단기간의 라포르(Rapport) 형성과정이었음에도 불구 하고 북한이탈주민 예술단원들의 이야기를 충분히 들을 수 있었던 데에는 인터뷰 질문이 탈북경 험이나 사회·정치적 요소가 결합된 개인적 경험처럼 연구자와의 공유까지 비교적 시간이 소요되 는 내용과 거리가 멀었기 때문으로 추정한다.

면담조사를 위한 반구조화(Semi-structured) 인터뷰 질문은 사전조사와 참여관찰 기간 동안 수 집된 자료에 근거하여 설계 및 작성하였고, 그 내용은 크게 네 가지로 다음과 같이 구성하였다.-1) 북한이탈주민 예술단의 단체구조 및 현황, 2) 북한이탈주민 예술단의 예술 활동 목적, 3) 해당 공 연예술 활동으로 인한 개인적 · 사회적 영향, 4) 공연예술 활동 중 경험한 어려운 점과 제한점

<표 1> 면접조사 참여자

4) 연구 사례로 조사한 북한이탈주민 중심 예술단의 단체명은 편의상 익명을 사용하였다.

소속 및 직책 성별

PBH 예술단 단장 PBH 예술단 감독 PBH 예술단 부단장

PBH 예술단 단원 PBH 예술단 객원단원

출생지역

부여코드

A1 A2 A3 A4 A5

소속 및 직책 성별

PT 예술단 단장 PT 예술단 이사장 민주평통 지역협의회 실장

민주평통 상임위원 두드락 감독 남사당 공연장 단무장

출생지역

부여코드

B1 B2 C1 C2 D1 D2

(14)

87 2) 설문조사 설계와 수집

본 연구에서 설문조사는 구조주의적 근거이론 방법론을 토대로 한 자료 분석과정 중 부수적 인 조사방법으로서 독립적인 연구결과로서의 효력이 없음을 명시한다(참고: Morse & Niehaus, 2009). 북한이탈주민 공연예술 활동에 대한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차용한 부분적 조사방법으 로서 이 설문조사는 북한이탈주민 예술단의 공연이 북한 예술과 문화에 대한 이해를 통해 남북한 사회통합의 과정에 기여하고 있는지 아니한지를 관람객의 시각에서 살펴보는 데에 그 목적이 있 다. 따라서 설문조사는 1차 관찰 및 자료수집 기간을 완료한 후 현장에 대한 부분적 이해와 1차 자 료 분석기간(2014년 1~5월) 중 도출된 내용을 바탕으로 설계되었고, 2차 자료수집 단계에서 시 행되었다.

설문조사 대상은 두 집단으로 구성하였다. 한 집단은 일반 관람객으로 안성 전통예술전용 공 연장에 정기적으로 올라가는 북한이탈주민 예술단의 20분 오프닝 무대를 관람한 시민들(n=53) 이다. 이 경우 오프닝 무대가 시작한 후 일정시간이 경과한 이후에는 설문배포를 중단하여 관람여 부를 명확히 하였고, 공연장 직원 다수의 도움을 받아 빠른 시간 안에 착석한 관람객들에게 설문 지를 배포하였다. 다른 집단은 민주평통 자문위원들(n=28)로, 2014년 6월 24일 서울총회에 참석 한 중랑구지역협의회 상임위원 중 북한이탈주민 공연 관람 유경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민주 평통은 북한이탈주민 예술단의 공연 프로그램을 정기적으로 주최하는 기관으로서, 설문참여 대 상자들은 이미 북한이탈주민 예술단 공연을 수차례 관람한 경험을 가지고 있었다(C1, 연구자인터 뷰 2014.6.25; C2, 연구자인터뷰 2014.6.18).

설문지는 크게 참여자 인구조사 문항과 일반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일반 문항은 총 여섯 항목 으로 설계되었으며, 폐쇄형 질문형식5)을 취했다. 이것은 다시 주제별로 소분류 할 수 있는데, 첫 두 문항은 평소 통일과 북한예술에 대한 일반적 관심도를 측정함에 목적이 있다. 다음은 북한이탈주 민 예술단 공연을 관람한 경험이 북한 예술과 문화에 대한 관심도 혹은 이해도 신장에 영향이 있는 가를 묻는 질문이다. 마지막 두 문항은 남북한 주민 간 신뢰형성 과정의 초기단계로 이질감 상쇄기 능 혹은 유사한 기여도가 있는지 관찰하기 위해 포함하였다. 주제관련 설문문항은 모두 7점 척도 로 측정하였고, SSP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와 t-test 분석을 실시하였다.

5) 폐쇄형 질문형식을 취하고 주제관련 문항을 5페이지 길이에서 1페이지로 축소하게 된 주요 원인은 관람객의 연령대와 공연환경 때문이었다. 1차 자료수집 기간 중 관찰된 바, 대부분의 공연 관람객은 50대 이상 노인들이었고, 공연 이후에는 다과나 선물수령 등으로 매우 어수선한 분위기가 연출되었다. 따라서 문항 수를 대폭 줄이고, 글자 크기를 키우는 등 설 문지를 수정하였다. 수정한 설문지 역시 적법한 IRB 승인절차를 거쳐 자료수집에 활용하였다.

(15)

88

IV. 북한이탈주민 공연예술단체의 환경과 영향 이해

1. 북한이탈주민 예술단의 배경적 특성

2003년에 창단한 PBH 예술단은 사업자 등록을 마친 소규모 영리 예술단이다. 영리를 목적으 로 하지만 PBH 예술단 단장은 공연을 통해 남한시민에게 북한 예술을 알리고, 통일을 준비하며 남 북 사이에 공유할 수 있는 문화를 만들어 가고자 하는 목적의식 아래 활동하고 있음을 밝혔다(A1, 연구자인터뷰 2013.12.20). 단원들의 예술적 숙련도와 관련하여 PBH 주요 단원들은 북한거주 당 시 정규 예술교육을 받았거나, 지역에 설치되어 있는 예술선전대에서 활동했던 경력을 갖고 있었 다. 반면, 예술 교육이나 활동 경험이 없는 단원들은 북한 거주 당시 전문 예술인으로 활동했던 부 단장과의 집중 학습을 통해 공연을 준비했다. 다수의 북한이탈주민 예술단처럼 PBH 예술단 역시 여성단원이 대부분인 조직구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출산과 육아 등의 이유로 지속적인 활동이 어 려운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 객원단원으로 공연자의 상황과 예술단의 필요에 따라 불 규칙적으로 공연활동에 참여하기도 한다. 단원 구성의 빈번한 변화에 따른 새로운 단원의 충원은 단장의 개인적 네트워크에 상당부분 의존하고 있었다. 이 밖에도 대부분의 행정적 업무가 단장에 게 집중되고 있었으며, 이 중 행사계약을 위한 네트워크 관리 역시 단장이 담당하는 주요한 업무 중 하나이다. PBH 예술단을 참여관찰하며 인상적이었던 것은 두 명의 단원을 임원으로 임명하여 행정적 업무의 분업과 직원 훈련을 시도하고 있었다는 부분이다.

PBH 예술단은 상업적 홍보행사부터 공공기관 주최 페스티벌까지 다양한 무대에 참여하고 있 었는데, 그 중에서도 민주평통 지역협의회가 주최하는 문화 프로그램이 단체가 지향하는 공연활 동의 ‘명분’과도 상응하며 가장 빈번하게 주어지는 공연활동 기회인 것으로 나타났다(Ibid.). 민주 평통은 헌법 92조에 근거하여 설치된 기관으로 통일정책관련 대통령 자문기관이다. 민주평통의 주요역할은 대통령 자문을 위한 통일 관련 국내 · 외 여론 수렴과 국민적 합의 도출 등으로 요약된다 (민주평통 기관 홈페이지). 따라서 문화예술 프로그램 주최나 지원이 민주평통의 주요 업무는 아니 다. 그럼에도, 시민대상 평화통일 교육과 홍보활동의 일환으로 워크숍, 체육행사와 함께 1년에 적어 도 1회 이상 문화예술 행사를 주관한다(C1, 연구자인터뷰 2014.6.25). 민주평통이 17개 시 · 도에 설 치된 지역회의와 229곳의 시 · 군 · 구 지역협의회(국내, 2014년 기준)를 두고 있는 것을 고려하여 각 지역협의회 별로 연 1회의 예술행사를 개최한다고 추산하면, 전국에서 연간 대략 230회 정도의 예 술행사가 열리는 것이다. 220여개의 지역협의회가 모두 해마다 북한예술공연을 올리지 않는다 하 더라도, 전국 지역별 민주평통 주최 예술행사는 북한이탈주민 공연예술단체에게 많은 공연 기회

(16)

89 를 제공하며 동시에 그들이 지속적으로 공연활동을 이어가는 데에 일정 부분 기여하는 구조를 읽 어낼 수 있다. 다시 말해, 민주평통 주최 문화 프로그램은 주최 측의 의도 여부를 떠나, 북한이탈주 민 공연예술단체에게는 단체를 유지하는 데에 주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다.

반면, 2007년에 창단한 PT 예술단은 2010년 경기도에 비영리단체로 등록하고, 2011년부터 2014년까지 예비 사회적기업으로 인정을 받은 단체이다(2014년 기준). PT 예술단의 경우, 안성시 의 지원이 단체를 운영하고 공연활동을 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 PT 예술단은 시정부 차원에서 예비 사회적기업 등록을 위한 절차상 지원과 함께 해당 지역의 전통예술 전용 공 연장에서 정기적으로 오프닝 공연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받았다(B1, 연구자인터뷰 2014.6.15;

D2, 연구자인터뷰 2014.6.21). PT 예술단의 미션은 예술을 통한 평화통일과 화합을 이루는 것으 로 PBH 예술단의 목표와 크게 다르지 않다. 또한 PT 예술단 단원의 성비도 여성이 다수를 이루는 가운데, 1명의 객원 남성가수와 2명의 남성 행정인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PT 예술단은 예 술적 수월성보다 북한이탈주민으로만 구성된 예술단이라는 정통성에 더욱 강조점을 두고 있었다.

상징적으로 PT 예술단에서는 예술감독만이 유일하게 평양에서 정규 예술교육과정을 수료한 전 문 무용인이며, 단장을 비롯한 다른 단원들은 남한 입국 후 예술감독에게 훈련을 받은 비숙련 공연 자들이다. 이에 대해, PT 예술단 단장은 북한예술의 특성은 기술적 숙련도보다도 공연자의 미소 띤 얼굴과 우아한 의상에서 발현된다고 설명했다(B1, 연구자인터뷰 2014.6.15). 또한 PT 예술단 이사장은 현재 남한 내 북한이탈주민 예술단 중 중국동포가 단원으로 활동하는 사례가 적지 않음 을 지적하며, PT 예술단은 그 부분 대한 타협 없이 북한이탈주민만으로 구성되었다고 강조하였다 (B2, 연구자인터뷰 2014.6.22.). 그러나 북한이탈주민 예술단이 통일 메시지를 전하는 데에 있어 예술적 수월성이 반드시 수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라는 PT 예술단 관계자들의 생각이 과연 공연 관람객과 타 예술단도 동의할만한 기준인가에 대해서는 의문점이 남는다.

2. 북한이탈주민 예술단의 환경과 사회적 영향

반구조화 면담조사를 실시하여 수집한 데이터는 행간코딩(Line-by-line Coding)과 군집화 (Grouping)를 통해 카테고리로 도출하였다(Charmaz, 2006). 코드를 군집화하는 과정에서 북한이 탈주민 공연예술 단체의 내부 구조적 특성과 그들이 마주한 환경적 맥락을 살펴보기 위해 갈레타 (Galletta, 2013: 20)가 제시한 세 단층(Layers) 구조의 분석 모형(Analytical Frame)을 활용하였다.

갈레타는 본인의 연구에서 역사적/정치 · 사회적 맥락, 구조적 환경, 관계적 맥락의 세 단층으로 분 석틀을 구조화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수집한 데이터와 연구목적에 적합하게 환경적 맥락 부터 예술단의 공연활동이 가져오는 사회적 영향까지, ‘남한 내 문화 · 사회적 환경’ ‘예술단 내 · 외 부의 환경적 특성’ ‘예술단 공연활동의 사회적 영향’으로 구조화하였다.

(17)

90

1) 남한 내 문화 · 사회적 환경

북한이탈주민 예술단이 활동하고 있는 국내의 환경적 맥락에 대해 ‘남북한의 문화 차이’와 ‘저 조한 통일인식’ 즉, 통일에 대해 무관심한 사회적 분위기가 도출되었다. 우선 남북한의 문화 차이 에 관한 코드로 예술적 가치 및 특성의 차이를 비롯하여 서로 다른 예술적 취향, 그리고 서로 다른 라이프스타일과 사회적 가치, 의사소통의 오류 등이 주요하게 나타났다. 한 면담 참여자는 남북한 의 예술 정책이 서로 다른 방향성을 나타낸다고 설명하며, 이러한 정책적 차이가 현재 향유하는 예 술의 차이를 야기했을 것이라고 응답하였다. 특히 수월성 및 전문가 양성을 중심으로 한 북한의 예 술교육과정과 전통예술의 “개량”이 현재 나타나는 남북한 예술의 차이에 중요한 요인이라는 것이 다(A1; A2, 연구자인터뷰 2013.12.20). 역사적으로 남북한이 공유한 전통예술에 대하여 분단 이후 남한의 예술정책은 그것을 보존하고 보호하려는 입장이었다면, 북한은 전통예술을 현대화하고 개 량하려는 시도를 정책적으로 시행했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양측의 변화에 대한 인식과 이해 없이 단지 역사적으로 공유한 문화라는 이유만으로 사회통합 과정에서 전통예술을 강조한다면 목 표한 바를 성취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설명이다(A2, 연구자인터뷰 2013.12.20).

다수의 인터뷰 참여자들은 또한 남한사회 전반에서 발견되는 저조한 통일인식과 북한이탈주 민에 대한 부정적 견해를 통일에 대한 남한의 현주소로 보고 있었다. 특히 민주평통의 한 관계자 는 통일에 대한 관심도는 청소년층에서만 낮게 발견되는 것이 아니라, 일반 성인들에게서도 높게 나타나지 않고 있으며, 때문에 통일 관련 문화예술 행사에 흥미유발 요소(예: 상품증정)가 부가되 지 않으면 관객 참여도가 떨어지는 것이 현실이라고 설명했다(C2, 연구자인터뷰 2014.6.18). 심각 한 경우에는 북한에 대한 애증의 감정이 일부 극단적인 태도로 표출되기도 하여 북한이탈주민 예 술단이 공연을 하는 데에 어려움이 발생하기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를 들어, 북한 정부가 행 하는 군사 도발적 행위와 위협에 대한 거부감 또는 반감을 북한이탈주민에게 이입하면서 발생하 는 상황이 종종 있으며, 이러한 예기치 못한 상황에서는 이들 예술단의 공연기회가 무산되기도 한 다. 반면, 공연이 강행되는 경우에는 물리적 상해를 입게 되는 경우도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A3;

A4; A5, 연구자인터뷰 2013.12.19). 따라서 북한이탈주민의 공연 활동은 전반적으로 저조한 남한 시민의 통일인식은 물론, 한반도의 정치군사적 환경에도 취약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2) 예술단 내 · 외부의 환경적 특성

본 연구의 인터뷰 참여자 중 북한이탈주민 예술단 소속 참여자들은 공통적으로 예술단이 속 한 남한의 공연예술 분야가 매우 경쟁적인 양상을 띠며, 따라서 단체를 지속하고 운영하기에 어 려운 환경이라는 의견을 피력하였다. 그들은 남한 관객들의 수요가 예술적 수월성이 탁월하고, 다 방면으로 재능이 있는 즉, 춤과 노래, 혹은 악기 연주를 동시에 능숙히 해낼 수 있는 예술인들에

(18)

91 초점이 맞춰져 있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었다. PBH 예술단 단장은 이에 대해 북한에서는 한 장르 에 대한 전문성을 갖춘 예술인들을 양성하는 반면, 남한에서는 다재다능한 예술인들이 각광을 받 는다고 하면서, 북한이탈주민 공연자들이 “한국 연예인들하고 기량을 따졌을 때”에도 대등한 위 치에 설 수 있는 경쟁력을 키우려면 남한의 예술도 습득할 필요성이 있다고 설명했다(A1, 연구자 인터뷰 2013.12.20). 인터뷰 내용에서도 나타나듯 북한이탈주민 예술단이 바라보는 예술단의 홛 동 영역은 대중예술 분야와 중첩되는 것으로 드러나며, 이러한 시각은 비단 영리 단체인 PBH 예 술단뿐만 아니라, 예비 사회적 기업으로 등록한 PT 예술단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난다(B1, 연구자 인터뷰 2014.6.15).

더 나아가, 면담조사에 참여한 대부분의 북한이탈주민 예술단원들이 지적한 활동분야의 어려 운 점은 남한 출신 연예인들에 비해 그들의 공연료가 낮게 책정되어 있고, 이는 북한공연예술에 대 한 평가절하를 반영한다는 내용이었다(A1; A3; A4; A5; B1, 연구자인터뷰). 북한이탈주민 예술단 이 다른 남한 예술단체에 비해 낮은 공연료를 지급받는 요인에 대해서는 조사를 통해 그 원인이 차 별적 시각에 근거한 것인지 혹은 공연 프로그램 내용에 따른 것인지 규명해볼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인터뷰 내용처럼 북한이탈주민 예술단 스스로가 규정하는 관련 예술 분야가 일반 대중예술 영역 이라면, 그들이 말하고 있는 ‘남한주민 대상 북한 문화와 예술 이해 증진’이라는 공연활동의 목표를 단지 통일교육과 통일정책의 관점에서만 바라보기에는 어려움이 따르게 된다. 또한 북한이탈주민 공연자들이 나타낸 그들의 활동 예술분야에 대한 인식은 예술단의 공연 프로그램이 공공목적에 국한되어 있기보다, 흥미를 이끌기 위한 내용으로 확대되는 것에 대한 설명이 될 수 있다.

3) 예술단 공연활동의 사회적 영향

북한이탈주민 예술단의 공연활동을 통해 면담조사 참여자들이 체험한 사회적 영향은 크게 관객 과 공연자 간의 상호교류, 즉 타인과의 교류를 통해 생성되는 집단적 사회적 영향(Collective Social Impact)과 공연자들 개인의 삶에서 관찰되는 개인적 사회적 영향(Individual Social Impact)으로 구 분할 수 있다. 먼저 예술단 공연을 매개로 발현되는 사회적 영향에 대하여 공감, 상호교류, 환대와 관련한 코드가 분석을 통해 도출되었다. 공연 후 찾아온 관객 중 고향이 같은 실향민을 만나 고향 에 대한 기억을 나누며 공감대를 형성한 경험(A4, 연구자인터뷰, 2013.12.19)과 초등학교 공연 후 학생들이 보였던 환대와 짧은 교류의 순간에 느낀 감정과 여운을 통해 공연활동에 대한 성취감과 한 민족으로서의 연결고리를 찾은 감회를 드러내기도 했다.

우리 어떨 때는 할아버지 할머니들만 있는 게 아니고, 학교공연을 갈 때가 있어요. [...] 초등학교 애들이 호응이 되게 좋아요. 근데 걔들이 북한음악을 알아? 알지는 못하잖아요. 근데, 들어서 곡에

(19)

92

심취돼서 하는데 애들이 공연이 끝난 다음에 하는 소리가 ‘이뻐요! 통일이 언제 돼요?’ 하고 물어보 는 애들이 있어요. 애들이... 근데, 어르신들이 이렇게 할 때는 모르는데, 애들이 그렇게 물어볼 때는 [...] 가슴이 좀... 아. 언제 [통일이] 될까 막 아프고 그래요 (A5, 연구자 인터뷰 2013.12.19).

공연예술 활동이 공연자와 관객 사이의 심미적 교감을 형성하여 상호교류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 외에도 북한이탈주민 예술단의 소속 단원들은 예술 활동을 통해 예술인으로서의 자아실현 기 회를 얻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음은 인터뷰 발췌 내용으로 한 북한이탈주민 공연자의 관련 내 용에 대한 설명이다.

우리가 다시 여기[남한에] 와서 새로운 걸 뭘 시작할래면, [...] 힘들잖어. 근데 우리가 배웠던 거를 그대로 여기 와서 다시 문화예술로써 하니까 뭐 또 돈을 쫓아가기 보다는 내가 하고 싶은 일을 하 면서 돈도 벌고 하면 보람 있는 거죠. [...] [북한에서 예술을] 하던 사람들은 그냥 배웠다가 무대도 없이 살면... 좀 가슴에 한 같은 게 있잖아. 다시 [무대에] 서 보고 싶은 마음? 근데 여기 와서 다시 그 무대를 서면, 성취감도 있고, 아.. 내가 그냥.. 꿈을 이룬 것 같은, 그런 게 있잖아요.(Ibid.).

북한에서 예술인으로 활동했던 경력을 바탕으로 남한에서도 공연활동을 할 수 있다는 것은 그 들에게 예술인으로서의 정체성과 성취감을 얻게 되는 기회인 동시에 경제활동의 일환으로 스스 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수단이기도 하다. 개인이 가진 전문성을 활용하여 새로운 삶의 터전에서 경제활동을 할 수 있다는 것 또한 북한이탈주민 예술단의 예술 활동 기회가 생성하는 사회적 영 향 중 하나인 것이다.

이들 예술단의 공연 활동을 통해 기대되는 사회적 영향과 그 과정 중 저해요인 혹은 한계로 발견 되는 부분에 대한 분석은 다음 이론적 분석틀을 통한 분석내용을 논의할 때 더욱 다루기로 한다. 그 전에 면담조사 참여자들의 시각에서 바라본 북한이탈주민 예술단이 활동하는 구조적 환경과 영향에 이어 공연을 관람한 시민들의 시각에서 바라본 이들의 공연에 대해 간략히 살펴보고자 한다.

3. 관람객 설문조사(Grounded Survey) 분석

수거된 설문지(n=83) 중 총 81개의 유효 설문지를 분석하였으며, 전체 설문참여자 성별은 남 성 35.8%와 여성 64.2%로 여성 응답자가 더 많은 비율을 차지했다. 연령 면에서는 민주평통 관객 응답자 중 30대 이하가 없었던 반면, 일반관객에서는 10대부터 40대까지의 응답자가 82%로 나타 나 비교적 고령층에 집중된 민주평통 관객과 구분되는 특성을 보였다. 최종학력에서도 집단별 차 이가 나타났는데, 일반관객의 41.5%가 대학졸업자인 것으로 응답하였고, 민주평통 상임위원 관 객 중 53.6%가 고등학교 졸업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출생국가에 대한 질문에서는 전체 설문응답

(20)

93 자 중 1명(일반관객)이 미국, 다른 1명(민주평통 관객)이 북한으로 응답한 것을 제외하고는 모두 남한출생 거주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일반문항에서는 북한이탈주민 중심 예술단의 공연이 그들이 목적한 바대 로 남한주민에게 북한예술을 알리고, 평화통일 과정에 이바지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즉, 사회 통합의 관점에서 남북한 주민 간 신뢰회복과 관련하여 이들의 공연활동이 북한주민에 대한 이질 감 완화에 기여를 하는지 관객의 시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대해, 설문참여자 전반은 북한 이탈주민 예술단의 공연이 남북한 주민 간 거리를 좁히는 데에 긍정적 영향이 있다는 시각을 보인 다(그림 3 참조). 그러나 ‘북한이탈주민 예술단의 공연을 재미있게 관람 했는가’를 묻는 두 번째 문 항을 제외하고는 모든 질문에 대해 집단별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6) 본 설문조사를 통해서 밝힐 수 는 없겠으나, 민주평통과 같은 통일관련 시민활동의 경험이 공연관람을 통한 북한문화와 주민에 대한 이해도에 있어 일반관객보다 더욱 긍정적인 태도를 가져온 것은 아닌지 향후 집중된 조사 설 계를 통해 알아볼 수 있을 것이다.

또 하나 눈여겨볼 만한 부분은 ‘북한이탈주민 예술단 공연이 북한의 문화 · 예술을 이해하는 데 에 도움이 되었는지’를 묻는 질문에 대한 두 집단의 답이 다른 문항과 비교했을 때 가장 약한 정도 의 긍정을 나타낸다는 것이다. 물론 평균의 절대값만 볼 때에는 다른 문항과의 그 차이가 그리 크 지 않으나, 여전히 이들 북한이탈주민 예술단의 공연이 관람객의 북한예술과 문화 이해에 기여가 있는지 여부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해당 공연이 표방하는 북한 문화 · 예술 이해 증진의 실효성을 향한 의구심은 정성연구자료 분석을 통해 도출된 내용에서도 제시되는 부 분이어서 일부 공연 참여자와 관람객의 시각이 만나는 지점으로 볼 수 있다.

[그림 3] 관람한 북한이탈주민 예술단 공연에 대한 설문답안 평균비교

6) T-test 분석 결과는 ‘북한이탈주민 예술단 공연의 흥미로움’를 제외하고 모든 변수에서 통계학적으로 일반관객과 민주 평통 관객 설문결과 간 평균차이가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 ‘그림 3’에 나타난 두 집단 간의 수적 차이 가 통계학적으로도 유의미한 것으로 검증되었다는 것이다.

0.0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한반도 통일에 대한 관심

북한이탈주민 예술단 공연의 흥미로움

일반관람객 민주평통 관계자 북한예술에 대한

관심유발 영향

북한예술이해에 대한 도움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위화감

감소영향

북한동포에 대한 이질감 감소영향 4.91

6.00 5.89

4.87 5.82

4.60 4.98

5.61 5.04 5.57 5.64

6.43

(21)

94

<표 2> T-test 분석 결과: 평균 간 차이 유의성

주: ‘통일에 대한 평소관심’ 변수를 제외하고 모두 등분산(equal variances)이 가정됨

4. 신뢰형성 과정에서의 북한이탈주민 예술단 공연 활동과 한계점

근거이론 방법의 최종 분석 단계에서 귀납적 분석과정을 통해 도출된 테마를 이론적으로 구조 화하기 위해 카테고리 간 관계를 분석한다.(그림 2 참조) 도출된 자료로서의 카테고리를 분류하고 서로 결합시키는 연속적인 과정을 통해 연구자는 마침내 의미 있는 관계를 발견하며, 이를 바탕으 로 구조화 된 이론을 도출한다(Charmaz, 2006).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과정을 위해 앞서 제시 한 이론적 분석틀(그림 1 참조)을 활용하였으며, 아래 <표 3>과 같은 매트릭스를 도출하였다. 제 시된 매트릭스는 스트라우스와 코빈(Strauss & Corbin, 1990; 1998)이 소개한 조건적/결과적 매트 릭스(Conditional/Consequential Matrix) 기법을 활용한 것으로, 도출된 카테고리를 배치(Mapping) 하여 자료에 내포된 의미를 구조화한 분석 모형이다.

1) 공공목적 : 통일을 위한 준비

본 연구에 참여한 북한이탈주민 예술단은 통일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시민의 통일인식 증진을 위한 사회적 분위기 조성과 북한 예술 · 문화에 대한 정보와 경험을 제공하는 ‘공공목적’을 지향하 며 공연 활동을 지속하고 있었다. 이러한 집단적 영향을 목표한 것이 대외적인 활동 명분이라면, 예술 활동을 통해 공연자에게 미치는 개인적 영향은 실질적으로 활동이 실현될 수 있는 내재적 요 인이자 활동 이후 강화되어 나타나는 결과의 한 부분으로 볼 수 있다. ‘경제적 안정’과 ‘정서적 위 안’처럼 더 나은 삶을 영위하기 위한 활동 목적과 그로 인해 개인에게 발생하는 긍정적 영향도 예 술단의 공연 활동에서 중요한 부분임을 발견하게 된다. 예술단 소속의 인터뷰 참여자들은 공연 활 동을 통해 생활비를 마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같은 문화 · 사회적 배경을 가진 동료들과 함께 일 하면서 새로운 남한 사회에 적응하는 등 안정감을 갖는다고 답했다.

통일을 준비하는 관점에서 북한이탈주민 예술단의 활동은 공연자들에게 통일 이후의 한국사 회에서도 문화 매개자 역할을 지속할 수 있는 기회로서의 의미를 담고 있었다. 이들은 먼저 남한에

Statistic

Variable Mean Difference 한반도 통일에 대한 관심

북한이탈주민 예술단 공연의 흥미로움 북한예술에 대한 관심유발 영향 북한예술 이해에 대한 도움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위화감 감소영향 북한 동포에 대한 이질감 감소영향

1.523 .107 -.954 -.968 -.626 -.605

t

-5.273 .371 -2.831 -2.703 -1.797 -1.785

Standard Error

.289 .289 .337 .369 .348 .339

Significance

.000 .712 .006 .011 .076 .078

(22)

95 온 북한주민으로서 남한 사회에 정착한 자신이 경제적 안정을 성취하고 민주주의 가치에 대한 이 해를 갖는 것이 중요하다고 응답했다. 왜냐하면 통일한국 사회에서 각 개인이 북한주민의 민주사 회 적응과 정착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인력자원이라는 인식이 있기 때문이다.

<표 3> 북한이탈주민 예술 활동을 통한 신뢰형성과 한계점

2) 사회통합: 함께 향유할 수 있는 예술

북한이탈주민 예술단의 공연 프로그램은 주로 민요와 무용과 같은 전통예술 장르, 그리고 트 로트 중심의 남한 대중가요로 구성되어 있다. 예술단 소속 면담조사 참여자들은 비록 고연령층의

예술

(변화의 힘) 공공목적

(사회 · 정치적 규범) 내·외부적 환경

t통일에 대한 무관심 t북한의 무력도발 시,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적대감 표시

t북한 예술과 문화에 대한 이질감과 비선호 t문화 차이

t소통 과정의 오류와 제한 t비전문적 운영구조 t짧은 단체의 수명

활동 목적

활동 내용 (actions)

활동 결과 (outcomes)

장애요인/

한계점

대응책 사회적 영향:

(Thin Trust) 신뢰

t사회통합과 통일에 대한 사회 분위기 형성

t북한예술과 문화적 가치에 대한 정보 전달

t통일교육

t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이미지 개선 (예: 자원봉사 참여) t전통예술 활동/공연

t공통의 문화형성 t차이/이질성 극복

t 북한예술화 한 남한(대중)예술 공연 t 관객 흥미유도 지향

t전통예술 콘텐츠 t 관객과 주최 측(기획자)의 요구/기대에 부응하고자 함

t상호 교류와 호혜(reciprocity) t교류하고 서로 알고자하는 노력

t적극적 사회활동 참여(예: 봉사) t비영리 단체에 대한 이해습득

t통일을 위한 문화적 매개자 역할 t통일 이후 사회통합 매개자 역할을 소망

t경제적 안정 t커리어 개발

t정신적, 감정적 위안 (북한출신 공연자와 함께 활동함을 통해)

t예술을 통한 주민들 간 화합 t공연에 대한 관객의 긍정적 반응과 호응

t남한예술단체와의 협업을 통한 교감/공감

t공연에 대한 관객의 긍정적 반응과 호응

t“불공평”한 공연료 (스타급 연예인과 비교) t공연계 네트워크 부재로 인한 공연기회 축소/상실 t북한예술과 문화를 알리기에 비효율적인 공연 내용(정통성 결여) t흥행/흥미 중심의 공연 프로그램

t전문 예술인과 아마추어 공연자의 혼성조직 양상

t연습부족 및 예술성 신장의 필요성 t북한예술과 문화를 알리기에 비효율적인 공연 내용(정통성 결여) t흥행/흥미 중심의 공연 프로그램

t공공예산에 의존적인 수입구조 t재원조성에 대한 관련지식 부족 t남한 협력단체와 소통 부족 (합동 공연 시, 계획 논의 부족) t수익 중심의 협력/ 합동 공연 t관객의 부정적 반응

t 탈북 예술인의 복지 t 재정지원 (공공) t문화부의 체계적 개입

t전문예술인력 활용방안

t프로그램 개발과 질적 개선 t 관객과 적극적 소통 t 남북한 예술가들 간 예술적 협력 국가정체성

(사회통합)

비영리성 (시민 참여)

통일 준비,

통일인식개선 연대/결속,

사회적 자본 상호 교류,

호혜(reciprocity)

참조

관련 문서

그러나 교통행정상의 필요성이라는 것도(진술거부권이 공공복 리 등을 이유로 제한할 수 있다고 가정하더라도) 따지고 보면 진술거부권을 희생하 면서까지

현재 기독교 신학계를 지배하고 있는 신학 의 역사적 배경 및 그 사상적, 철학적 계보 및 배경, 신학적 의미를 연구 분석 비평을 통하여 정확한

이러한 이유로 EU은 일련의 조치를 단행해 육류표시제(meat labelling) 를 향상시킴으로써 품질에 대한 확신을 심어주고 추적이력제(traceability)

ㅇ 미국 등 많은 OECD국가에서 사람들이 사회적 접촉을 꺼리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도 사회적 소외와 뒤쳐짐을 악화시키는 요인임.. - 기존 유럽 사회는 교회,

 재생에너지에 의존하는 전력공급시스템은 이론적, 계산적으로는 가능할 수 있으나, 상시적인 전력수급 불안과 막대한 비용을 유발 할 것임.. • 태양광, 풍력과

활동 간이 마이크로 관개망 구성하기.. 직업

친구들이 하는 말을 비판이나 편견없이 있는

※ 실생활과 연관 있는 주제를 선정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하였으며 다양한 통계정보 를 경험하고 쉽게 찾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에서부터 출발하여 학습자 스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