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본 연구는 기존연구에서 조명되지 않았던 북한이탈주민 공연예술단체의 활동이 남북한 주민 간 신뢰형성 과정에 어떠한 사회적 영향을 이끌어낼 수 있는가에 대해 논의하고, 공연자들의 활동 에 대한 시각을 살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뿐만 아니라 분석적 접근을 통해 북한이탈주

7) 사실 남한 내 북한이탈주민 예술단의 수에 대한 정확한 집계는 어렵다. 지속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단체에 비해 짧은 수명 주기를 그리며 나타났다 금방 사라지는 예술단의 수가 더 많기 때문이다. 2013년 조사 당시 온라인에서 단체의 공식 웹 페이지나 블로그를 개설하여 운영하고 있는 예술단은 약 11개로 나타났고, PBH 예술단 단장과의 인터뷰에 따르면 당시 통일부에 등록한 예술단체가 37개에 이른다고 하였다.

99 민 예술단이 활동하고 있는 통일예술 분야의 내 · 외부적 환경과 구조적 특성에 대한 이해의 단초 를 마련하였다. 동시에 후속연구의 필요성도 발견되었는데, 복수의 선행연구에서 지적한 것처럼, 일반적으로 남한 주민의 북한 예술에 대한 비선호 양상이 본 연구에서도 다시 한 번 확인되었다.(표 3의 ‘내 · 외부적 환경’ 참조) 배성인(2005)은 연구 논문에서 남한 시민이 갖고 있는 문화와 예술에 대 한 우월 의식은 북한 예술에 대한 차별적 시선으로 귀결된다고 언급했다. 이에 따라, 북한이탈주 민 예술단의 공연을 관람하는 인구에 대한 분석과 관람이유에 대해 조사하여, 북한이탈주민 예술 단의 공연이 향후 나아가야 할 방향성과 공연의 효과성에 대해 다른 각도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 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북한이탈주민 예술인들이 갖고 있는 남한의 예술 지형에 대한 이해와 그 가운데 그들의 활동을 어디에 포지셔닝하고 있는지에 따라 통일교육과 북한 예술 · 문화 이해 확산이라는 목적 이 적절히 성취되고 있는가에 대한 의문점이 발견되었다. 이것은 비단 북한 출신 공연자들이 아 직 낯설게 느끼고 있는 비영리성에 대한 개념과 각 예술 분야의 특성에 대한 이해에만 연관된 문 제가 아니다. 공공목적이라는 명분과 생계유지라는 삶의 현실사이에서 나타나는 딜레마에 가운 데 다른 예술가들처럼 정답이 없는 선택을 해야 할지도 모른다. 또는 여전히 민주시민사회에 적응 하는 과정 가운데 통용되고 있는 개념의 공유가 제한적으로 이루어져 문제인식에 대한 공유 역시 제한적일 수밖에 없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에 대해 북한이탈주민이라는 특수한 정치 · 사 회적 정체성이 부여하는 내재적 그리고 환경적 제약을 최소화하고, 그들이 가진 예술에 대한 가치 와 비전에 대해 공유하고 상호이해 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다시 말해, 국내에 유입된 다양한 문화와 예술의 교류를 통해 상호이해를 증진시키는 방안 마련이 요구 되는 시점이다. 더불어 분단 이후 남북 정부의 문화 · 예술 관련 정책에 따라 상이하게 진화해온 예 술에 대한 상호 이해를 증진하기 위해 북한 출신 전문 예술가와 남한 출신 예술가 간 교류와 협력 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 이 같은 교류가 비단 전통예술 분야에만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장르에 서 시도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사회적 신뢰형성과 북한예술에 대한 이해 증진과 같은 공공목적의 실현을 성취하기 위해서는 시간과 노력의 투자가 필수적인 가운데, 그 필요성을 간과한 채 흥미위주의 공연만 지향한다면 결 국 문화교류가 아닌 남한문화에 편향된 동화주의적 예술활동의 재생산에 머무를 수밖에 없을 것 이다. 서독의 주도로 이루어진 독일의 통일과정에서 교훈을 얻을 수 있는 것처럼 동화주의적 문화 의 편입은 결국 통일이후에도 사회통합의 과정을 지난하게 만들 우려가 크다.

예술 활동을 통한 남북한 주민 간 사회적 신뢰 형성을 비롯한 사회적 영향이 이론적으로는 설 명이 되지만 그 내용이 현실에 적용될 때에는 의도한 결과로 이어지기까지 개선되어야 할 사항들

100

[참고문헌]

김정수(2010), 「문화행정론」, 서울 : 집문당.

박명규 · 김병연 · 김병로 · 정은미(2013), 「남북통합지수: 2008~2013 변동과 함의」, 서울 :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박명규 외(2016), 「2015 통일의식조사」, 서울 :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박영정 · 오양열 · 김성수 · 신준영 · 정희섭(2013), 「남북문화 교류협력 사업분석 및 발전방안연구」, 서울 :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박영정 · 오양열 · 이우영(2012), 「남북 문화공동체 형성을 위한 문화통합의 방향과 과제」, 서울 :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배성인(2005), 북한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남북한 문화 교류협력 방안, 「문화정책논총」, 제17집, 263-285.

이영철(2014), 근거이론의 근거에 대한 음미: 방법론과 방법, 「한국정책과학학회보」, 제17권 제1호, 187-214.

정인환.(2017. 5. 22), 정의용 안보실장 ‘판문점 핫라인 재개 · 민간교류 검토’, 「한겨레」. http://www.

hani.co.kr/arti/politics/defense/795780.html (최종접속일. 2017. 2. 25.)

Belfiore, E., & Bennett, O.(2008), The social impact of the arts. New York, NY: Palgrave Macmillan.

Bryce, H. J.(2006), Nonprofits as social capital and agents in the public policy process: Toward a new paradigm, Nonproft and Voluntray Sector Quarterly, 35(2), 311-318.

Charmaz, K.(2000), Grounded theory: Objectivist and constructivist methods. In N. Denzin & Y.

Lincoln(Eds.),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2nd ed.). (509-535). Los Angeles,CA:

Sage Publications.

Charmaz, K.(2006), Constructing grounded theory: A practical guide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Los Angeles, CA: SAGE.

이 적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뿐만 아니라 그 과정 역시 매우 복잡한 이해관계에 얽혀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북한이탈주민 예술단의 활동 배경과 공연의 목적, 공연자들이 마주한 다양한 상황과 환 경, 그리고 관객의 공연에 대한 기대 등 다각적이고 상충적인 측면이 상호 연관되어 있다. 그러므 로 국내 예술교류를 통해 남북한 주민 간 신뢰형성을 성취하기 위해서는 북한이탈주민 예술단의 활동에 대한 개선의지, 관객의 지속적인 관심, 그리고 정책적 지원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101 Crane, L.(2011), Working guide trend papers on arts for change. In Animating democracy: A program of American for the Arts. Available: http://animatingdemocracy.org/working-guide-abstracts#crane Creswell, J. W.(2013), Qulitative inquiry &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3rd ed).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Denzin, N. & Lincoln, Y.(Eds).(2000).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2nd ed.). Los Angeles, CA:

Sage Publications.

Dunn, J.(1988), Trust and political agency. In D. Gambetta(Ed). Trust: Making and breaking cooperative relations, (73-93), Oxford: Basil Blackwell.

Galletta, A.(2013), Mastering the semi-structured interview and beyond. New York, NY: New York University Press.

Glesne, C.(2010). Becoming qualitative researchers: An introduction(4th ed.). Boston, MA: Pearson.

Handy, F. & Katz, E.(1998), The wage differential between nonprofit institutions and corporations:

Getting more by paying less? Journal of Comparative Economics, 26(2), 246-261.

Hansmann, H. B.(1980), The role of nonprofit enterprise. The Yale Law Journal, 89(5), 835-901.

Hardin, R.(1999), Do we want trust in government? In M. E. Warren(Ed). (1999). Democracy and trust, (22-41),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Lather, P.(2007), validity, qualitative. In G. Ritzer(Ed), The Blackwell Encyclopedia of Sociology, (5161 -5165), Oxford: Blackwell.

Luhmann, N.(1988), Familiarity, confidence, trust. In D. Gambetta(Ed.), Trust (94-107), New York, NY: Basil Blackwell.

Matarasso, F.(1997), Use or ornament?: The social impact of participation in the arts. Stroud, England:

Comedia.

McCarthy, K. F., Ondaatje, E. H., Zakaras, L., & Brooks, A.(2004), Gift of the muse: Reframing the debate about the benefits of the arts, Research Report, Santa Monica, CA: RAND Corporation.

Morse, J. M. & Niehaus, L.(2009), Mixed method design: Principles and procedures, London: Routledge.

National Endowment for the Arts(2010, March 22), National Endowment for the Arts announces research on informal arts participation in rural and urban areas. Available : http://www.nea.

gov/news/news10/Urban-Rural-Note.html

Nye, J. S.(2004), Soft power: The means to success in world politics, New York, NY: Perseus Books Group.

Offe, C.(1999), How can we trust our fellow citizens? In M. E. Warren(Ed), Democracy and trust (42-87),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2

Peterson, B.(2011), Working guide trend papers on arts for change, In Animating democracy:

A program of American for the Arts. Available: http://animatingdemocracy.org/working -guide-abstracts#peterson

Putnam, R. D.(1993), Making democracy work: Civic traditions in modern Italy.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Putnam, R. D.(2000), Bowling alone: The collapse and revival of American community. New York, NY:

Simon & Schuster Paperbacks.

Shin, H.(2015), Promoting trust building in a unified Korean society: The arts-based policy strategy for social cohesion, Unpublished Ph.D. dissertation, The Ohio State University, Columbus, OH.

Stake, R. E.(2000), Case studies. In Denzin, N. & Y. Lincoln(Eds).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2nd ed.) (435-454), Los Angeles, CA: Sage Publications.

Strauss, A., & Corbin, J.(1990),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Grounded theory procedures and techniques, Newbury Park, CA: Sage.

Strauss, A., & Corbin, J.(1998),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Grounded theory procedures and techniques (2nd ed.), Thousand Oaks, CA: Sage.

Sztompka, P.(1999), Trust: A sociological theor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Wyszomirski, M. J.(2000), Raison d'Etat, raisons des arts: Thinking about public purposes, In J. M.

Cherbo & M. J. Wyszomirski(Eds.), The public life of the arts in America (50-78), Piscataway, NJ: Rutgers, The State University.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웹페이지. http://www.nuac.go.kr/index.jsp

Analyzing the North Korean Defectors' Performing Arts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