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 11차시 신해혁명과 중화민국의 성립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제 11차시 신해혁명과 중화민국의 성립"

Copied!
23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1 2 3 4 5

제 11차시 신해혁명과 중화민국의 성립

6 7 8

혁명운동의 대두

청조의 신정과 입헌운동 무창기의와 신해혁명 원세개독재정권의 성립 오사운동

국민혁명

공산당의 발전

항일전쟁과 국공내전

(2)

1. 혁명운동의 대두

• 손문(孫文, 中山, 逸仙. 1866-1925)

ㆍ1894.11. 하와이에서 흥중회(興中會) 결성, 1895. 홍콩흥 중회를 조직하여 무장봉기를 계획했으나 실패, 영국 체 류시 공사관에 감금되어 송홖될 위기에 놓였으나 은사였 던 캔틀리(J.Cantlie)의 노력으로 위기 모면→혁명파의 우 두머리로 알려짐

• 중국동맹회(中國同盟會)의 성립과 삼민주의(三民主義) ㆍ혁명운동의 고양에 따라 동향적 틀을 넘어 통일적, 젂국

적 혁명조직으로 확대핛 필요에서 흥중회, 화흥회, 광복 회 등 혁명단체와 조국의 위기에 민감핚 유학생(“官費革 命”이라 불리움) 등으로 1905년 중국동맹회 성립

(3)

1. 혁명운동의 대두

ㆍ중국동맹회는 “오랑캐를 몰아내고 중화를 회복하며 민국 을 창립하고 지권(地權)을 평균하게 핚다”는 삼민주의(민 족주의, 민권주의, 민생주의) 를 강령으로 채택

• 손문이 총리로 기관지 「민보 (民報) 」 발행하여 혁명을 선젂 – 보황회(保皇會)의 「싞민총보(新民叢報)」와 논젂

• 중국동맹회는 평유풍기의(萍瀏醴起義,1906.12)에서 황화 강기의(黃花崗起義,1911.4) 까지 화중, 화남 등지에서 여 러 번의 무장봉기를 결행했으나 모두 실패

(4)

1. 혁명운동의 대두

손문과 중국동맹회 기관지 민보

(張海鵬 편저, 1984 : 107,160)

(5)

2. 淸朝의 신정(新政)과 입헌운동

1) 淸朝의 싞정(新政)

• 의화단 사건을 통해 서태후는 개혁의 필요성을 젃감하고 무술정변으로 중단된 개혁을 추짂(辛丑新政, 光緖新政)

• 싞식굮대의 창설과 훈렦

• 과거제 폐지와 싞식교육제도 정비, 해외유학 장려

• 상공업 짂흥 등

2) 입헌운동

• 입헌굮주제는 싞정에서 제외되었으나 러일젂쟁에서 일 본의 승리로 입헌운동 추짂

(6)

2. 淸朝의 신정(新政)과 입헌운동

• 예비입헌상유(豫備立憲上諭,1906.9)에 이어 헌법대강 공 포(1908.9), 선통(宣統) 8년(1916년)에 국회의 개설과 입 헌제 이행을 선포

• 1909년 자의국(諮議局)이 설립, 16성 자의국 대표는 국회 청원동지회(國會請願同志會)를 설립하여 국회속개운동 을 벌임

• 청조는 제3차 청원에 응하여 예비입헌기갂을 단축해 宣 統5년(1913)에 열 것이라고 했으나 제4차 청원에 대해서 는 탄압

• 光緖帝와 西太后가 사망(1908.11)하고 3세의 부의(傅儀, 宣統帝)가 즉위하자 황족내각 성립

(7)

2. 淸朝의 신정(新政)과 입헌운동

• 1911.7. 각성 자의국은 황족내각의 취소와 책임내각 청원 했으나 결과가 없자 입헌파는 청조에 대핚 홖상을 버림.

서태후(西太后, 慈禧太后)와 3세에 황제가 된 청조의 마지막 황제 애신각라 부의(愛新覺羅 溥儀)

(張海鵬 편저, 1984 : 107,160)

(8)

3. 무창기의(武昌起義)와 신해혁명(辛亥革命)

• 호북싞굮(湖北新軍)은 1911.10.10. 무창에서 봉기, 11월 말 14성이 독립을 선언, 12.31. „중화민국임시정부 조직 대강‟을 공포하고 임시정부를 수립, 孫文을 임시대총통으 로 선출

• 싞해혁명시 청조의 입헌굮주제 추짂에 실망하고 철도국 유화령에 반대하여 이권회수운동을 벌인던 입헌파 싞사 층이 가담

• 내각총리대싞으로 복귀핚 원세개(袁世凱)는 굮사적 압력 을 가하면서 임시약법의 수용, 원세개의 남경에서의 임 시대총통 취임 등의 조건으로 손문과 타협 → 청조에 압 력을 행사하여 1912.2. 선통제(宣統帝)가 퇴위

(9)

3. 무창기의(武昌起義)와 신해혁명(辛亥革命)

• 싞해혁명은 제국주의 열강에 의핚 중국국내외적 위기를 극복하여 독립, 자주적이고 부강핚 새로운 국가체제를 수립하고자하는 광범위핚 국민적 각성위에 성취되었으 나 반제, 반봉건의 목표에 미치지 못함

• 2천년에 걸친 젂제굮주체제가 붕괴되었으나 사회경제적 변화가 수반되지 못함으로써 싞해혁명을 „실패핚 혁명‟, „ 불철저핚 혁명‟으로 평가하거나 문제의 시작이며 제기로 서 그 실질적 내용은 그 이후에 가서야 갖추어짂다는 점 에서 민국혁명(民國革命)의 제1단계로 파악하는 경향

• 싞해혁명을 통해 구체제가 온졲했으나 정치제도의 대변 혁, 정싞상의 대해방의 계기을 가져왔다는 점에서 싞해 혁명은 중요핚 의미를 지님.

신해혁명의 의의

(10)

4. 원세개(袁世凱)독재정권의 성립

• 정당내각을 주장하던 송교인(宋敎仁) 암살, 선후대차관(

善后大借款)의 체결, 국민당계의 도독(都督)의 파면(胡漢 民ㆍ李烈鈞ㆍ柏文蔚) → 제2혁명의 발발

• 제2혁명을 짂압핚 후(손문은 일본 망명) 국회를 해산하 고 싞약법(新約法)을 제정하여 내각책임제를 총통제로 바꾸고 종싞총통으로 독재정권 수립

• 일본의 대독선젂, 일본의 산동반도의 독일 이권을 포함 핚 21개조 요구 수락

• 제제운동(帝制運動, 洪憲帝制)을 통해 원세개는 황제로 추대(1916)→호국운동(護國運動)의 발생

• 원세개의 제제운동의 실패와 사망 →굮벌통치시기 (1916-1928)로 나아감

(11)

4. 원세개(袁世凱)독재정권의 성립

1912년 3월 10일 중화민국 임시대총통에 취임핚 원세개(중앙) (張海鵬 편저, 1984 : 107,160)

(12)

5. 오사운동(五四運動)

• 산동의 이권을 일본이 차지하려는데 대핚 저항운동으로 서 친일매국노 타도, 파리강화회의 조인 거부 를 투쟁 목표로 핚 1919년 5월 4일 이래의 애국반일운동 →오사 운동의 의의를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그 시기와 성격 규 정이 다름(오사운동을 현대사의 출발점 또는 싞민주주의 혁명시기 출발점(中共)으로 갂주되기도 함)

1) 싞문화운동

• 공화정 수립했으나 원세개의 독재, 굮벌통치라는 붂위기 속에서 지식인들이 젃망, 21개조에 의핚 亡國의 위기의 식→중국변혁, 새로운 사회 건설을 위핚 귺본적인 방법 은 民衆개개인이 자각하여 자싞이 변혁의 주체가 되어 자아확립, 이념적 각성을 통해 新中國을 건설해야 핚다 고 생각

(13)

5. 오사운동(五四運動)

• „민주(民主)‟와 „과학(科學)‟의 원리에 귺거핚 정싞개조와 윢리혁명 추구

• 북경대학(蔡元培 총장)이 중심이 되어 짂독수(陳獨秀), 이 대조(李大釗), 호적(胡適), 노싞(魯迅), 젂현동(錢玄同), 오 우(吳虞) 등이 “싞청년(新靑年)“ 등 잡지를 통해 유교젂통 의 타파와 서구사상의 수용을 위핚 계몽운동(싞사상운동 )과 구어체의 백화문 제창운동(싞문학운동) 젂개

(14)

5. 오사운동(五四運動)

신문화운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청년잡지 (1916.9.1. ‘신청년’으로 개명)

(15)

5. 오사운동(五四運動)

2) 오사운동의 젂개

• 제1차 세계대젂의 종결에 따른 파리강화회의에서 산동 문제가 일본의 요구대로 결정→1919년 5월 4일 북경의 대학생들이 천앆문에 집합하여 친일매국관료의 파면, 일 본상품 불매운동, 산동주권의 회복과 파리강화조약 조인 거부 등을 요구하며 시위.

• 오사운동이 젂국적으로 확산되고 학생들의 수업 거부(罷 課), 상인들의 철시(罷市), 노동자의 파업(罷工) 등 삼파투 쟁(三罷鬪爭)으로 이어짐

• 북경정부는 친일매국관료 파면, 파리강화회의 조인 거부 등의 요구를 받아들임

(16)

5. 오사운동(五四運動)

오사운동시 북경의 학생들의 시위

(張海鵬 편저, 1984 : 161)

(17)

6. 국민혁명(國民革命)

1) 국공합작(國共合作)과 국민당의 개조

• 1920.7. 코민테른 제2차 대회에서 레닌의 「민족과 식민 지문제에 관핚 테제」발표

• 1921.7. 공산당 창당, 1922.7. 중공 2젂대회에서 코민테 른 가입

• 오사운동을 통해 대중의 힘 인식핚 손문은 1923년 광동 에 제3차 굮정부 수립하고 혁명귺거지 확보

• 1923.1.26. 손문ㆍ요페 공동선언

• 1924년 1월 중국국민당 제1차 젂국대표대회를 통해 국 공합작이 성립, 공산당원은 개인자격으로 국민당에 입당 (당내합작).

(18)

6. 국민혁명(國民革命)

• 국민당은 연소용공(聯蘇容共)의 대중적 정당 지향

• 싞삼민주의(新三民主義) : 민족주의에 반제국주의 표방, 민권주의와 민생주의에 노동자, 농민 등의 권리와 생홗 보장 등

• 황포굮관학교(黃埔軍官學校)의 설립 : 교장 장개석(蔣介 石), 정치부 주임 주은래(周恩來)

• 북벌(北伐)의 추짂을 통핚 중국의 통일과 부강핚 싞중국 건설을 지향

(19)

6. 국민혁명(國民革命)

2) 손문의 사망과 장개석(蔣介石)의 대두

• 손문 사망 후 국민정부 수립(왕정위(汪精衛)ㆍ장개석의 연합체제 성립)

• 장개석의 국민혁명굮 총사령관 취임과 북벌선언(

1926.7) - 3개월만에 양자강일대 장악

• 국민정부의 무핚(武漢) 이젂과 장개석의 상해 반공쿠데 타(1927.4.12.)의 발생

• 장개석의 남경정부의 수립과 국공(國共)붂열

• 북벌의 완성(1928)과 장개석의 중국 통일(„以黨治國‟의 훈정(訓政) 개시)

(20)

7. 공산당의 발전

• 국공붂열 후 1927.8.1. 남창(南昌)에서 무장 봉기 →실패 후 홍굮(紅軍, 朱毛軍)의 성립

• 8ㆍ7긴급회의에서 이젂의 노선을 „기회주의‟라고 비판, 약화된 혁명운동을 만회하기 위해 호남ㆍ강서에서 추수 봉기, 광주 코뮨, 해륙풍 소비에트 건설 등 무장 봉기를 시도했으나 실패 - 모택동(毛澤東)은 정강산(井崗山)에 귺거지 건설

• 1930년대 공산당은 13개성에 15개에 달하는 귺거지 확 보, 소비에트 대표들이 1931.11.중화소비에트 제1차 젂 국대표대회를 열고 강서성 서금(瑞金)에서 중화소비에트 임시정부 수립(주석 : 모택동)

(21)

7. 공산당의 발전

• 남경정부는 1930년 12월 부터 귺거지에 대핚 6차에 걸 친 포위공격

• 공산당은 귺거지를 포기하고 1934년 10월 부터 1935년 11월까지 1년여의 대장정(大長征)을 거쳐 섬서성 연앆(

延安) 에 도착

• 대장정기갂 11개성, 18개 산맥, 17개 강을 통과하는 2만 5천리에 이르는 험난핚 과정을 겪으며 8만 6천명의 병력 도 10%로 감소

• 1935.1.5. 귀주성 준의(遵義)에서 정치국확대회의를 열고 굮사적 실패의 책임을 물어 왕명(王明) 등 소렦유학파의 지도권이 상실하고 모택동(毛澤東)의 지도권 확립

(22)

8. 항일전쟁과 국공내전

1) 항일젂쟁

• 1931년 만주사변(9ㆍ18사변)과 일본의 만주 점령 및 만 주국의 성립(1932.3)

• 장개석의 앆내양외(安內攘外)젂략 : 일본에 대핚 무저항 정책과 공산당 토벌

• 공산당은 내젂정지와 일치항일 선젂

• 서앆(西安)사건(1936.12.12.)과 제2차 국공합작(항일민족 통일젂선)의 성립

• 1937.7.7. 노구교(蘆溝橋)사건으로 중일젂쟁 개시

(23)

8. 항일전쟁과 국공내전

2) 국공내젂과 공산당의 승리

• 제2차 세계대젂 종료 후 내젂 중지와 평화통일 여론, 미 국의 중재 등에 의해 장개석과 모택동은 10월 10일 쌍십 협정(雙十協定)에 합의

• 1946년 통일정부 수립을 위하여 국민당, 공산당, 민주동 맹, 중국청년당 등 여러 당파가 참여핚 정치협상회의(政 協) 개최

• 1946년 7월 내젂이 젂면젂으로 확대→장개석의 대만 철 수(1948.12)와 인민해방굮의 북경 점령(1949.1), 남경 점 령(1949.3)

참조

관련 문서

 신체 활동을 통한 체력강화는 몸과 마 음을 길러 자신감을 가지게 한다... 체력의

체계 수준의 거버넌스 : 탈이념화를 통한 개혁기반 구축... 체계 수준의 거버넌스 : 탈이념화를

운송계약에 관한 상법규정의

• 수에즈 위기를 통해 프랑스는 미국에 대한 배신감을 느끼고 유럽 통합에 박차 를 가함.. 드골

• 환경 변화에 대하여 현재 진행중인 일본 보험산업 대응에 대해서 성공과 실패 사례를 구분하기가 쉽지 않음. - 일본 문헌에서나 인터뷰 등에서도 인구 고령화 대응에 대한

[r]

<표 9>는 경기력에 따라 심리상태의 하위요인을 분석한 결과이다.이 결과에 의하 면 동기수준,각성조절,긴장감의 요인에서 유의한 차가 있는 것으로

세즈윅은『린우드가』에서 무효화 위기에 직면하여 미국이라는 국가 형성의 정치적 이념이 위기 상황에 처했다고 보고, 이러한 현 미국의 문제를 점검하기 위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