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한국 전 통주거 양식을 통 한 디자인 교육에 관 한 연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한국 전 통주거 양식을 통 한 디자인 교육에 관 한 연구"

Copied!
12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A study on design education through understanding traditional Korean housing style

한국 전 통주거 양식을 통 한 디자인 교육에 관 한 연구

국 민 대 학 교 교 육 대 학 원 디 자 인 교 육 전 공

김 진 시 2001

(2)

A study on design education through understanding traditional Korean housing style

한국 전 통주거 양식을 통 한 디자인 교육에 관 한 연구

국 민 대 학 교 교 육 대 학 원 디 자 인 교 육 전 공

김 진 시 2001

(3)

A study on design education through understanding traditional Korean housing style

지 도 교 수

김 철 수

이 논 문 을 석 사 학 위 청 구 논 문 으 로 제 출 함

2001년 12월

디자인 교육에 관 한 연구

국 민 대 학 교 교 육 대 학 원 디 자 인 교 육 전 공

김 진 시

(4)

석 사 학 위 청 구 논 문 을 인 준 함

2001년 12월

심 사 위 원 장

심 사 의 원

심 사 의 원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디자인 교육

(5)

누군가에게 디자인이 무엇이냐고 물어본다면 그 물음에 대한 답은 실로 다양하 게 표출된다. 그 만큼 디자인은 여러 가지 많은 뜻을 내포하고 있으며 그와 관 계된 분야 또한 방대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디자인과 연관된 분야 중에서 문 화는 디자인과 동일한 선상에서 해석되어지고 있다.

우리에게는 필연적으로 주어진 문화 속에서 생활하고 있다. 과거 우리의 문화 적 유산은 그것에 대해 분석하고 이해하는 대상이고, 교육은 진리를 찾는 방법 과 노력을 가르치는 것으로 우리에게 그러한 탐구할 문화적 유산이 있는 한 우 리의 문화적 유산은 존재의 가치가 있을 것이다.

오늘날 디자인 선진국들의 디자인 발전방향을 보면 자국의 문화와 예술활동을 다른 나라에 알리고, 해당되는 국가에 영향력을 행사하며, 민간차

원이 아닌 전략적이면서 정책적인 차원으로 발전시켜 나가고 있다. 또한 디자인 산업분야에 있어 그 나라의 독특한 전통문화를 접목시킴으로써 특유의 민족적 이미지를 창출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지금까지 우리의 디자인은 짧은 연 륜과 함께 근대화에 접어들면서 전통문화와의 단절과 해외디자인의 무분별한 모 방, 그리고 각각의 분야에 지속적인 노력의 부족으로 우리의 고유한 정신과 문 화에 바탕으로 둔 독자적인 디자인 가치의 토대 형성과 이를 통한 디자인의 세 계화가 미흡한 실정이다.

한 국가의 디자인이 세계성을 가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그 나라의 특수성에 따른 문화의 자주성이 표출되고, 이를 바탕으로 세계적인 가치에 적응하면서 보 편적인 우수성이 나타나야 한다. 우리의 전통문화사상과 가치의식은 기후, 풍토, 지형, 사상 등의 영향을 바탕으로 자연의 순리와 평화의 조화, 그리고 유연하 고 수용적 자세를 바탕으로 나타나는데 이것은 미래의 세계적인 조형가치의 흐 름인 전체적인 사고와 자연의 중요성, 사상과 특수성의 중시와 일맥상통하고 있 어 우리의 전통 조형가치가 미래의 세계성에 대한 합당성을 제시하고 있다.

이에 우리의 디자인교육에 있어 우리 나라 전통문화유산과의 자연스런 접목은 보다 독창적이고 우리내의 정서에 부합되는 디자인교육의 극대화를 꾀할 수 있

(6)

관계된 학습내용과 교수방법이 없는 현실에서 우리의 전통문화와 양식에 관계된 디자인 교육은 보다 독창적이고 자국의 정서에 부합되는 디자인교육의 극대화를 꾀할 수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현재 공ㆍ실업계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디자인 교육을 하고 있는 학교에서의 디자인 학습내용이 동양과 서양과의 문화와 환경, 조형적 사상 들이 서로 상반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서양의 디자인 역사와 이론을 바탕으로 과거에서부터 지금까지 우리의 정서와는 아무런 관계없이 학습 자료와 교육 방 법이 그대로 행해지고 있음을 보며 우리의 전통문화와 접목된 디자인 연구와 학 습이 필요하며, 이에 따른 학습자료와 교육방법의 필요성을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둘째, 현재 행해지고 있는 디자인 학습의 내용들이 우리의 전통문화와 주거양 식의 고찰을 통해 디자인에 요구되는 여러 조건들과 원리들이 내재되어있음을 알고 전통문화를 통한 디자인 교육의 필요성과 함께 전통주거양식에서 도출한 디자인의 조건들과 내적, 외적 요소들을 바탕으로 학습의 방향과 목표, 학습내 용을 분석하였다.

셋째, 현재 각 학교에서 교수-학습의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여러 수업모형을 토 대로 하여 이론과 실기의 병합이 요구되는 디자인 수업에 있어 이 요건을 충족 시키는 수업모형을 추출하여 전통주거양식을 통한 디자인학습에 있어서의 수업 모형과 교재내용을 언급하고 그에 따른 기대효과를 제시하였다.

이처럼 각 나라의 디자인 교육에 있어 자국의 우수한 문화유산들을 효율적으로 접목시킨 교육내용과 방향이 실질적인 검증을 통해서 보다 더 구체적이고 바람 직한 디자인 교육의 교과과정으로 설정되기를 희망하며. 나날이 새롭게 변하는 디자인 세계에 있어 현대의 기술 변화와 전통 문화적 특징들이 적절한 조화를 이루는 현실화하는 과정이 이루어지는 진정한 의미에서 디자인 교육의 방향이라 는 인식이 하루 빨리 실현되어지기를 바라고자 하는 것이다.

(7)

1. 서 론

1-1. 연 구 목 적 ...1

1-2. 연 구 내 용 및 범 위 ...3

2. 디자인교육의 이론적 고찰 2-1. 디 자 인 의 의 미 와 목 적 ...5

2-2. 디 자 인 의 요 소 ...6

2-2-1. 형태 ...7

2-2-2. 색 ...11

2-2-3. 질감 ...12

2-3. 디 자 인 의 원 리 ...13

2-3-1. 조화 ...13

2-3-2. 균형 ...14

2-3-3. 비례 ...15

2-4. 디 자 인 교 육 의 역 할 과 중 요 성 ...18

2-4-1. 디자인교육의 역할 ...18

2-4-2. 디자인교육의 중요성 ...18

2-5. 우 리 나 라 공 ㆍ 실 업 계 고 등 학 교 디 자 인 교 육 의 현 황 ...20

2-5-1. 디자인과 교육 목표 ...20

2-5-2. 디자인과 교육의 성격 및 특징 ...22

2-5-3. 디자인과 교과내용 ...23

2-5-4. 디자인과 교육 과정의 변천 ...24

2-5-5. 디자인 관련에 대한 교육내용과 범위 ...26

표 목 차 그림목차 사진목차

(8)

3-1. 배 경 ...28

3-1-1. 동서양 환경비교 ...29

3-1-2. 동서양 사유(思惟)비교 ...30

3-1-3. 동서양 미(美)비교 ...30

3-1-4. 동서양 조형정신의 비교 ...32

3-2. 한 국 전 통 조 형 양 식 의 특 징 ...33

3-2-1. 한국 전통조형가치의 형성 ...33

3-2-2. 한국 전통조형의 기본가치 ...33

3-2-3. 총체-통일-무사의 정신 ...34

3-2-4. 평화-협동-조화의 정신 ...35

3-2-5. 역동-수용-변화의 정신 ...37

3-3. 소 결 ...39

4. 한국 전통양식에 대한 이론적 고찰 4-1. 전 통 의 이 론 적 의 미 ...41

4-2. 전 통 주 거 양 식 에 나 타 나 는 요 소 ...42

4-2-1. 자연 환경적 배경 ...42

4-2-2. 사회 문화적 배경 ...44

4-2-3. 주거양식의 시대적 특징 ...46

4-3. 전 통 주 거 양 식 의 특 징 ...50

4-3-1. 지역별 주거가옥 구조 ...50

4-3-2. 한국의 주거형태 ...51

4-3-3. 구조적 분류 ...53

4-3-4. 기능적 분류 ...55

4-3-5. 주거양식의 세부구조 ...57

4-3-6. 한국의 주거양식의 특징 ...68

(9)

5-1. 전 통 문 화 를 통 한 디 자 인 교 육 의 필 요 성 ...71

5-2. 전 통 주 거 양 식 에 서 도 출 한 디 자 인 의 조 건 과 요 소 ...75

5-3. 전 통 주 거 양 식 을 통 한 디 자 인 학 습 의 방 향 ...87

5-3-1. 목표 ...87

5-3-2. 학습내용 ...88

5-4. 전 통 주 거 양 식 에 서 디 자 인 학 습 의 접 근 방 법 ...90

5-4-1. 디자인 외적인 요소에서의 학습방법 ...91

5-4-2. 디자인 내적인 요소에서의 학습방법 ...94

5-5. 한 국 의 전 통 주 거 양 식 에 서 도 출 한 새 로 운 디 자 인 학 습 자 료 의 수 업 모 형 ...98

5-5-1. 학습내용에 대한 평가 ...107

5-5-2. 전통주거양식을 통한 디자인 교육방안의 기대효과 ...107

6. 결론 및 제언 ...109

참고문헌

ABSTRACT

(10)

<표 1> 디자인과의 교과 내용 비교 ...23

<표 2> 공예과, 디자인과 교과내용의 변천 과정 ...25

<표 3> 제6차 교육과정 내용 ...26

<표 4> 디자인 관련 교과내용 ...27

<표 5> 동서양 환경비교 ...29

<표 6> 동서양 가치관 비교 ...30

<표 7> 동서양 사유 비교 ...31

<표 8> 동서양 미 비교 ...31

<표 9> 동서양 조형원리 및 표출미의 비교 ...32

그림목차 <그림 1> 풍수 개념도 ...46

<그림 2> 지역별 주거가옥 형태 ...50

<그림 3> 기둥의 명칭 ...61

<그림 4> 기둥의 종류 ...62

<그림 5> 기와의 구조 ...64

<그림 6> 암기와와 숫기와 ...65

<그림 7> 위치에 따른 기와의 명칭 ...65

<그림 8> 온돌의 구조 ...67

(11)

<사진 1> 아르프 '별' ...8

<사진 2> 슈토우 쥰토우, 4장의 평평한 판을 나선형으로 접합시킨 구성, 1988 ...8

<사진 3> 우주의 별은 하나의 점으로 인식 ...9

<사진 4> 한복에서 느껴지는 선의 조화 ...9

<사진 5> 선과 면으로 이루어진 창호문 ...10

<사진 6> 창호와 문의 공간적인 면 ...10

<사진 7> 몬드리안의 작품을 응용한 입체의 표현 ...11

<사진 8> 시멘트 조각 ...13

<사진 9> 종이를 선재로 해서 만든 모양 ...13

<사진 10> 완벽한 좌우의 대칭을 보여 주는 자동차 앞모습 ...15

<사진 11> 네스토네 타볼로 70/90", 비대칭의 균형미 아르테미데사의 조명기기 ...15

<사진 12> 밀라노 성당의 완벽한 비례체계 ...17

<사진 13> 한국 처마의 독특한 비례 ...17

<사진 14> 상류주택 ...52

<사진 15> 서민주택 ...52

<사진 16> 안채 ...53

<사진 17> 사랑채 ...53

<사진 18> 사당 ...54

<사진 19> 행랑채 ...54

<사진 20> 대청 ...55

<사진 21> 방 ...55

<사진 22> 사랑방 ...56

<사진 23> 부엌 ...56

<사진 24> 찬방 ...57

<사진 25> 기단 ...58

<사진 26> 주춧돌 ...58

(12)

<사진 28> 가구 ...59

<사진 29> 맞배지붕 ...63

<사진 30> 우진각지붕 ...63

<사진 31> 팔작지붕 ...63

<사진 32> 사모지붕 ...63

<사진 33> 육모지붕 ...64

<사진 34> 팔모지붕 ...64

<사진 35> 가옥의 담 ...66

<사진 36> 가옥의 창 ...67

<사진 37> 창호지 ...67

<사진 38> 머름대의 위치 ...77

<사진 39> 한옥의 처마 ...78

<사진 40> 한옥의 입면 ...80

<사진 41> 몬드리안 composition red black and yellow 1925 ...80

<사진 42> 여러 가지 창호문 ...80

<사진 43> 몬드리안 composition 1935~ 45 ...80

<사진 44> 천정 위의 도리와 보, 서까래의 모습 ...82

<사진 45> 창호문 ...82

(13)

제1장. 서 론

1-1. 연 구 목 적

2000년대에 들어와서 디자인은 하나의 문화적, 예술적인 차원을 넘어서 국가 경제성장과 산업 발전을 위한 현실적인 문제로 인식되어지고 있다.

회화나 조소 등이 절대 미적 가치를 추구하는 순수 미술활동인데 반해 실생활 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는 디자인은 사회현실 속에서 발전하는 미래 지향 적인 디자인 교육의 방향으로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디자인이란 개념은 기술적, 예술적, 문화적인 면 뿐만이 아니라 경제적인 부분 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해석되어지고 있다. 이처럼 디자인 교육에 있어서도 점 점 세분화되고, 새로운 분야들이 속속 등장하는 등 급속한 발전을 거듭함에 따 라, 더욱 새로운 것 또는 전문화되는 것에 중점적인 관심을 보이고 있다. 더욱 이 초ㆍ중등교육에서의 디자인 교육은 모든 디자인의 기본이 되는 디자인 방법 뿐 아니라 종합적인 디자인 능력의 기초를 형성하는 중요한 과정이라 할 수 있 다.

최근에 우리 주변에서 만들어지는 물건들을 자세히 보면 과거 우리 조상들이 만들었던 물건에서 느낄 수 있는 생명감이나 친밀감, 솔직, 담백한 느낌이 없이 조잡하고 볼품없는 이유는 무엇일까? 우리의 과거 유산들은 지금 세계적으로 인 정받고 있는데, 수없이 많은 국내 대학의 디자인계열 학과가 있고 한해 수많은 디자이너를 양성하는 우리로서는 아직도 디자인의 선진국으로 진입하고 있지 못 하는 실정이다.

어찌 보면 짧은 디자인의 역사 속에서 우리 주변의 다른 분야도 마찬가지겠지 만, 급변하는 사회변화 속에서 당장의 현실에서 눈앞의 문제점들만을 해결하려 고 했기에, 이 분야에 대한 깊은 이해나 사고 그리고 올바른 방향에 대한 성찰 이 없었던 것이 그간의 상황이었다. 더군다나 디자이너를 양성하는 디자인 교육 기관에서 조차도 진정 인간과 자연을 위해 디자인하여야 할 디자이너에게 바람 직한 디자인관과 아울러 그들의 사회관이나 자연관을 포괄적으로 교육시키기 보 다는, 지나치게 얇은 감각적인 훈련과 짧은 기술만을 가르친 탓으로, 그들이 슬 기로운 판단과 균형 잡힌 능력, 폭 넓은 안목을 배양하지 못했던 것이 가장 큰 오류라 하겠다. 이탈리아의 경우 우리처럼 많은 디자인 교육기관이 있지 않으

(14)

며, 또한 그리기나 만들기에 탁월한 재간을 갖도록 억지로 훈련시키지도 않으며, 오히려 각자가 선천적으로 갖고 있는 개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자연스럽게 유도 함으로써 개성 있는, 창조적인 디자인을 가능케 한다. 반면에 그들의 찬란한 유 산, 인간이 만드는 물건의 근원인 자연물에 대한 탐구, 물건과 그것을 수용하는 사회에 대한 깊은 이해를 갖도록 함으로써 균형 있는 디자이너가 되도록 교육한 다.

디자인은 인간의 모든 문제에 대해 관심을 갖는다. 따라서 인간이 대하고 있는 모든 문제는 디자이너에게 있어서 모두 다 디자인의 대상이라고 해도 지나친 표 현은 아닐 것이다. 인간의 육체적인 면뿐만 아니라 정신적인 면까지, 시각적인 문제뿐 아니라 비시각적인 면까지, 현실적인 문제뿐 아니라 공상적인 문제까지 그 모두가 디자인의 대상이 된다.

이러한 디자인을 학습하는 요소와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이 중에서 '문 화' 라는 요소는 디자인과는 결코 떨어져서는 안될 요소 중 하나이다. 반만년 역사를 지닌 우리 나라의 전통문화는 실로 대단한 것이다. 이러한 찬란한 전통 문화 중에서 전통양식, 그 중에서도 주거건축양식은 그 당시의 여러 요소 즉, 형태와 기능에 있어 과학적인 논리가 적용된, 시대적인 요인과 환경, 심미성까 지도 고려된 훌륭한 조형물인 것이다. 이 조형물은 인간의 지식과 과학기술, 예 술, 그리고 신념 등 모든 것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전통문화는 인간 의 내면적, 외면적 생활의 디자인이며 문화 자체가 인간생활을 위한 전체적인 디자인이라 할 수 있다.1)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전통문화의 개념은 디자인과 불가분의 관계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1-2. 연 구 내 용 및 범 위

이에 본 논문은 디자인 교육이 현대 사회의 디자인 산업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디자이너를 양성하기 위한 현실적인 디자인 교육에 있어서 한국 전통양식, 그 중에서도 전통주거양식과 디자인 학습의 적용가능성을 모색하였다. 한국의 전통문화를 대표하는 여러 조형물 중에서 전통주거양식은 현대의 디자인의 조건 과 구성 요소들이 가장 많이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서 이러한 한국의 전통주거

1) 민경우, 디자인의 이해, 미진사, 2000, p.295

(15)

조형양식에 나타나는 특징들을 우리의 디자인 학습에 적용하고자 전통주거양식 에서 디자인의 조건과 내적, 외적요인들을 추출하여 이를 통한 디자인의 학습목 표와 방향, 학습의 접근가능성을 모색하여 이에 맞는 학습자료와 수업모형을 제 시하여 오늘날 디자인 교육에 요구되는 자국의 독창적인 디자인의 표출을 위한 디자인 학습의 접근방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또한 현재 공ㆍ실업계 고등학교에서 행해지고 있는 서양의 디자인적인 사고와 역사를 위주로 하는 디자인 수업과 관련된 교재들, 이에 따른 교육방법에 대한 현 상태를 극복하기 위해서 디자인 학습에 있어서 독창성과 창의력 증진 그리고 보다 손쉬운 과학적인 논리와 기능, 디자인 학습의 요소들을 우리의 사상과 정 서에 부합되는 우리의 문화와 조형사상들을 내용으로 하여 보다 쉽고 친근감있 게 익힐 수 있도록, 이러한 학습내용에 부합되는 수업모형과 그에 따른 평가방 법, 그리고 전통주거양식을 통한 교육의 기대효과를 아울러 논하였다.

제1장 에서는 본 논문의 연구목적과 내용, 범위에 대해 서술하였다.

제2장에서는 현재 디자인 학습을 하는 교과내용의 하나로써 디자인의 의미와 목적, 요소와 원리 그리고 디자인교육의 중요성과 역할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현재 우리 나라 공ㆍ실업계 디자인 교육 과정과 커리큘럼을 살펴보았다.

제3장 에서는 동서양의 조형적 사상과 양식을 살펴봄으로써 동서양의 조형요소 와 관계된 여러 내ㆍ외적인 요소들을 서로 비교, 분석하고 그에 따른 한국의 조 형양식의 특징을 알아보았다. 두 문화권의 조형적 사상과 양식에 있어 그들과 연관된 많은 내용들이 산재하지만 본 연구의 주제와 밀접한 관계에 있는 내용들 을 우선적으로 하여 간략하게나마 언급하였다.

제4장 에서는 한국 전통주거양식에 대한 이해로써 전통에 대한 개념 및 의미 그리고 주거양식의 시대별, 사용목적, 지역에 따른 분류를 함과 동시에 형태와 구조, 기능의 파악 등이 디자인에 미치는 영향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았 다.

제5장 에서는 한국 전통양식의 특성과 디자인 학습의 적용가능성을 살펴봄으로 써 전통주거양식을 학습함에 있어 이에 디자인의 조건과 요소, 원리를 도출하고

(16)

비교 분석하여 어떻게 전통주거양식에서 디자인 학습을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고, 이에 부합되는 새로운 디자인 학습모형자료의 연구와 학습내용을 제 시하고 그에 따른 기대효과를 논하였다.

제6장 에서는 결론 및 제언으로서 한국의 전통주거양식들에 나타난 디자인적 요소들이 디자인 교육에 있어 우리 나라의 실정과 정서에 부합되는 디자인 교육 의 방향을 논할 것이다.

(17)

제2장. 디자인 교육의 이론적 고찰

2-1. 디 자 인 의 의 미 와 목 적

현대사회에서 디자인은 다양한 의미를 가지며, 그 영역이 확대됨에 따라 디자 인이 일상화되고 있다. 이 말이 이처럼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는 것은 그 의 미 또한 다의적일 수 밖에 없고, 내포하는 의미 역시 크기 때문일 것이다.

현재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디자인이란 용어는 우리말에서는 적절한 단어가 없 으므로 영어의 design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다.

디자인은 넓은 의미로는 심적 계획(a mental plan)으로 우리들 정신 속에서 싹 이 터서 실현으로 이끄는 계획 및 설계를 의미하며, 좁은 의미로는 보다 사용하 기 쉽고 안전하며, 아름답고, 쾌적한 생활환경을 창조하는 조형적인 행위이며, 미술에 있어서의 계획(a plan in art)으로 특히 회화 제작에 있어서의 예비적인 스케치를 가리킨다.2)

사전적 의미로서의 디자인을 살펴보면, 명사로서의 디자인은 이탈리아어의 disegno와 프랑스어의 dessin에서 볼 수 있듯이 '계획' 이라는 의미로 쓰인다.

동사로서의 의미는 라틴어의 designare와 같이 '지시하다', '계획을 세우다', '스케치를 하다' 등의 의미로 사용된다.3)

이런 여러 가지 의미로부터 디자인은 문제해결을 위한 아이디어 발상과 표현, 계획으로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이다. 즉, 디자인은 사고하는 과정이며, 외부의 사람들이 시각적으로 경험할 수 없는 정신적인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디자인은 특수한 기술이라고 할 수 있는 것으로서 미의 생산기술이라고 하는 의미에서의 미적 기술, 즉 예술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이것을 더욱 한정해서 말한다면 소위 산업 미술(industrial art)의 성격을 지닌다고 말할 수 있는 것 이다. 그것은 순수한 미의 생산기술이 아니다.

또한 순수한 기술도 아닌 것이다. 따라서 디자인은 그 모든 역사를 통해서, 기 술과 예술이라고 하는 양자 사이에 존재하는 어떤 유기적 관념의 총체로서 한 학문으로 형성하게 되었던 것이다.

디자인은 창조적 조형활동으로 대상화되지 않은 활동자체는 현실적으로 의의를

2) 명승수, 현대 디자인학의 지평, 1986, p.14~15 3) 민경우, 디자인의 이해, 미진사, 2000, p.49

(18)

갖지 못하므로, 작용과 대상의 양면이 함께 존재하는 포괄적 의의를 갖는다.

디자인은 명확한 목적을 지닌 활동이다. 여기서 목적이라 함은 활동에 내재하 는 목표를 말한다. 인간은 어떤 목표를 향하여 노력할 수 있지만 도구는 그와 같은 것이 불가능하며, 단지 목표를 수행할 뿐이다. 즉, 목표가 선행됨으로써 목적에 맞는 대상이 나중에 생산되는 것이다.

디자인의 기본적인 목표는 '미와 기능의 통일' 이라고 할 수 있다. 디자인이 되는 물건, 사물은 어떤 일정의 기능을 지님으로서 직접 우리들의 생활에 유익 한 것이며, 디자인 활동은 일정의 실용목적을 보다 유용하게 수행할 수 있는 대 상을 형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디자인은 기능과 거기에 부수하는 재료, 기술에 적절하다고 직관될 수 있는 조 형미를 꾀하는 점에서, 미의 주관적인 생산만을 목표로 하는 예술(fine art)와 는 다르다. 다시 말해서 디자인은 특정한 주관적 미의식을 배제하면서 소비 대 중이 공통적으로 중요시하는 미의식을 전제로 하는 것으로 소비 대중의 환경적 요소를 분석하여 되돌리는 작업까지를 포함하여야 하는 것이다.

디자인의 전 역사를 통하여 미와 기능, 합리와 비합리의 문제는 그 시대의 사 회 구조와 가치관의 변화에 따라 유기적인 변천을 보여 왔으며, 앞으로의 디자 인에 있어서도 서로 자극되고, 보완되고, 분리되는 작용을 통해서 새로운 여러 환경에 반영되는 결과로서의 디자인 의의와 목적으로 변화ㆍ발전을 보일 것이다.

2-2. 디 자 인 의 요 소

디자인에서 그의 실체를 구성하는 요소는 여러 가지 각도에서 분류할 수가 있 는데 이것을 내용적 요소와 형식적 요소로 구분하는 것이 가장 보편화 되어 있 다. 내용적 요소는 디자인하는 대상의 목적, 용도, 기능, 의미 등이며, 형식적 요소는 형태, 색, 질감 등인데 이 밖에 빛이나 운동, 공간, 시간 등이 더해지는 경우도 있다. 형식적 요소는 내용적 요소에 지배되는 것이 보통이나 그 반대의 경우도 성립되므로 양자는 불가분의 관계를 가지고 있다. 또한, 형식적 요소는 재료에 의해서 구체화되므로 재료와 그 가공 및 생산의 기술을 무시할 수 없으 며, 이것을 물질 요소 혹은 실질적 요소로서 취급해도 좋다. 이러한 분류는 완 전한 것은 아니지만 디자인 요소와 그 상호관계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이러한 내용적 요소, 형식적 요소, 실질적 요소 중에서 시각 구성요소로서 형

(19)

식적 요소가 디자인의 핵심을 이룬다고 한다면 디자인의 구성원리를 형식적 요 소에 중점을 두고 연구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디자인 원리(design principle)들은 요소들의 조직(organization)에 관한 기본 적인 지침이며, 요소들을 서로 연결시키는 방법이다. 왜냐하면 디자인 요소들이 각각의 것으로 간주되더라도 요소 자체만 가지고는 아무 것도 할 수 없기 때문 에, 독자적인 요소들을 정리하고 질서를 부여하기 위한 어떤 방법들이 필요해졌 고, 그러한 방법들 중에서 디자인의 구성원리들이 태어났다. 때문에 모든 요소 들은 원리에 의해 서로 의존적 관계를 갖는다. 그러므로 디자인 원리를 응용하 는 데 성공하려면 각 요소의 기능을 완전히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즉, 디자인 요소는 디자인을 하기 위한 재료들이고, 디자인 원리는 이들을 조합하기 위한 구체적인 지침과 원칙에 관한 방법들이라고 할 수 있다.

다음은 디자인의 요소 중 형태적인 요소에 대해 간단히 살펴 보도록 하겠다.

2-2-1. 형 태4)

형태는 주로 우리의 감각 중에서 시각과 촉각에 의해 지각되기 때문에 색과 함 께 대상의 감각적 경험을 형성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모든 형태는 크기와 그들 이 차지하는 공간에 의해 다양해지므로 디자인이나 구성은 근본적으로 형의 배 치라 할 수 있다.5)

일반적으로 형태의 범주에서 다루는 것들은 점, 선, 면, 입체가 있으며, 디자 인에 있어서의 형태는 대상물이 추구하는 실용목적과 일치할 때 비로소 독립된 형태로서의 가치를 지니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실용성의 가치를 내포하고 있어야 한다. 형태는 한 작품의 시각구성을 나타내는 광의적인 단어로서 사용되기도 하 는데, 작품의 '예술적인 형태' 라고 쓰인다면, 바로 형을 의미하는 것일 뿐만 아니라 색체나 질감, 명암, 패턴, 균형 등 제반 의미들을 총체적으로 말하는 것 이기도 하다.

결과적으로 우리가 만드는 형태는 포괄적 의미로 디자이너의 창의성에 입각하 여 부여된 가치가 기능적 요소와 환경적 요소를 동시에 충족시키며 그 결과 우 4) 디자인의 기본요소인 형태는 때때로 area, shape, mass, from으로 언급되기도 한다. 가로와 세로 를 가진 2차원의 평면은 area 혹은 shape이고, 가로와 세로, 그리고 깊이를 가진 3차원의 입체는 mass 또는 form이라고 한다.

5) 민경우, 디자인의 이해, 미진사, 2000, p.172

(20)

리의 감각과 이성을 통해 인지될 수 있는 총체적인 전달매체(communication media)이다.6)

㉠ 점

기하학상의 점은 눈에 보이지 않은 존재이기 때문에 비물질적인 존재로 정의할 수 있다. 그것은 길이도 폭도 깊이도 없는 무차원의 극히 추상적인 개념으로 이 론적으로는 시각으로 볼 수 없기 때문에 어디까지나 가상적 표시로서, 상하 좌 우의 연결이나 지향성도 없으며 면적이나 체적도 없는 비체질적 형이라는 특성 을 가지고 있다. 상징적인 면에 있어서의 점은 모든 조형예술의 '최초의 요소' 로 규정지을 수 있다.

점은 크기가 있기 때문에 단연히 어떤 모양인가 하는 형을 가지고 있는데, 그 외형적 형은 대개는 작고 둥근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7) 하지만 작고 둥근 것에 한정되어 있지 않고 다른 형태나 불규칙한 형도 점으로 지각할 수 있다.

언어에서 점은 이야기가 진행되는 동안에는 부재의 상징이며, 동시에 한 존재 에서 다른 존재에 이르는 교량의 역할을 한다. 그렇기 때문에 점은 외적인 의미 에서나 내적인 의미에서 원천적인 요소이며, 특히 '그래픽' 의 원천적인 요소가 6) 민경우, 전게서, p.174

7) 김병익, 디자인 개론, 태학원, 1999 p.38

<사 진 -1 >

아르 프 '별 '

< 사진 -2 >

슈토 우 쥰 죠우 1 98 8 4장 의 평 평한 판 을 나 선형 으 로 접 합시 킨 구 성

<사진출 처:김춘일 ,조 형의 기호 와 분석 미진사 ,1991, p.37>

<사진출 처:권오현 ,예 술.디자인 의 입체 구성,조형 사,1995,p.46>

(21)

된다.

㉡ 선

선은 조형작업에서 제일 먼저 구체적으로 사용되는 역할을 한다. 우리들이 그 린 선에는 배경 위에 있는 선도 있고, 선에 둘러싸인 형 또는 선에 의하여 분할 된 면, 점의 운동의 궤적, 방향의 표시 등 어느 것이나 시각적 반응 속에 제각 기 다른 표정을 가질 수 있다. 그러므로 자연 속에 있는 선은 시각적으로 그리 큰 역할을 하지 못하나 조형작업에서는 무척 중요한 시각적 요소로서의 역할을 담당한다.

선은 인간뿐만 아니라 조직적인 사회의 마음과 감정 속에 있는 것을 반영한다 고 할 수 있다. 그들 나름의 방법을 통해 소통되는 선의 잠재력은 인간의 자연 에 대한 관찰의 결과이다.8)

㉢ 면

1차원인 선과 달리 면은 넓이를 갖게 되는 2차원의 세계이다. 면은 선과 점에 서 느낄 수 없는 원근감과 질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색채효과에 의한 공간감이 나 입체감도 나타낼 수 있다. 면은 주로 선에 의해 주위의 공간에서 독립된 존 재로 구획된다. 때문에 선의 성격에 의해 면의 성격도 어느 정도 영향을 받는다.

곡선으로 이루어진 원은 각이 갖고 있는 특유의 강인함이 배제되어 있어 직선

8) 민경우, 전게서, p.176

<사 진- 3>

우 주의 별 은 하 나의 점 으 로 인식

< 사진 -4 >

한 복에 서 느 껴지 는 선 의 조화

<사진출 처: 민 경우,디자 인의 이해 ,미 진사,2000, p.175, 177>

(22)

에 의한 면보다는 부드럽다. 완만한 곡선에 의해 한정된 면은 자유롭고 부드러 운 느낌을 주지만, 곡선의 형태에 의해 각기 다른 느낌을 창출한다. 이렇듯 갖 가지 형에 형성되고 있는 윤곽선이 지닌 특성에 따라 그 느낌도 현저하게 다르 다.

점, 선, 면은 눈에 보이는 것을 시각적으로 인식하고 이해할 때 해석되며 이들 이 바로 시각조형의 기본인 형태의 요소가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점, 선, 면 의 구분은 비교적 직관에 의한 것으로 우리의 시각에 들어오는 주변 환경의 상 호관계에서 감각적으로 이해되며 공간에 있어서의 인식의 차이에 따른 한정성과 연계되는 문제인 것이다.

㉣ 입 체

입체의 형은 보는 방향과 각도에 따른 공간에서의 외곽선으로서, 평면상의 윤 곽선과는 차이가 있다. 그것은 입체의 형이 면의 이동에서 생기는 데 반하여 평 면의 형은 선의 이동에서 생기기 때문이다.

면은 선의 길이에 절대적인 지지를 받으며, 최소한으로 축소될 때는 점으로 환 원되는 또 하나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점이 이동하여 생기는 선을 1 차원의 세계라고 하면, 선이 이동하여 생긴 면은 2차원의 세계이고, 면이 이동 하여 생긴 입체는 3차원의 세계, 즉 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입체는 면이 어떠한 각도를 가진 3차원적 방향으로의 이동과 회전에 의해서 만들어지는

< 사진 -6 >

창호 와 문 의 공간 적 인 면

< 사진 -5 >

선 과 면으 로 이 루어 진 창 호문

<사진출 처: 김 대벽,한옥 의 향기,대원 사,2000, p.112, 136>

(23)

것이다.

인간이 만든 형태 중에서 대표적인 것은 육면체로서 자연에서는 찾기 힘들지만 인공물에서는 가장 많이 볼 수 있다. 자연에서 보기 힘들다는 것은 그만큼 경제 적이지는 못하지만 인간들이 만들기 편하기 때문에 많이 사용된다. 때문에 인공 물은 자연물보다 딱딱한 느낌을 준다.

2-2-2. 색 (color)

색은 광원으로부터 나오는 광선이 물체에 비추어 반사, 분해, 투과, 굴절, 흡 수될 때 안구의 망막과 여기에 따르는 시신경에 자극됨으로써 감각된 현상으로 나타난다. 즉, 물체의 성질과 광선의 파장에 의해서 개성화되고 생명화된 빛이 시각을 통하여 감지되는 것이다.

색은 다른 디자인 요소에도 마찬가지겠지만, 일상적으로 인지되고 경험되는 인 간의 세계를 명확하게 압축시켜서 가시적으로 나타내는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간의 속성이 그러하듯이 색에는 세 가지 속성 즉, 색의 이름인 '색 상'과 색의 맑고 탁함을 나타내는 '채도', 그리고 색의 밝고 어두움을 나타내는 '명도' 가 있다. 색은 제각기 특별한 중요성을 지니고 있으며, 이 모든 색들이 한데로 합쳐져서 인간에게 바람직한 환경을 보장해 준다. 때문에 디자이너가 일 상의 환경 속에서 사물을 인식하고 그것들을 창조하기 위해서는 기초적인 색이 론을 알 필요가 있다.

모든 색은 인간의 심리적인 느낌에 따라 난색과 한색으로 크게 나누어 진다.

<사 진- 7>

몬 드리 안 의 작품 을 응 용한 입 체 의 표현

<사진출 처:권오현 ,전 게서,p.24>

(24)

이러한 것은 색체의 체계가 물리적인 것이 아니라 감각으로서의 색채임을 반영 해주는 것이다.

보통 명도가 높고 낮음으로 인해 난색과 한색으로 표현하기도 하고 색을 통해 긴장감이나 심리적인 안정감, 여유, 불안과 초조함를 느낄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색의 성질들이 항상 그렇게 느껴지는 것은 아니다. 그것은 색 을 보는 관찰자 자신의 주관에 의해서 달라져 보이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자신에게 친근감이나 활동적인 느낌을 주는 색을 따뜻한 색 으로 받아들이고 있는 것은 이러한 것을 입증해주는 예가 될 것이다. 인간의 정 서는 매우 변화무쌍할 뿐 아니라 심리적 기질 또한 각 개인마다 서로 다르기 때 문에 색채를 심리적 측면에서 연구하기란 어려운 일이다. 그렇기는 하지만 색체 에 대한 반응 가운데는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일반적인 반 응들도 있다. 디자인 학습을 통해서 앞으로 디자이너가 될 우리로서는 이것을 찾아내어 사용하기도 하고, 새로운 반응을 유발시키기도 하여야 한다.

2-2-3. 질 감

질감은 형태, 색채와 더불어 디자인의 필수요소로서, 물체의 조형성질을 말하 며, 이는 우리의 감각을 통해 형태에 대한 지식을 제공하는 물체의 표면질 (surface quality)이다.

어떤 물체든 궁극적으로는 재료로써 구체화되기 때문에 재질에 대한 감각적 체 험은 중요하다. 그러나 재질에 의해 합리적이고 기능적으로 구체화된다고 하더 라도 디자인에 있어 그 미적 느낌은 항상 추상적이다. 그렇기 때문에 미적 느낌 도 사용된 재질과 그 재질이 가지고 있는 특성, 즉 우리의 감각과 관계하는 추 상적인 질로부터 형성되는 것이다. 다양한 재질에 의한 여러 가지의 질감은 우 리로 하여금 감각을 느끼도록 하는 시각적인 단서를 제공한다. 이러한 질감에 의해서 우리는 어떤 미적 즐거움을 느낄 수 있으므로 질감은 우리에게 미적 특 질을 전해주는 매체라고도 할 수 있다. 때에 따라 질감은 다른 디자인 요소들보 다 미적 질서를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 특히, 근대 이후 건축에서 보이는 유리, 콘크리트, 철재 등은 색채보다도 오히려 그 재료가 가지고 있는 질감의 미묘한 조화에 더 미적 특질이 있어 건축미를 살리고 있으며 제품 디자 인에 있어서도 질감이 디자인의 미적 가치를 결정할 때가 많다.

(25)

2-3. 디 자 인 의 원 리

디자인의 원리란 어떤 실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그것이 이루어져야 할 각 부분 (요소)들을 유기적(질서)으로 통일하기 위한 구조적 계획이다. 즉 디자인 요소 들이 어떤 특정한 효과를 성취하기 위하여 어떻게 결합되어야만 하는가를 결정 하는 하나의 연관법칙이거나 또는 구성계획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원리를 통하여 요소들은 의미 있는 상호관계를 가지게 된다. 본래 미학 상의 개념이지만 오늘날에는 많은 예술 분야에서도 사용되는 원리로서 조화, 비 례, 균형, 율동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원리들은 독립적으로 나타나는 것이 아닌, 상호 유기적인 관계를 갖고 항상 총체적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디자인 학 습을 하는 우리들은 항상 이러한 원리에 대해 숙고해야 하며, 이러한 것들의 범 위 안에서 디자인 작업을 해야 하고, 그의 진행을 구체적으로 실체화시켜 보여 주어야 한다. 왜냐하면 모든 효과적인 디자인은 이러한 원리들이 어떻게 사용되 고, 혹은 반대로 원리들을 깨뜨려서 전혀 새로운 효과를 창조한 것에 대한 질서 정연한 과정을 보여 줌으로써 그 당위성을 입증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2-3-1. 조 화 (Harmony)

<사 진- 8>

시 멘트 조 각

< 사진 -9 >

종 이를 선 재 로 해서 만 든 모 양

<사진출 처: 권 오현,전게 서,p.43, 46>

(26)

디자인에서 두 가지 이상의 요소 또는 단위가 서로 배척하지 않고 관련성을 두 어 하나의 공감을 일으킬 때 조화가 이루어졌다 한다. 조화가 이루어졌을 때 비 로소 그 디자인은 통일성을 가지게 된다. 하지만 두 가지 이상의 요소가 모두 동일하거나 유사할 때 그들은 완전히 조화되고 있다고도 생각할 수 있으나, 오 히려 단조롭다. 따라서 좋은 조화는 요소 상호간에 공통성이 있음과 동시에 무 엇인가의 차이가 있을 때에 얻어지는 것이 보통이다. 이 차이성이 현저할 때 그 들은 대비를 이룬다고 한다. 이러한 내용을 다른 말로 표현하면, 적절한 통일과 변화가 이루어질 때 조화를 이룬다고 볼 수 있다.

조화를 이루는 요소 중에서 유사와 대비라는 각각의 단어들은 이들이 다양성과 변화를 일으키지만 '통일'이란 이 모든 것을 하나의 전체로 통합하는 일이다.

이것을 다양한 통일의 원리라고 한다.

통일을 이룸으로써 우리는 조화로운 형, 색, 질감이 공통적인 특징을 갖고 있 음을 발견하게 된다. 어떤 종류의 유사성-형태든, 색이든, 질감이든, 방향을 가진 선 이든-은 하나로 통일되도록 한다. 변화와 통일은 상반되는 성질을 가 지면서도 긴밀한 관계를 상호유지하지 않고는 미를 표현

할 수 없는 유기적 관계를 가진다. 자연계의 제반현상은 모두 이 원칙에 지배되 어 질서있는 체계를 이루고 있다.

어떤 사물의 디자인에 사용된 같은 양의 색은 다른 양의 색보다 우리를 곧 지 루하게 한다. 요소 사이의 미묘한 변화와 관계는 커다란 호기심에 찬 분위기를 창조하고, 분명한 것보다 더 우리의 마음을 끈다. 디자인은 변화할 수 있는 상 이(相異)함을 연출하는 것이다.

2-3-2. 균 형 (Balance)

두 개 이상의 요소 사이에서 부분과 부분 또는 전체 사이에 시각상의 힘이 안 정되어 있으면 보는 사람에게 안정감을 주고 명쾌한 감정을 느끼게 한다. 이것 을 균형이라 하며, 안정감을 창조하는 질(quality)로서 정의되기도 한다. 우리 는 감각적으로 균형을 구하고 있지만 때로는 단조롭고 정지한 느낌을 깨뜨리기 위해 의도적으로 불균형을 구성할 때도 있다. 디자인에서 우리는 다른 것보다 더 강조하려는 하나의 중심 과제를 표현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사용한다.

균형은 대칭과 비대칭의 두 가지 형태로 인식된다.

(27)

대 칭 ( s y mm e tr y )

대칭은 균형이 가장 정형적인 구성형식이며 가장 일반적인 균형이 잡힌 상태이 다. 어느 도형의 중앙에 직선을 놓고 직선 좌우의 부분이 선에서 같은 거리에 있으며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어 있을 때, 이 선을 대칭축이라고 하며, 이 도 형을 좌우대칭이라고 한다.

비 대 칭 균 형 ( as y m me t r y)

비대칭은 형태상으로는 불균형하지만 시각상의 힘의 정돈에 의하여 균형이 잡 히는 것으로, 보는 사람에게 변화 있는 형태로서 안정감을 주며, 개성적인 감정 을 느끼게 한다. 이와 같이 인간의 심상에는 대칭과 같은 균형을 원하면서 또는 비대칭과 같은 힘의 균형을 유지하려는 경향이 있다.

비대칭 또는 부정형의 균형이 가지고 있는 다양성은 정형적인 균형보다 훨씬 더 매력적이고 은밀한 신비로움을 준다. 자연이 이러한 특성을 갖는데, 인간과 자연을 하나의 구성체로 보고 그 둘 사이에 엄격한 경계선을 만들지 말아야 한 다.

2-3-3. 비 례 (proportion)

비례는 모든 사물의 상대적인 크기를 다룬다. 물건의 크기나 길이에 대하여 그

< 사진 -1 0>

완 벽 한 좌우 의 대 칭을 보 여 주 는 자동 차 앞 모습

< 사진 -1 1>

비 대 칭의 균 형 미 아 르테 미 데사 의 조 명기 기 '네 스 토네 타 볼 로 70 /90 "

<사진출 처: 카 비젼,자동 차생활 ,2000,p.96> <사진출 처:http://www.myhome.netsgo.com/icis/

spe_artemide.htm>

(28)

가 가진 양의 관계를 가리키는 말인데, 조화의 근본이 되는 균형을 말한다. 어 떤 사물의 크기라는 것은 비례는 물론 규모와도 밀접한 관련을 갖게 되므로 이 두 가지 법칙은 떼어놓을 수 없다. 우리는 예상 밖으로 크거나 작은 규모의 물 체에 흥미를 갖게 된다. 따라서 작품에 등장하는 주제의 규모를 적절히 조정함 으로써 디자이너는 즉각적인 시각적 효과를 거둘 수 있다. 개인과 민족에 따라 사람은 각자의 고유한 스케일을 갖는다. 그리고 어떠한 비례 체계도 절대적으로 정해져 있기보다는 그 시대의 미적 감각에 맞게 변화되므로 지나치게 하나의 원 리에 집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인 간 과 자 연 의 비 례

눈을 돌려 자연계를 살펴보더라도 자연스러운 조화의 비례를 얼마든지 발견할 수 있다. 자연계에서 발견되는 거의 모든 형상들은 그 주변의 환경에 맞게 가장 조화로운 비례로 자신의 존재를 적응시켜 나갔음을 알 수 있다. 자연상의 모든 사물은 엄격한 비례를 갖고 있다. 그냥 아무렇게나 생긴 것은 아무 것도 없다.

그래서 자연은 질서라고도 한다. 우리가 자연

속에서 배우고자 하는 것은 바로 이러한 철저한 질서 속에서의 다양성, 통일성 이다.

인 공 물 의 비 례

인간과 관계된 인공물의 디자인에 비례가 존재한다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왜 냐하면 인간은 자연의 한 부분으로서 나름대로의 비례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때문에 의자나 다른 가구의 가장 만족할 만한 디자인은 사물의 구조적 요소의 비례를 결정할 때 고려되어야 하는 해부학적, 공간적인 욕구가 이루어진 것이다.

스칸디나비아 디자이너는 가구 디자인을 위한 기초로서 광범위한 해부학적 연구 를 행한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보관하는 곳의 치수는 수납하는 사물의 크기에 의해 결정된다.

황 금 비 례

고대의 건축가들은 수학적인 비례를 신비의 상징으로 생각하고 특히 건물의 시 각적 비례를 중시하였다. 이것은 오늘날 까지도 디자인의 기본 원리로서 통일과 변화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황금분할법칙(1:1.618)으로 전해지고 있다. 특히

(29)

이 황금분할은 르네상스기에 있어 '신의 비례' 로 존중되었으며 가장 아름다운 비례로서 디자인의 분할에 적용되었다.

우 리 전 통 의 비 례

황금비보다 좀더 실용적이며 아름다운 비례로서 우리 선조들은 이 비례를 금강 산과 같이 아름다운 비례라는 의미에서 '금강비례' 라고 불렀다.

이 비례는 고구려의 금강사와 석굴암을 비롯한 우리 나라 역대 건축에 많이 쓰 여졌다. 우리 전통의 비례 체계는 서구의 정확한 치수에 의한 비례와는 다르다.

때문에 억지로 서구의 비례에 연연해서 꿰맞추는 것은 어리석은 짓이라고 할 수 있다. 비례는 절대적이기 보다는 시간과 공간 속에서 전개되는 운용상의 문제이 므로 고유의 비례 체계를 발전시키는 가운데 운용방법 면에서 시대와 장소, 환 경에 따라 다양하고 탄력성 있게 수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 진 -1 3>

한국 처 마 의 독특 한 비 례

< 사진 -1 2>

밀 라노 성 당 의 완벽 한 비 례체 계

<사진출 처: 민 경우,전게 서,p106, 209>

(30)

2-4. 디 자 인 교 육 의 역 할 과 중 요 성

2-4-1. 디 자 인교 육 의 역할9)

디자인 교육은 궁극적으로 인간의 조형생활과 관련하여 그 생산과 유통, 그것 을 향유하는 올바른 방향과 방법을 교육하는 것이다. 이는 개인의 창의력 함양, 감성의 순화 내지 잠재력 향상이라는 예술 교육적 성격을 넘어서서 인간을 둘러 싼 모든 조형 환경의 창조와 개선 그리고 수용 과정에 직접 참여케 하는 실용적 이며 적극적인 교육이라 할 수 있다.

현재 국내의 고등학교 디자인 교육은 제도상 첫째, 전문 기능인을 양성하는 전 문교육과 둘째, 일반 교육으로서 조형감각의 육성과 그 표현을 통한 창의력 양 성을 목적으로 행해지는 교육으로 분류되며 전자는 공ㆍ실업계 고등학교에서 후 자는 초ㆍ중ㆍ고등학교에서의 미술과 과정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디자인 교육이 교육적 측면으로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은 '디자인을 기초로 한 교육과정' 의 운영에서 찾아볼 수 있다. 디자인은 인간, 가치, 자원, 환경, 사 용에 대한 총체적 사고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학생들은 디자인을 기초로 한 교 육과정에서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고 커뮤니케이션하는데 도움을 주는 예술, 이 를 발전시키는 기술, 그리고 결과물이나 기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과 학을 총체적으로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지혜를 습득할 수 있게 된다.

장래 우수한 디자인 개발에 요구되는 자질은 창의적인 사고력을 바탕으로 공ㆍ 실업게 디자인 교육뿐 아니라 초ㆍ중ㆍ고등학교의 일반교육 과정에서부터 개발 되어져야 할 것이다.

2-4-2. 디 자 인교 육 의 중요 성

디자인 교육은 창의적인 인간 육성이란 측면에서 미적 경험을 부과하는 교육적 목적과 함께 사회적 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보다 편하고 안정된 환경을 원하며 창조적인 활동을 즐기는 정서적인 안정과 생활 속의 미를 추구하고자 하 는 인간의 변화에 따라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디자인은 이미 현대인의 생활에서 없어서는 안될 물, 공기, 식량 등과 같이 인 9) 한국직업능력 개발원, 한국디자인 교육의 실태조사연구, 1988, p.13~15

(31)

간의 생존을 위해서는 필수적인 것이다.10)

이와 같은 시대적 상황을 볼 때, 창의성 신장과 디자인ㆍ디자인과 생활등의 관 련성이란 측면에서 디자인 교육이 매우 중요하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공감을 하 면서도 현실성 없는 교육정책과 사회적 인식, 지원의 부족으로 인해 디자인 본 연의 가치를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11)

이것은 전문인의 양성이 아닌 일반교육을 통하여, 사회생활 속에서 당면하게 될 디자인의 문제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소양을 기르기 위한, 고등학교 과정 에서의 체계적이고 실질적인 교육의 필요성이기도 하다. 그러나 전문 교사의 부 족과 기존 교사의 연수 부족, 학습 프로그램 및 자료,

기자재의 개발과 지원 부족으로 인한 구태 의연한 교육 행정, 열악한 교육환경 등의 제반 문제점으로, 사회발전에 부합하지 못하고 있으며 더구나 일선학교의 입시제도에 편승한 과목운영으로 여타 예술 교과와 함께 소외될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제 정보화 시대에는 창의력과 문제 해결 능력이 더욱 요구 되므로 종래의 획일적이고 서열화된 교육 개념에서 벗어나 다양하고 독창적인 교육 프로그램으로 학생의 잠재 능력 및 창의력 신장을 돕는 데 일조해야 할 것 이다.

오늘날처럼 복합적, 개방적 사고 체계를 요구하는 시대에 디자인 교육의 출발 점은 유치원에서부터 시작되어 대학 전까지의 범위, 즉 생활에서의 디자인교육 으로 확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학습자들에게 디자인과 과학 기술을 습득시켜 디자인적 사고를 갖도록 하는 데 는 조기 교육을 시작하는 것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과 사회성 및 협동 심의 배양 그리고 실험적인 학습 경험의 통합과 분류하는 사고를 형성하는데 도 움이 될 것이다.

디자인 교육의 조기 교육과 시기성을 강조하는 빅터 파바넥(Victor-Papanec)은

"인간을 위한 디자인(Design for Real World : 1995)"에서 디자인이란 인간이 자신의 환경과 나아가서는 그 자신까지도 창조할 수 있는 인류에게 있어서 가장 강한 도구라고 언급하고 있다. 즉 인간은 젊은 세대들에게 가르친 내용과 방법 에 따라 미래 사회를 만들어 감으로 디자인 교육은 중등교육 이후의 직업적이고 업무적인 연구에 그칠 것이 아니라 유치원에서부터 초ㆍ중ㆍ고에도 도입해야 한 다고 강조하고 있다.

10) 윤태호, 한국의 디자인진흥정책 방향설정에 관한 연구, 한양대 박사논문, 1993 11) 박한유, 21세기를 대비한 디자인 정책, KSID, 1992, p.3

(32)

최근 미국에서는 유럽과 마찬가지로 디자인 조기 교육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 다. 교과 과정의 10% 정도를 디자인과 과학 기술, 정보 등을 학습하는데 할애하 고 있으며, 5~6세까지는 K-12 디자인 기초 교육(knowing)과 행하는 것(doing)의 균형이 잡힌 교육을 일찍부터 길러 주어 디자인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이를 전인 교육으로 전환시켜 가는 보다 큰 개념으로 활용하고 있다.12)

디자인 교육이 교육적 측면에서 기여할 수 있는 것은 '디자인을 기초로 한 교 육과정'의 운영을 통해서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디자인은 인간, 가치, 자원, 환경, 문화에 대한 총체적 사고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학습자인 학생들은 디자 인을 기초로 한 교육과정에서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고 커뮤니케이션 하는데 도 움을 주는 예술(art), 이를 발전시키는 기술(technology)을 총체적으로 이해하 고 활용할 수 있는 지혜를 습득할 수 있다.13)

초ㆍ중ㆍ고등학교에서의 디자인 교육에 있어 디자인의 내용과 해결방법을 가르 치기보다 디자인 행위의 본질에 대한 이해를 통하여 창의력과 유연한 사고를 발 전시키도록 '보고, 듣고, 생각하고, 만들고, 행하는' 행위에 기반을 둠으로써 일반교육과도 자연스럽게 조화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디자인 전문인에 의한 전문인 양성 교육이 아닌, 이러한 디자인 교육이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학생과 교사에게 지속적으로 좋은 교육 정보와 환

경을 제공하는 교육 지원 시스템이 적용되어야 하며, 창의적인 사고력을 신장시 킬 수 있는 디자인 교육 과정과 교재들이 개발되어져야 할 것이다.

2-5. 우 리 나 라 공 ㆍ 실 업 계 고 등 학 교 디 자 인 교 육 의 현 황

2-5-1. 디 자 인과 교 육 목 표

디자인 교육은 책임 있는 디자이너를 양성하는 교육이다. 교육의 장에 있어서 는 이 교육 목표는 변함이 없다.14) 디자인 교육을 받은 학생이 장차 사회에 나가 디자이너가 되든, 미술가가 되든, 사업가가 되든 그것은 개인의 자유이지만 디 자인 교육의 장에 있어서는 디자이너가 되게 하는 디자인 교육의 목표를 충실히 실천해야 할 것이다.

12) 권은숙, 디자인학 연구, vol.5, 1997, p.92 13) 박한유, 전게서, p.91

14) 정시화, 디자인 교육의 이론적 배경과 그 목표, 디자인 포장 60호, 1982, p.13

(33)

교육 인구의 증가 때문에 교사가 부족하고 따라서 교사의 질적 수준이 우리 사 회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데 디자인 교육에 있어서도 예외는 아니

다. 만약 대부분의 교사가 그들이 학습받을 당시의 교수 방법 패턴으로 디자인 교육을 답습한다면 디자인 교육은 개선 될 수 없을 것이다. 주관적으로 학습 목 표를 해석하고 주관적으로 교수한 나머지 디자인 교육의 진정한 의미는 종종 상 실 되었던 예를 우리는 많이 보아왔다. 디자인 교육은 센스를 함양하는 교육이 며, 문제 해결 능력을 함양하는 교육이기 때문에 새로운 디자인 방법론의 측면 에서 교육되어야 할 것이다.15)

교육부가 고시한 공업계 고등학교 디자인과 교육목표16)는 다음과 같다.

디자인과의 교육목표는 제2차부터 제3차 교육과정까지는 공예과 교육 목표, 제 4차, 제5차 교육과정에서는 디자인과 교육목표를 제시하고 있다. 공예과 및 디 자인과의 목표를 비교해보면, 제1차 교육과정에서는 학과 목표가 제시되지 않았 고, 2차 교육과정(공예과)의 목표는 공예에 관한 기초적인 지식과 기능을 길러, 생활을 미화할 수 있는 창조적 능력을 가진 기능, 기술자를 기른다.

3차 교육과정(공예과)의 목표는 공예에 관한 기초 지식과 기능을 길러, 공예 실무에 종사할 수 있는 창조적 능력을 가진 기능, 기술인을 기른다.

4차 교육과정(디자인과)의 목표는 디자인에 관한 기본 지식과 기술을 바탕으로 미적인 구상력과 표현 능력을 습득하게 하여, 각종 디자인 분야의 실무에 종사 할 기술인을 양성한다.

5차, 6차 교육 과정에서는 학과별 목표를 제시하지 않고 농업, 공업, 상업, 수 산, 해운, 가사 실업, 과학, 체육, 예술, 외국어 등 9개 개열의 총괄 목표만 제 시되었다.

제6차 교육과정 개정 기초 연구 기관에서는 디자인과의 교육 목표를 다음과 같 이 제안하고 있다.

"디자인 분야에 관한 기본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게 하여 관련 분야의 시각적 표현과 광고 설계, 제작 실무에 종사할 기술인으로서의 자질과 능력을 기른다".

제7차 교육과정은 세계화, 정보화 시대에 대비한 인간상 구현에 초점을 두고 있다. 미술교육 과정 속에 포함된 디자인 교육은 2002년부터는 7차 교육과정에 서 시행될 예정이다. 7차 교육과정에서도 고등학교 디자인교육의 발전방향은 예 리한 관찰력과 넓은 지식, 풍부한 상상력 등 심미적인 조형능력

15) 정시화, 앞의 글, p.13

16) 교육부, 지방 교육 지원국 과학 기술과 통계자료, 공업계 고등학교 현황, 1996

(34)

(aestheticsense)은 물론, 과학적인 사고능력(scientific- thinking)을 갖추도 록 하여 미래의 고도정보화 사회에 필요한 인력을 배출할 수 있어야 할 것17) 으 로 본다.

이상과 같은 디자인 교육목표 진술 내용을 비교하면 공업계 고등학교 디자인과 의 교육 목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 기초 지식과 기술 습득 : 기초적인 학문 강조

㉡ 시각적 표현, 광고 설계 및 제작 : 졸업 후 직무, 진로에 대한 방향 제시

㉢ 자질과 능력(능력과 태도) : 직업인으로서의 자질 함양

2-5-2. 디 자 인과 교 육 의 성격 및 특 징

디자인이란 용어를 사용하기 시작한 것은 1920~1930년대 근대 산업이 성립된 이후부터이다. 디자인은 비교적 규모가 작은 일상 용품의 디자인을 계획하는 일 을 말하며, 일상 용품을 보다 사용하기 쉽고 안전하게 하며, 아름답고 쾌적한 생활 환경을 창조하는 기술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또 인간 생활의 구체적 목적 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계획하고 실행하는 종합 조형 계획을 뜻한다.18)

현 디자인 교육의 특성은 시각언어와 조형 문법에 대한 기초 감각과 표현력 육 성으로써의 시각학습(Visual experience)과 디자인과정(Design- Process)을 중 시한 문제 해결학습(Problem solving)에 있다 할 것이다.19)

학생들의 자유롭고 창의적인 조형활동이 디자인 교육의 밑바탕이 되어 학생들 스스로가 일상 생활 속에서 새로운 미적 사실을 발견하여 하나의 체험에서 다음 경험으로 활용하여 항상 새롭고 신선한 교육으로 발전시켜

나가는 것이 디자인 교육의 본질이다.

디자인 교육은 학생들의 미적 감각을 이끌어 내어 새로운 조형 감각과 능력을 신장 시키는 일이며 내면적인 개성을 존중하여 색이나 형 등의 시각언어에 친숙 하게 하여 자신을 표현하는 능력을 길러 나가야 한다. 공업고등학교 디자인과는 3년 동안 디자인 일반, 디자인 재료, 디자인 제도 등의 이론과 실기를 익힌 후 디자인 산업 분야에 종사하게 된다. 실업계 고등학교 중, 상업계에서는 상업 디 자인과, 가사 실업계에서는 자수과ㆍ의상과, 예술계에서는 미술과 에서 디자인 17) 조영남, 제7차 교육과정과 정보화교육, 교원연수자료, 대구대학교

18) 교육부, 전게서, p,164

19) 박휘락, 한국 디자인 교육의 변천과정 연구, 대구 교육대학 논문집, 1985, p.280

(35)

에 관련된 교육과정이 제정ㆍ고시되고 있다.

2-5-3. 디 자 인과 교 과 내용

제5, 6차 교육과정에서의 디자인과 교육 내용을 비교하면(표-1), 제5차 교육과 정에서의 색채학, 도장 교과목이 색채관리로 통합되었으며, 광고ㆍ사진 교과목 을 신설하였다. 광고ㆍ사진은 디자인 전문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으 며, 광고 디자인, 인쇄 디자인, 사진 분야가 포함되어 있고, 이론과 실습을 병 행해 지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기초 실습은 내용을 일부 개편하여 조형 실습 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실습 교과에서는 제5차의 기초 제도와 디자인 제도의 두 과목을 디자인 제도로 통합하였으며, 디자인과 에서는 제도가 필수 과목(교육부 지정)이나, 디자인 제 도를 필수와 선택으로 분리하여 이수할 수 있게 되었다.

교과목 내용을 살펴보면 (표-1)와 같이 전문 이론 교과는 디자인 일반, 디자인 재료, 색채관리, 광고ㆍ사진 등 4과목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디자인 일반에서는 디자인의 개요, 역사, 디자인의 요소 및 원리, 디자인 분야, 방법 및 관리 등으 로 짜여졌으며, 디자인 재료는 재료의 개요, 금속, 목재, 플라스틱, 도자기, 유 리, 섬유, 종이, 피혁재료 및 기타 조형재료를 열거하였다.

(표 -1 ) 디 자 인과 의 교 과 내용 비 교20)

20) 교육부, 실업계교육과정 해설, 서울,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1995, p.66에서 요약 구 분 제5차 교육과정 제6차 교육과정 비 고

이론 교과

디자인 일반 디자인 재료 색채학 도장

디자인 일반 디자인 재료 색채 관리 광고ㆍ사진

색채학, 도장 과목을 통합하여 색채관리.

광고ㆍ사진은 신설과목

실습 교과

기초실습 디자인 실습-1 디자인 실습-2 공예 실습-1 공예 실습-2 기초 제도 디자인 제도

조형 실습 디자인 실습 공예 실습 디자인 제도

(36)

색채관리에서는 색의 기초, 효과, 표시 방법, 조화와 배색, 생활과 색채, 도료 와 착색, 도장 방법 등의 내용이, 광고ㆍ사진 교과에서는 광고의 개요, 광고 계 획, 광고 원고 및 레이아웃, 신문 잡지 광고, 옥외 광고, 사진 일반, 인쇄 디자 인의 내용으로 짜여져 있다.

전문 실습 교과목은 디자인 제도, 조형실습, 디자인 실습, 공예실습 등 4과목 이다. 디자인 제도는 제도의 기초, 투시도법, 레터링, 켬퓨터를 이용한 제도 등 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조형 실습은 표현기법, 평면구성, 입체구성, 응용과제 등의 내용으로, 디자인 실습은 시각, 제품, 환경, 켬퓨터 그래픽, 응용과제로 구성되었다. 공예실습 과목은 목공예, 금속공예, 도자공예, 염직 공예, 그 밖의 공예, 응용과제로 구성되었다.

2-5-4. 디 자 인과 교 육 과정 의 변 천

디자인이 형성된 동기는 실제 사회의 요구나 인식에 의해서였던 것보다는 교육 적 인식에 의해서 훨씬 더 강조되었고 선행되었으며 교육에 있어서까지도 디자 인에 대한 이해는 본질적인데 까지 접근할 수 없었던 것이다.21)

1960년대 상공 미술 전람회를 개최하면서 디자인이 일반화되기 시작하였고 이 시기 정부의 문교 방침 아래 상업 미술이라는 명칭을 사용하게 되었으며 디자인 에 대한 이론 부족으로 개념이 모호한 채 대학에서 디자인 교육이 이루어졌으며 70년대 이후 경제성장의 힘으로 기업에서 디자인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전문 디 자이너를 필요로 하게 되었으며 교과내용의 변천과정은 (표-2)와 같다.

이 가운데서 현재 실시중인 제6차 교육과정의 교과편제를 보면 교육부 지정인 전문 필수과목으로 공업입문, 디자인 제도, 전자계산 일반 과목과 과정별 필수과목은 시ㆍ도 교육청이 지정한 선택과목의 9개 계열 378전문 교과 중에서 학교 설정에 맞게 선택이 가능하며 교과 내용으로는 디자인 일반, 디자 인 재료, 색채 관리, 광고ㆍ사진(신설과목) 전문 이론교과 4과목 조형 실습, 디 자인 실습, 공예 실습, 디자인 제도의 실습교과 4과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표 -3) 단위 배당으로는 전문 교과 배당이 82~122단위이며 전문 실습교과 이수 단 위는 전문 교과의 50%이상 단위 배정(제도과목도 실습교과에 포함)하게 되어 있 으며 전문 교과별 이수 단위 결정은 시ㆍ도 교육청 또는 학교에서 결정하도록

21) 정시화, 한국의 현대 디자인, 열화당, 1986, p.25

(37)

되어 있다. 현 디자인과 에서는 시ㆍ도별, 학교별로 전문교과가 계열필수, 학과 필수, 학과선택으로 나누어 96~100단위 선에서 운영 중이다.

(표 -2 ) 공 예 과, 디 자인 과 교 과 내용 의 변 천과 정22)

22) 교육부, 전게서-공업계열, p.162~163 교육과정

구분 설치 학과명 전문 필수과목 전문 선택과목 비고

1차

54년~63년

금속 공예 과 목재 공예 과

금속공 예 실습 금 속공예 도 안

제도 공 예 금속

공작 금 속 재료

목공 실습 목 재 공예제 도

공작 설계 목 재 및 공작

공예사

필 수/선택 구 분 없슴

2차

63년~74년

공예과

공예 실습 , 공예 제 도 도장재 료ㆍ도 장 공예사 ㆍ공예 개론 의장이 론

색채 학 공예 재 료 재료 역 학

3차

74년~81년

공예과

공예 기초 실 습 공예 제도 , 도안 공예 개론 공예 재료 도장재 료, 도 장

공예 선 택 실습 의장 이 론, 색 채학 공예 재 료 역학 무기 화학

뮤기 화학, 미술ㆍ 도학 전기 기 계 일반

4차

81년~87년

디자 인과

공업 입문 기초 실습 기초 제도 디자인 일 반 표현 기법

디자 인 실제 디자 인 재료 색채 학, 도 장

선택 실 습-디자 인 실습-1 디자인 실 습-2 디자인 실 습-3

5차

88년~95년

디자 인과

공업 입문 기초 실습 기초 제도 디자인 일 반 디자인 재 료

색채 학 디자 인 제도

선택 실 습-디자 인 실습-1 디자인 실 습-2 공예 실습 -1 공예 실습 -2

6차

96년~2001 디 자인과

공업 입문 디자인 제 도 전자계 산 일반

디자 인 일반 디자인 재 료 색채 관 리 광고ㆍ 사진 조형 실 습 디자인 실 습 공예 실 습 디자인 제 도

참조

관련 문서

2.Hypothesi s1:Thehypothesi sthatthedementi apreventi onprogram wi l l si gni fi cantl y affecti mprovementofcogni ti vefuncti on oftheel derl y wi th cogni ti

9 Designed aerodynamic shape of 500W class wind

담양 죽로차의 문헌적 고찰은 생육환경에 따른 죽로차의 유래를 살펴보기 위해서 대 나무산지를 중심으로 한・중・일 죽로차의 역사를 비교하였다.담양 죽로차에 관해

• 디자인 의뢰가 들어오면 시장조사를 통해 소비자의 취향과 욕구 , 유행흐름 을 분석하고 디자인 동향을 파악하여 , 만들고자 하는 제품의 기술동향 ,

결과적으로 최근의 급격한 환경변화의 영향으로 공공기관 부문의 경우 세계화, 정보화로 대변되는 새로운 시대적 조류의 한 가운데서 종래에는 경험해 보지

중량농도법에 따른 입자의 농도 측정을 위해 필터를 사용하여 미세먼지 입자를 채집하였으며, 측정한 광소멸계수를 통 한 분석을 뒷받침하기 위해서

성을 비교 연구한 결과 이성분계 블렌드는 전형적인 불상용성을 보였지만 삼성분 계인 PP/PE/EPDM의 경우 EPDM의 함량 증가에 따라 블렌드 점도가 증가하였고

승패를 다루는 경쟁 스포츠는 본질적으로 서로 실력을 견주어 승․패를 쟁취한다 는 경쟁의 형식을 취하기 때문에 항상 규칙이라는 것이 존재하며,이 규칙의 적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