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한자 문화권의 중국을 위시한 동양과 헬레미즘, 헤브라이즘이 결합된 서양이 서로 독특한 문화와 문명을 바탕으로 발전시킨 가장 큰 이유는 인간이 대처하게 된 자연환경이었다. 동양의 자연환경은 농경에 알맞은 온난한 기후와 비옥한 토 지, 세계의 지붕이라 일컬어진 히말라야 등의 산맥으로 막혀 있고 남,동은 바다 로 막혀 있어 다른 영향을 받지 않아 고유한 문화를 이룩할 수 있었다.

이와 달리 서양은 헤브라이즘이 배제된 곳은 건조하고 척박한 토지에서 목축생 활을 하였고 헬레미즘은 인접한 지중해를 통해 밖으로 나아가 교역하고 약탈하 는 해양생활로 이 두 문화는 서로 융합하고 영향을 받아 동양과는 전혀 다른 문 화를 만들어 냈다. 서양의 유목생활의 지배논리는 초월성을 낳았고 법칙적으로 연역적 사고를 낳았다. 이는 바벨로니아의 천문학을 발전시켰고 이러한 천문학 을 헬레미즘의 기하학적(幾何學的) 사유(思惟)를 발전시켰으며 이러한 기하학적 사유는 형상성(形象性)을 만들어 그리스와 로마, 르네상스에 이르러 자연과학의 법칙을 낳았다.

이러한 사유의 구조는 미감(美感)에도 차이를 가져와 서양에서는 절대적인 미 가 동양에서는 상대적인 미가 강조되었다. 이는 여러 결과물(회화, 건축, 도자 기, 가구 등)에서 그 차이를 확실히 알 수 있다. 디자인 또한 이러한 사유에 의 해 그대로 적용되어 발전되어 온 것을 알 수 있다.

비교란 서로 같은 조건에서의 여러 상황을 전제로 한다. 하지만 동서양의 전혀 다른 자연환경과 그에 따른 여러 결과들로 서로 비교가 될 수 있으나 위의 전제 를 만족시켜 주지 못한다. 그러나 먼저 동서양의 여러 환경들과 사상, 가치관 그리고 조형양식들을 비교하고 한국적인 조형양식의 특성에 대해 이해함으로써 다음 장에서 다루게 될 한국의 전통조형양식과 전통주거양식에 대해 좀 더 쉽게 접근을 하고자 하기 위함이다.

이 장에서는 동서양의 조형요소와 관계된 여러 내ㆍ외적인 요소들을 서로 비교, 분석하고 그에 따른 한국의 조형양식의 특징을 고찰하고자 한다. 비교 대상에 있어 보다 많은 포괄적인 내용들이 산재하지만 본 연구의 주제와 밀접한 관계에 있는 내용들을 우선적으로 하여 간략하게나마 언급하고자 한다.

3-1-1. 동 서 양의 환 경 비교

동양과 서양은 지형과 기후, 인종, 종교적 배경, 정치제도 등 많은 부분에서 차이를 보인다. 서양이 지중해를 중심으로 해양과 유목문화를 바탕으로 무역을 위주로 발전하여 국가간의 교류는 시대마다 많은 변화와 차이의 요인이 되기도 했다. 자연에 대해서는 대립과 개척의 대상으로 인식, 사고 면에서는 효용과 분 석 중시의 경향을 보인다.

이에 비해 동양은 남동쪽으로 해양이, 서쪽으로 세계의 지붕인 히말라야가 북 쪽으로는 고비사막으로 가로막혀 교류가 서양에 비해 적어, 자기 완결적인 경향 으로 동양은 전통적으로 온대 농경문화를 바탕으로 자연경외, 평화성과 격정성, 수용성, 보수성, 그리고 난폭성의 양면적 특질을 나타내어 경험적인 생물학이 발달하였다.

사회제도 면에서는 동양이 고대부터 강력한 중앙집권적 군주제로 발달하였다.

서양은 군주제가 18세기 프랑스 대혁명을 기점으로 시민위주의 공화국으로 자발 적으로 변모해 갔다.

종교 면에서 동양이 유ㆍ불ㆍ도의 자연주의적인 모습을 보이는 반면 서양은 크 리스트교의 유일한 사상을 보인다. 동양이 정치와 종교가 따로 분리되어 발전한 데 비해 서양은 오랜 동안 교황의 영향 하에 있었다. 종교가 사회와 문화에 끼 친 영향에 따라 문화의 발전 방향 역시 많은 차이점을 보인다.

이상에서 같은 동서양 사상적 바탕 차이에 의해 동양은 자연중심의 정신 의미 위주의 사회로 성장해온 반면, 서양은 인간중심의 물질과 실용주의 사회로 성장 해 왔다.

구분 동 양 서 양

기후 온대기후 지중해성 기후

지형 내륙, 광활한 토지 해양, 사막

종교 유,불,도교의 철학적 인간간의 화합 기독교 중심의 정신적, 육체적 분리

사 회제 도 중앙집권적 군주제 도시국가, 봉건제, 시민사회

사상 자연중심의 정신, 의미유추 인간중심의 물질, 실용주의

( 표- 5) 동 서 양 환경 비 교

3-1-2. 동 서 양 사유 (思 惟 )의 비 교25)

동양의 사유는 전체적으로 개인의 도덕적 삶을 위한 수양론을 강조하여 개인의 수양을 중시하고 수양의 방법을 모색하였다. 개인의 도덕적 자각을 기반으로 바 람직한 사회를 추구하였다.

생명 존중 및 자연과의 조화를 강조하여 인간은 대자연의 일부로서 자연의 질 서 속에 있는 존재임을 주장한다. 동양사의 자연관은 인간이 자연과 대립하고 다투는 것이 아니라 서로 도움을 주고 받는 관계임을 중시한다. 이들의 자연은 생명의 장이며, 인간은 자연 속의 생명으로서 생명을 통해 자연과 연계되어 있 다고 생각했다.

서양 철학에서 가장 중요한 개념인 '이성' 은 각기 다른 존재임에도 함께 사는 사회를 유지하기 위한 공통성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서로에 대한 예의와 교양이 중시되고 법과 사회의 각종 조직이 발달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서양철학의 전통 에서는 개별자에서 보편을 찾아가는 매우 분석적이고 치밀한 이론들과 논리학, 사회철학 등이 발전하게 되었다.

3-1-3. 동 서 양 미(美)의 비 교26)

서양은 시각적인 질서와 조화를 중시하였다. 정확한 비례와 척도를 이데아에 가까운 순수한 미(美)라 하여 찬양하였다. 이것은 수학적 직관으로 플라톤의 이

25) 김내한, 동서양 디자인 사유의 원형 및 미학 비교 고찰, 국민대 석사학위논문, 1999, p.63 26) 김내한, 전게서 p.74에서 요약 발췌

구분 동 양 서 양

이 상 상 성인 의인

문 화전 통 효제를 중심으로 한 가족 신과 계약한 거룩한 백성의 공동체

사 회규 범 천(天)을 올바로 섬김 하나님을 두려워 함

경전 사서삼경(四書三經) 성경

( 표- 6) 동 서 양 가치 관 비 교

성을 추구하는 이데아 이론을 지키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중세는 신의 섭리에 의한 초월적인 원형의 아름다움 추구와 근대에는 자연과학적 지식을 이용하여 가시적인 세계를 나타내려 하였다. 드디어 학문으로서 감성적 인식에 바탕을 둔 미학을 수립하게 된다. 후에는 초월적인 형이상학의 순수미학을 추구하게 된다.

동양의 아름다움은 인식의 완성이라 여겨 예(禮)를 잠시도 몸에서 떠나지 않게 가르쳤고 나아가 국가에서 장려하는 모습을 보여 준다. 상대적이고 주관적인 미 를 중시하였고 형식은 내용의 통일을 강조하였다.

서양은 절대적인 기준이 아닌 상대적인 미를 논하였다. 불교에서는 초월과 해 탈, 평정과 평화를 미(美)라 하였다.

( 표- 7) 동 서 양 사유 비 교

구분 동 양 서 양

사상 적 기 반 유교ㆍ불교ㆍ도교 기독교, 그리스 철학

목 표 천인합일 이성에 입각한 바른 삶

성 향 보수적 합리적

자 연관 유기적 일원론 대립, 투쟁

사고 방 향 보편(天) 개인 개인 보편(이성)

사고 의 관 점 심성론(가치론) 인식론, 존재론

문 화 정신문화 발달 물질문명 발달

생활 형 태 농경문화 해양, 유목문화

동 양 서 양

정신적 미 중심 시각적 질서 중심

주관적 아름다움 정확한 비례ㆍ척도

상대적 미 절대적 미

일원적 이원적

상징적 실제적

철학적 종교적

내면의 정신 실체적 표현

( 표- 8) 동 서 양 미의 비 교

3-1-4. 동 서 양 조형 정 신의 비 교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