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저작자표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저작자표시"

Copied!
217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2)

2013年 2月 博士學位論文

담양 죽로차 생엽의 이화학적 성질이 반발효차의 성분에 미치는 영향

朝 鮮 大 學 校 大 學 院

國 際 茶 文 化 學 科

全 東 福

(3)

담양 죽로차 생엽의 이화학적 성질이 반발효차의 성분에 미치는 영향

St udyonVa r i at i onofPhys i c oc he mi c alCompos i t i on bySe mi -f e r me nt at i onus i ngFr e s hLe ave sof

Da myangJ ukr o-t e a

2013年 2月 25日

朝 鮮 大 學 校 大 學 院

國 際 茶 文 化 學 科

全 東 福

(4)

담양 죽로차 생엽의 이화학적 성질이 반발효차의 성분에 미치는 영향

指導敎授 金 敬 洙

이 論文을 博士學位 申請論文으로 提出함.

2012年 10月

朝 鮮 大 學 校 大 學 院

國 際 茶 文 化 學 科

全 東 福

(5)
(6)

목 차

ABSTRACT·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Ⅻ

제 1장 서 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제 2장 담양 죽로차의 문헌적 고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제 1절 머리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제 2절 생육환경에 따른 죽로차의 유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

1.한국의 죽로차 ···7

2.중국의 죽로차 ···8

3.일본의 죽로차 ···10

제 3절 문헌을 통해 본 담양 죽로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2

1.우리나라 죽로차 ···12

2.담양 죽로차 ···19

3.문헌에 나타난 차의 효능 ···28

제 4절 죽로차와 일반 녹차의 비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3

1.죽로차의 생산현황 ···33

(7)

2.일반차의 현황 ···35

1)차나무의 국내 재배면적 및 차의 생산량 ···35

2)일반차의 수입현황 ···37

3.죽로차의 생육환경 ···40

4.죽로차와 일반녹차의 성분비교 ···43

제 5절 맺음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6

참고문헌( 제 2장 문헌고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7

제 3장 재료 및 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1

제 1절 실험재료,시약 및 분석기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1

1.재료 ···51

2.시약 ···55

3.분석기기 ···55

제 2절 실험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6

1.일반성분 및 비휘발성 유효성분 분석 ···56

1)수분 및 조회분 분석 ···56

2)테아닌 분석 ···57

3)카테킨 분석 ···59

4)카페인 분석 ···59

(8)

2.휘발성 유기성분 분석 ···61

1)휘발성 유기성분의 추출 ···61

2)휘발성 유기성분의 확인 및 정량 분석 ···64

가.머무름 지수(retentionindex)의 수립 ···64

나.휘발성 유기성분의 분석 ···65

다.휘발성 유기성분의 확인 및 정량 ···67

제 4장 결과 및 고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0

제 1절 담양 죽로차의 일반성분 및 비휘발성 유효성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0

1. 수분 및 회분 ···70

2. 테아닌 ···72

3. 카테킨 ···76

4. 카페인 ···82

제 2절 담양 죽로차 생엽의 연령별 휘발성 유기성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6

1.담양 죽로차 생엽의 휘발성 유기성분 변화 ···86

1)담양 죽로차 40일엽의 휘발성 유기성분 ···86

2)담양 죽로차 60일엽의 휘발성 유기성분 ···96

3)담양 죽로차 90일엽의 휘발성 유기성분 ···106

2.담양 죽로차 생엽의 관능기별 휘발성 유기성분 변화 비교 ···115

제 3절 담양 죽로

연령별 생엽의 반발효에 의한 휘발성 유기성분 · · · · · · · · · · · · · · · ·126

1.담양 죽로차 연령별 생엽의 반발효에 의한 휘발성 유기성분 변화 비교 ···126

(9)

1)담양 죽로차 40일엽 반발효차의 휘발성 유기성분 ···126

2)담양 죽로차 60일엽 반발효차의 휘발성 유기성분 ···135

3)담양 죽로차 90일엽 반발효차의 휘발성 유기성분 ···145

2.담양 죽로차 생엽의 반발효에 의한 관능기별 휘발성 유기성분 변화 비교 ···155

제 4절 담양 죽로차 생엽과 반발효에 의한 휘발성 유기성분 변화 비교 · · · · · · · · · · · ·167

1

.담양 죽로차 40일엽과 반발효차의 휘발성 유기성분 비교 ···167

2.담양 죽로차 60일엽과 반발효차의 휘발성 유기성분 비교 ···173

3.담양 죽로차 90일엽과 반발효차의 휘발성 유기성분 비교 ···178

4.담양 죽로차 생엽과 반발효에 의한 관능기별 휘발성 유기성분 변화 비교 ···183

제 5장 요약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86

참고문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89

(10)

LI ST OF TABLES

Table1. 朝鮮時代 文獻의 茶産地 ···22

Table2. 죽로차 재배 현황 ···34

Table3. 담양 죽로차 생산실적 ···34

Table4. 국내 일반차의 재배현황 ···36

Table5. 일반차(Tea)류 연도별 수입 동향 ···38

Table6. 차(Tea)류 상위 수입국 추이 ···39

Table7. 죽로차 생산지역의 토성 ···41

Table8. 죽로차 생산지역의 월별 평균 기온 ···41

Table9. 죽로차 생산지역의 연평균 기온 및 최저·고 기온 ···42

Table10.죽로차잎과 일반녹차잎의 일반성분 함량 ···44

Table11.지역별 찻잎의 유리아미노산 평균과 담양 죽로차 함량 비교 ···45

Table12.AnalysisconditionsofHPLC fortheanine···58

Table13.HPLC conditionsforanalysisofcatechinandcaffeine ···60

Table14.GC/MS conditionsforidentificationofvolatilecompounds···66

Table15.Retentiontimeofn-alkanesforgaschromatographicretentionindex···68

Table16.ComparisonofmoistureandashcontentsDamyangJukro-teaaccordingto growingperiod···71

Table17.ComparisonoftheaninecontentsinDamyangJukro-teaaccordingtogrowing period···75

Table18.ComparisonofcatechincontentsinDamyangJukro-teaaccordingtogrowing period···79

(11)

Table19.ComparisonofcaffeinecontentsinDamyangJukro-teaaccordingtogrowing period···85 Table20.Volatilecomponentsidentifiedin40dayleavesofDamyangJukro-tea···90 Table21.Relativecontentoffunctionalgroupsin identifiedvolatilecomponentsin 40dayleavesofDamyangJukro-tea···93 Table22.Comparison ofrelativeconcentration by C6-compoundsin 40day leaves ofDamyangJukro-tea···94 Table23.Comparisonofrelativeconcentrationbyterpenoidgroupsin40dayleaves ofDamyangJukro-tea···95 Table24.Volatilecomponentsidentifiedin60dayleavesofDamyangJukro-tea···99 Table25.Relativecontentoffunctionalgroupsin identifiedvolatilecomponentsin 60dayleavesofDamyangJukro-tea···103 Table26.Comparison ofrelativeconcentration by C6-compoundsin 60day leaves ofDamyangJukro-tea···104 Table27.Comparisonofrelativeconcentrationbyterpenoidgroupsin60dayleaves ofDamyangJukro-tea···105 Table28.Volatilecomponentsidentifiedin90dayleavesofDamyangJukro-tea···109 Table29.Relativecontentoffunctionalgroupsin identifiedvolatilecomponentsin 90dayleavesofDamyangJukro-tea···112 Table30.Comparison ofrelativeconcentration by C6-compoundsin 90day leaves ofDamyangJukro-tea···113 Table31.Comparisonofrelativeconcentrationbyterpenoidgroupsin90dayleaves ofDamyangJukro-tea···114 Table32.Relativecontentoffunctionalgroupsin identifiedvolatilecomponentsin

(12)

freshleavesofDamyangJukro-tea···119 Table 33.Comparison ofrelative concentration by C6-compounds in fresh leaves ofDamyangJukro-tea···121 Table34.Comparison ofrelativeconcentrationby terpenoidgroupsin freshleaves ofDamyangJukro-tea···123 Table35.Aromaticcharacterization ofidentifiedmajorvolatilecomponentsfrom

freshleavesofDamyangJukro-tea···125 Table36.Volatilecomponentsidentifiedinsemi-fermented40dayleavesofDamyang Jukro-tea···129 Table37.Relativecontentoffunctionalgroupsin identified volatile components semi-fermented40dayleavesofDamyangJukro-tea···132 Table38.ComparisonofrelativeconcentrationbyC6-compoundsinsemi-fermented

40dayleavesofDamyangJukro-tea···133 Table39.Comparisonofrelativeconcentrationbyterpenoidgroupsinsemi-fermented 40dayleavesofDamyangJukro-tea···134 Table40.Volatilecomponentsidentifiedinsemi-fermented60dayleavesofDamyang Jukro-tea···138 Table41.Relativecontentoffunctionalgroupsin identifiedvolatilecomponentsin semi-fermented60dayleavesofDamyangJukro-tea···142 Table42.Comparison ofrelativeconcentration by C6-compoundsin semi-fermented 60dayleavesofDamyangJukro-tea···143 Table43.Comparisonofrelativeconcentrationbyterpenoidgroupsinsemi-fermented 60dayleavesofDamyangJukro-tea···144 Table44.Volatile components identified in semi-fermented of90 day leaves

(13)

DamyangJukro-tea···148 Table45.Relativecontentoffunctionalgroupsin identifiedvolatilecomponentsin semi-fermented90dayleavesofDamyangJukro-tea···152 Table46.Comparison ofrelative concentration by C6-compounds in fresh and semi-fermented90dayleavesofDamyangJukro-tea···153 Table47.Comparisonofrelativeconcentrationbyterpenoidgroupsinsemi-fermented 90dayleavesofDamyangJukro-tea···154 Table48.Relativecontentoffunctionalgroupsin identifiedvolatilecomponentsin semi-fermentedleavesofDamyangJukro-tea···159 Table49.Comparison ofrelativeconcentration by C6-compoundsin semi-fermented leavesofDamyangJukro-tea···161 Table50.Comparisonofrelativeconcentrationbyterpenoidgroupsinsemi-fermented leavesofDamyangJukro-tea···163 Table51.Aromatic characterization ofidentified majorvolatilecomponentsfrom

semi-fermentedleavesofDamyangJukro-tea···165 Table52.Volatilecomponentsidentifiedinfreshandsemi-fermentedof40dayleaves

···170 Table53.Volatilecomponentsidentifiedinfreshandsemi-fermentedof60dayleaves

···175 Table54.Volatilecomponentsidentifiedinfreshandsemi-fermentedof90dayleaves

···180 Table55.Relativecontentoffunctionalgroupsin identifiedvolatilecomponentsin freshandsemi-fermentedleavesofDamyangJukro-tea···185

(14)

LI ST OF FI GURES

Fig.1. DamyangJukro-teafieldusedforsampling···52 Fig.2. TheclassificationofcharacteristicgrowingperiodwithfreshleavesofDamyang

Jukro-tea···53 Fig.3. Theproceduresofthemanufacturingprocessofsemi-fermentedleaves

ofDamyangJukro-tea···54 Fig.4. Diagram ofsimultaneoussteam distillationandextraction(SDE)apparatus

accordingtoLikensandNickerson···62 Fig.5. Analysisofvolatileflavorcomponentsinfreshandsemi-fermentedleaves

ofDamyangJukro-tea···63 Fig.6. GC/MS chromatogram ofn-alkanestandardmixture ···69 Fig.7. Chromatogram oftheaninecontentsinfreshleavesofDamyangJukro-tea···73 Fig.8. Chromatogram oftheaninecontentsinsemi-fermentedleavesofDamyang

Jukro-tea···74 Fig.9. Chromatogram ofcatechincontentsinfreshleavesofDamyangJukro-tea····77 Fig.10.Chromatogram ofcatechin contentsin semi-fermented leavesofDamyang Jukro-tea···78 Fig.11.ComparisonofcatechincontentsinfreshleavesofDamyangJukro-tea···80 Fig.12.Comparisonofcatechincontentsinsemi-fermentedleavesofDamyangJukro-tea

···81 Fig.13.Chromatogram ofcaffeinecontentsinfreshleavesofDamyangJukro-tea··83 Fig.14.Chromatogram ofcaffeine contents in semi-fermented leavesofDamyang

(15)

Jukro-tea···84 Fig.15.Comparison ofcaffeine contents in Damyang Jukro-tea according to growing period···85 Fig.16.GC/MS totalionchromatogram offlavorcomponentsin40dayleavesof

DamyangJukro-tea···88 Fig.17.Anoverview ofprimarymetabolitesandtheirlinkstosecondarmetabolites

···89 Fig.18.GC/MS totalionchromatogram offlavorcomponentsin60dayleavesof

DamyangJukro-tea···98 Fig.19.GC/MS totalionchromatogram offlavorcomponentsin90dayleavesof

DamyangJukro-tea···108 Fig.20.Comparisonoffunctionalgroupsinidentifiedvolatilecomponentsinfresh

leavesofDamyangJukro-tea···120 Fig.21.ComparisonofrelativeconcentrationbyC6-compoundsinfreshleavesof

DamyangJukro-tea···122 Fig.22.Comparisonofrelativeconcentrationbyterpenoidgroupsinfreshleavesof

DamyangJukro-tea···124 Fig.23.GC/MS totalionchromatogram offlavorcomponentsinsemi-fermented

40dayleavesofDamyangJukro-tea···128 Fig.24.GC/MS totalionchromatogram offlavorcomponentsinsemi-fermented

60dayleavesofDamyangJukro-tea ···137 Fig.25.GC/MS totalionchromatogram offlavorcomponentsinsemi-fermented

90dayleavesofDamyangJukro-tea···147 Fig.26.Relativecontentoffunctionalgroupsinidentifiedvolatilecomponents

(16)

insemi-fermentedleavesofDamyangJukro-tea···160 Fig.27.ComparisonofrelativeconcentrationbyC6-compoundsinsemi-fermented

leavesofDamyangJukro-tea···162 Fig.28.Comparisonofrelativeconcentrationbyterpenoidgroupsinsemi-fermented

leavesofDamyangJukro-tea···164 Fig.29.ComparisonofrelativeconcentrationbyC6-compoundsinfreshandsemi-

fermentedof40dayleaves···171 Fig.30.Comparisonofrelativeconcentrationbyterpenoidcompoundgroupsinfresh andsemi-fermentedof40dayleaves···172 Fig.31.ComparisonofrelativeconcentrationbyC6-compoundsinfreshandsemi-

fermentedof60dayleaves···176 Fig.32.Comparisonofrelativeconcentrationbyterpenoidcompoundgroupsinfresh

andsemi-fermentedof60dayleaves···177 Fig.33.ComparisonofrelativeconcentrationbyC6-compoundsinfreshandsemi-

fermentedof90dayleaves···181 Fig.34.Comparisonofrelativeconcentrationbyterpenoidcompoundgroupsinfresh

andsemi-fermentedof90dayleaves···182

(17)

ABSTRACT

St udy on Var i at i on ofPhysi cochemi cal Composi t i on by Semi -f er ment at i on usi ng Fr esh

LeavesofDamyang Jukr o-t ea

JeonDong-Bok

Advisor:Prof.Kim,Kyong-Su,Ph.D DepartmentofInternationalTeaCulture GraduateSchoolofChosunUniversity

Thisstudy wasperformedon theimpactevaluationofgrowing environmentand efficacy on three internationalvarieties of Jukro-tea namely Korea,China and Japan by literature.The published work explain thatthere is no change in the cultivation among thethreecountriesmention,which isthesameascan beseen todayasforDamyangJukro-teasinceperiodofthethreeKingdoms.

Fresh leavesofJukro-teagrowth period wereotherwiseitistomakingDamyang jukro-teaofhighqualitythataftersemi-fermentationandexaminedthevariationofthe composition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A total of 136 volatile organic compounds were detected in the three types ofsample fresh leaves ofDamyang Jukro-tea.These were 91 compounds,amounting 98.53 mg/kg for40 day leaves, 106compounds(86.52mg/kg)and 98compounds(41.24mg/kg)for60day leaves and90dayleavesrespectively,andwasdecreasedasalongergrowth period.The volatile organic compounds identified were a total of 159 species of from semi-fermentedleavesofJukro-tea.Thesewerein40dayleaves(103.9mg/kg),60

(18)

day leaves(259.56mg/kg),and 90day leaves(273.14mg/kg).Theoverallcontent ofthecompoundstobeincreased asthelongergrowth period.Themajorvolatile organic compounds C6 aldehyde,hexanal,(E)-2-hexenalcontentof fresh leaves was the highestfor90 day leaves butthatof40 and 60 day leaves were the same.

Hexanaland (E)-2-hexenalcontent was very low in semi-fermented 40 day leaves,whilefor60daysleavesitwasvery high,butthe90daysleavescontent wasslightlychanged.(Z)-3-Hexenoland(E)-2-Hexenolcontentweredecreasedin allsemi-fermentedleaves.Aldehydecompoundswerethemostabundantcontentin semi-fermented 60 day leaves and decreased slightly in semi-fermented 90 day leaves.Hexanal,(E)-2-hexenal,3-methyl-butanal,2-methylbutanalwere the most abundantcontents ofsemi-fermented 60 day leaves,which decreased in 90 day leaves and smallamountwere also detected in 40 day leaves.Furfuralofsweet aromawasfoundinnodifferenceaccordingtothegrowthperiod.

Terpenoid compounds including geraniol,linalool,(E)-nerolidol,

α

-terpineolwere found in the decreasing orderof:40 day > 60 day > 90 day.The fourspecies compounds oflinalooloxide were high in 60 day leaves.From fresh leaves to semi-fermented leaves,the contentofgeraniolwas increased for 60 day leaves while decreased for40 day leaves and 90 day leaves.Also from fresh leaves to semi-fermented leaves the contentoflinalooldecreased for 40 day leaves while area% wasdecreasedbut60dayleavesand90dayleaveswereunchanged.(E)-nerolidol contentwasincreased much,regardlesstothegrowth period offresh leaveshave been semi-fermented.Methyljasmonate was found only in semi-fermeted 40 day leaves.(Z)-3-hexenylhexanoateand(E)-2-hexenylhexanoatearetheuniqueflavorof tea which was found in higheramountin 60 day leaves than 90 days.

β

-ionone wasingreatercontentonlyinsemi-fermented60dayleaves.(E)-

β

-damascenonewas found in smallamountonly in semi-fermented 60 day leaves.D-limonene and

β

-bisaboleneweremostprominentinsemi-fermented60dayleaves.

Majorcatechin composition offresh leavesofDamyang Jukro-teawere:EGCg,

(19)

ECg,EGC while in semi-fermented leaves these were :EGC,GCg,EGCg.The EGC was the highest7.12% in semi-fermented 60 day leaves,EGCg contentof semi-fermented 40day leaveswas9.94%,60days6.80%,90days1.79%.Catechin contentoffreshleaveswhensemi-fermented,decreasedonthewhole.Thecaffeine contentin40dayleaveswas0.91%,60dayleaves1.65% and90dayleaves0.43%.

Afterfermentation,the caffeine contentremained in the same trend as in fresh leaves,buttheamountin semi-fermented 40day and 90 day leavesincreased to 1.32% and 0.88 % while in 60 day leaves decreased to 1.40%.Pyrroles and pyrazineswhich havesavory flavorcreated by fermentation weredetectedin small amountonly in semi-fermented 40day leaves.Theantioxidantactivitieswhich are dependenton catechins namely EC,ECg and EGCg,whose amountwas found decreased,withthefermentationprogresses.

In conclusion we studied the differentgrowth levels and harvest periods of Damyang Jukro-tea whilefresh leavessemi-fermented to analyzethevariation in physicochemicalcomposition.Theusefulofthenon-volatilecompounds,Catechins, theanineand caffeinewerecomparedby growth periodofteaand theirimpacton sensory and flavor.Fresh leavesofDamyang Jukro-teaon semi-fermentation was found topartially volatileorganiccompoundsthedecreasewasvery minuteon 60 dayleaveswerethemosteffectivetea,reducethenonvolatilecompounds.

Especially,the content of the characteristic volatile compounds of jukro-tea increased by semi-fermentation in 60 day leaves.Thus a 60 day leaves were supposed,tobethebestleavesformakinghighqualityDamyangJukro-tea.

(20)

제 1장 서 론

차(茶)는 차나무(Camelliasinensis(L.)0kuntze)의 어린 잎을 따서 유념·건조·덖음·

발효 등 다양한 가공방법을 이용하여 제다한 후 끓이거나 우려서 마시는 가장 오래된 음료 중의 하나이다.고대에 먹을거리를 찾다가 우연히 야생에서 자라는 차나무를 발 견하여 그 잎이 해가 없음을 알게 되어 식용으로 이용하였고,식용 후 차의 약리작용 의 효능을 알게 되어 질병 예방과 치료용으로 널리 음용하기 시작하였다(1).

우리나라의 차는 250여 변이계통의 자생차와 일본이나 대만의 육성품종이 주류를 이 루고 있으며(2),재배면적은 1990년 448ha에서 2007년 3,692ha로 8.2배 증가하였다(3).

세계의 차무역량은 연평균 160만톤,재배면적 약 250만 ha,생산량은 약 320만톤으로 최근 10여년간 우리나라의 경제발전과 함께 건강과 웰빙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면서 차 소비가 증가하고 있으며 수입녹차의 높은 관세율로 국산차가 웰빙음료 및 문화음료 에까지 급속히 성장 발전하고 있다(4).국내차 1인당 소비량을 보면 1990년에 약 10g 에서 2009년 약 100g 정도로 증가하였다.이는 영국,일본의 각각 1/30,1/15수준이 며 2005년을 기점으로 소비자의 기호 변화 및 다류의 수입과 2007년 농약파동으로 소 비가 일시적인 감소를 보였다(5).

차나무의 적합한 생육조건은 연평균 기온이 14-16℃이며 연강수량은 1500mm 이상 으로 토양은 배수가 잘되는 사질토(pH 4.4~5.5)로 풍화가 잘되는 곳에서 잘 자라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6).죽로차의 경우 이런 내음성 환경에서 군락을 이뤄 잘 자라 며,이는 겨울철 혹한기에 잡목이나 대나무수림 등에 의해 동해의 피해를 피하는데 도 움이 된다(7).차의 명칭은 제다방법·채취시기·잎의 모양 그리고 생육환경 등 여러 조 건에 따라 붙여지는데 죽로차는 생육환경에 따른 명칭으로 대나무숲에서 대나무 이슬 을 먹고 자란 차라하여 명명되었다(8).죽로차는 조선시대 임금에게 진상하던 고급차로 일반 차류에 비하여 쓴맛이 적어 맛이 깊고 부드러우며,엽록소의 양이 많고 차의 정 미성분인 테아닌 등 아미노산함량이 비교적 많아 맛과 향기에 있어서 최고의 품질로 인정받고 있다(9).

테아닌은 감칠맛을 내는 성분으로 녹차의 유리아미노산 중 50% 정도를 차지하면서 차의 품질을 결정하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는데 온도와 일조량의 영향을 받는다.테 아닌의 함량은 일조량이 적고 온도가 낮을수록 증가하고 수확시기가 늦을수록 감소한

(21)

다(10).죽로차의 역사는 16개의 사찰 답사를 통해 작성된 산사다적지(山寺茶積地)권 태운 교수의 차고사의 고찰과 현황 본을 통해서 유추할 수 있다.죽로차라는 명칭이 곡성·장성·구례·강진·장흥·김해 등지로 전승되었고,천은사의 죽전차,백양사와 송광사 의 죽로차,화엄사는 자급용으로 제조하여 이름이 없었고 죽로차의 메카로 알려진 보 림사는 죽로차를 작설차로 명명하여 쓰기도 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11).

죽로차의 생산지역은 담양을 중심으로 곡성·장성 지역이며,이들 세 지역은 백제시 대부터 매우 근접해 있어 현대의 지역 경계와 비교하면 서로 겹치는 지역이 많았다.

조선시대 담양에는 종 3품의 관리가 부임하고 곡성과 장성에는 종 6품의 관리가 부임 하였으며,장성군과 곡성군은 담양의 하위 지역으로 편제되어 담양군이 세지역의 중심 적 역할을 했음을 알 수 있다(12).이 사실을 통해서 담양·곡성·장성에서 생산되는 죽 로차를 ‘담양의 죽로차’라고 통칭할 수 있다.

1454년(단종2년)에 완성된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 와 1530년에 완성된 신 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에 담양지역은 물산(物産)으로 기록되어 있으며,토 공(土貢)으로 차(茶)와 오죽(烏竹)이 있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또한 대나무 숲을 뜻하 는 황죽(篁竹)을 언급한 것으로 보아 이미 오래전부터 담양도호부에 무성한 대나무 숲 이 있었으며,대나무와 함께 차나무가 자생했던 것으로 보인다.문헌속에 나타난 담양 지역의 차와 관련된 지명으로 용면 통천리(桶泉里)의 차나뭇,담양읍의 삼다리,월산면 의 다정이 있으며,현재에도 금성면 외추리(外楸里)와 남면 연천리(燕川里)등 20개소 의 자생차 산지가 있다(13,14).또한 담양의 죽로차를 직접적으로 언급하지는 않았으나 조선시대의 가사문학이 발전하고 수많은 선비들이 담양의 정자문화와 문인들이 남긴 기록 속에서 죽로차의 명맥을 찾을 수 있다(15).

현재 담양은 대나무 이슬을 머금고 자란 ‘담양 죽로차’로 특허청의 ‘지리적 표시 단 체표장(제146호)’을 획득하여 죽로차의 명성을 인정받은 상태이다.우리나라에서 생산 되고 있는 다른 지역의 녹차와 해외에서 수입되고 있는 다양한 차류들과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 담양 지역 죽로차의 생육환경에 맞는 제다조건을 개발하여 기능성 죽로 차를 만들어 부가가치를 높여야 한다.본 연구자는 문헌고찰을 통해 죽로차의 역사를 살펴보고 죽로차의 성분을 확인하여 고품질의 죽로차 개발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찻잎에 함유되어 있는 성분들은 차나무(CamelliasinensisL.)의 품종과 재배토양,강 수량,기온 등 생육환경 및 찻잎의 채취시기에 따라 다르며,차의 품질을 결정하는 맛

(22)

과 향은 이들 조건과 제다방법에 따라 달라진다(16).차나무의 생육 조건 중 제 1요인 으로 겨울철 최저 기온이 -5~-6℃인 지역이 좋으며,11월부터 5월 이전의 최저온도가 높게 유지되면 찻잎의 수확시기를 앞당기고 수확의 기회를 증가시켜 토지 생산성을 높 일 수 있다(17).하루에 4시간 정도의 일조량이면 고급차 제다에 적당하며,반그늘에서 자라면 엽록소의 함량은 증가하고 섬유소는 감소하여 잎이 부드러워 고운 분말로 만들 어 말차로 이용할 수 있다.일조량이 적으면 테아닌의 함량은 증가하여 감칠 맛이 좋 으며 떫은 맛의 polyphenol은 감소하고 쓴맛의 카페인은 증가한다(18).

일반적으로 우전과 세작처럼 채엽시기가 빠른 찻잎으로 제다한 차 일수록 총 질소, 아미노산 및 카페인 함량이 많으며,채엽시기가 늦은 찻잎으로 제다한 차 일수록 떫은 맛의 카테킨 함량이 증가하여 우전과 세작으로 만든 녹차의 기호성이 좋은 것으로 알 려져 있다(19).조 등의 하동지역 녹차 생잎의 채엽시기별(우전-세작-중작)화학성분 연구에서 클로로필,섬유질,탄닌,EC (epicatechin),EGCG (epigallocatechin gallate), ECG (epicatechin gallate),총카테킨 함량은 채엽시기가 늦어질수록 증가하였으며,총 질소,총아미노산,테아닌,카페인 등은 감소하였고,총카테킨,총질소,엽록소,총유리 아미노산,테아닌,카페인의 함량은 우전과 세작에서 큰 차이가 없었다고 보고 하였다 (20).차의 품질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인 향기성분은 찻잎의 풀향이 제조 가공 중에 변화되어 여러 가지 유기성분이 형성되는데(21),찻잎의 채취시기와 품종에 따라 다를 수 있고 같은 품종이더라도 재배되는 지역이나 가공방법에 따라 다르다(22,23).

차의 중요한 유기성분은 크게 C6화합물,방향족 alcohol류,terpene류로 구분할 수 있다.찻잎을 마쇄하면 세포막을 구성하고 있는 인지질로부터

α

-linolenic acid 및 linoleic acid가 생성되어 lipoxygenase의 작용으로 C6-alcohol인 (Z)-3-hexenol과 C6-aldehyde인 (E)-2-hexenal 등이 생성되며, 아미노산의 효소적 반응에 의해서 benzylalcohol과 2-phenylethanol등의 방향족 알콜류가 생성되고,mevalonicacid가 mevalonatepathway를 통해 linalool과 geraniol과 같은 terpene류가 생성된다(24).이 등의 연구에서 채엽 시기에 상관없이 생엽에 n-hexanal,(E)-2-hexenal,(Z)-3-hexenal, linalool이 공통적으로 총 향기 생성량의 58.03~78.57% 정도 차지하였으며,5월에 채엽 한 생엽에 향기 성분이 풍부하고,greenish 특성의 유기성분들의 조화로 고품질의 녹 차 제조에 적절함이 보고되었다(25).

이처럼 채엽시기에 따른 휘발성 유기성분의 연구는 보고 되었으나 찻잎의 생육기간

(23)

에 따른 유기성분 변화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비하며,또한 특정 지역인 담양에서 생 육되고 있는 죽로차 생엽에 대한 휘발성 유기성분에 관한 연구는 보고된 바 없다.

이에 전통적인 제다방법을 이용하고 주로 덖음차 방식으로 제조되고 있는 담양 죽로 차의 소비를 늘리고 생산량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다양한 제다방법이 개발되어야 할 것 이라고 판단된다.찻잎의 생육기간에 따라 제다방법을 달리하여 찻잎의 유용성분을 최 대로 활용할 수 있다면 담양 죽로차의 생산량 증가와 더불어 고품질의 죽로차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따라서 담양 죽로차 생엽의 생육기간을 40일,60일,90일로 나누어 연령별로 채엽한 후 반발효차로 제다하여 일반성분 및 비휘발성 유효성분 그리 고 휘발성유기성분을 분석하여 반발효시 변화를 확인하여 담양 죽로차 연구의 기초자 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24)

제 2장 담양 죽로차의 문헌적 고찰

제 1절 머리말

우리나라의 차문화는 고대부터 전승되어 현재에 이르렀으며,선조들은 차를 마시면 맑은 기운이 생기고,정신을 수양하는데 도움을 주며,이를 통한 예술적 창작활동도 다 양하게 이루워 졌다.또한 약리효능이 있다 알려져 차를 즐겨함으로써 건강에 도움을 얻었다고 한다.1)오늘날 소득수준이 증가하면서 건강을 생각하는 웰빙문화가 형성되면 서 차는 건강식품의 하나로 인식되고 있으며 대중화 되어가고 있다.2)

차의 명칭은 제다방법에 따라 비발효차인 녹차,반발효차인 포종차와 우롱차,완전발 효차인 홍차,미생물발효차인 보이차 등이 있으며,찻물색에 따라 녹차,홍차,백차,청 차,흑차 등으로 구분되고 있다.3)또한 찻잎을 채엽하는 시기에 따라 우전,작설,세작, 중작,대작 등으로 구분하고 있으며,생육환경에 따른 명칭으로 죽로차가 있다.죽로차 는 대나무 숲에서 자란 차나무의 잎을 제다하여 만든차로 테아닌의 함량이 많아 차의 감칠 맛이 좋으며,대나무의 분포도가 높은 곳에서 많이 생산되고 있다.4)

우리나라 차나무의 기원은 조선불교통사 를 통해 죽로차에서 비롯됨을 알 수 있고, 죽로차의 역사는 차고사의 고찰과 현황 본을 통해서 유추할 수 있으며,죽로차라는 명칭이 곡성・장성・구례・강진・장흥・김해 등지로 전승되었고,천은사의 죽전차,백 양사와 송광사의 죽로차,화엄사는 자급용으로 제조하여 이름이 없었으며,죽로차의 메 카로 알려진 보림사는 작설차라는 이름으로 죽로차를 대신하였다.5) 이처럼 죽로차의 역사는 오래되었지만,죽로차에 관한 연구는 미비하며 또한 죽로차 생산지역 중 대나 무 숲이 지리적 상징을 뜻하고 있는 담양지역의 죽로차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으

1)염숙, 죽로차를 통해본 차정신 ,한국차학회지,2010,16(3):p.29

2) 김영걸, 우리나라 차 산업의 현황과 전망 ,동아시아식생활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2007, pp.43-53.

3)정영선, 한국차문화사 ,너럭바위,1998,pp.49-66.

4)Kim BongSoo,YangWonMo,ChoiJung.ComparisonofCaffeine,FreeAminoAcid,Vitamin C,andCatechinsContentofCommercialGreenTeainBosung,Sunchon,Kwangyang,Hadong J.Kor.TeaSoc.8(1),pp.55-62.

5) 차와문화 18권,이른아침,2010,pp.111-117.

(25)

로 문헌고찰을 통해 담양 죽로차의 역사를 확인할 필요성이 있다.

담양 죽로차의 문헌적 고찰은 생육환경에 따른 죽로차의 유래를 살펴보기 위해서 대 나무산지를 중심으로 한・중・일 죽로차의 역사를 비교하였다.담양 죽로차에 관해 직 접적으로 언급된 문헌이 없어 여러 문인들의 시문을 통해서 우리나라의 죽로차 역사를 확인한 후 담양문헌집과 군지를 통하여 담양의 지방통치체제 연혁을 살펴보았다.각 지방의 공납이 기록된 문헌에서 담양지역의 대나무 자생시기와 담양의 토산물로 생산 된 죽로차의 기록을 확인하였다.또한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 차의 효능에 대해 기록 된 여러 시문집을 통해 죽로차의 특징과 효능을 유추할 수 있었다.

일반녹차의 생산현황과 죽로차의 생산현황을 비교하기 위해서 담양지역의 죽로차 생 산량과 차나무 국내 재배면적 및 차의 생산량을 확인하고,우리나라의 일반차 수입현 황을 살펴보았다.대나무와 차나무의 생육환경을 조사한 후 죽로차 생산지역의 토성과 기온을 비교하여 담양지역의 생태학적 이점을 확인하였다.기후조건과 채엽시기 및 제 다방법에 따라 죽로차와 일반차의 성분을 비교하여 죽로차의 우수성을 확인할 수 있었 다.

(26)

제 2절 생육환경에 따른 죽로차의 유래

1.한국의 죽로차

우리나라의 죽로차는 이능화의 조선불교통사(朝鮮佛敎通史) 에 “김해 백월산에는 죽로차가 있다.세상에서는 수로왕비 허씨가 인도에 가져온 차씨라한다”라고 하였으며 1936년 화엄사주지인 정병헌이 남긴 해동호남도 지리 대화엄사적(海東 湖南道 智異山 大華嚴事蹟) 에도 “흥덕왕때 연기조사가 차를 심은 곳이 지리산 장죽전이며 이로 말미 암아 장죽전의 죽로차가 나라 안에 이름이 나게 되었다”라고 기록하고 있어 우리나라 차나무의 기원을 죽로차에서 비롯됨을 알 수 있다.6)7)

죽로차는 생태환경이 대나무 숲이므로 대나무 산지와 불가분의 관계를 가지며 우리 나라의 자생차 산지는 대나무산지와 대부분 같은 지역으로 윤과 유 등의 연구에 의하 면 잡목림이 62개소로 50%이상이고 대나무밭이 32개소로 대부분 대나무 밭이나 수림 으로 차의 감칠맛 성분인 총질소 및 테아닌이 그늘에서 자란 찻잎에 많아 유리한 생육 환경의 요인으로 보았다.8)9)우리나라의 죽림 분선은 서해안으로는 충청남도 태안반도 까지 동해안으로는 강원도 고성까지로 보고 있으나 주로 호남과 영남지방에 대부분의 죽림이 분포하고 있다.우리나라의 총 대나무 분포면적은 약 7,039㏊(2007년 기준,산 림청)로 전남지역이 55.6%(3,913㏊),경남 지역이 28.4%(1,996㏊)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0)대나무가 생육할 수 있는 가능한 지역은 연평균 기온은 12∼22℃로 1월평 균 기온은 -2∼10℃이상이며 최저기온은 -20∼2℃,연강수량는 500∼2000mm으로 연 평균 상대적인 습도는 65∼80%이다.북동향의 완경사지로서 바람이 적고 토심이 60 cm이상이며 배수가 잘되는 사질토가 좋아 차의 생육조건과 비슷하다.11)또한 1454년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외 8종의 문헌에 따르면 차산지와 대무산지가 대

6)염숙, 다도학개론 ,전남대학교출판부,2009,p.220. 7)최계원, 우리차의 재조명 ,차와사람,2007,pp.59-69

8)윤창용, 품종개량을 위한 국내산 야생차나무평가 ,2007,p.21.

9)Jae-Eun Yu,LatitudinalAnalysis oftheMargin ofcultivation forThea sinensis,Journalof theNaturalScience.2000.Volume19,pp.46-57.

10)담양군, 지리적표시등록신청 ,2009,p.15.

11)주방순, 죽림의 육성과 이용 ,남경임업대학 죽림연구 편집위원,1998,pp.33-33.

(27)

부분 포함됨을 알 수 있었으며,12)13)죽로차가 진상품으로 연고차(硏膏茶)나 말차의 제 다에 적합한 생육조건을 갖추었고 신라시대 유적지인 경주 안압지에서 ‘貞言茶’라는 글 자가 새겨진 신라 토기 회색 다완이 출토되어14)당시에는 말차를 점다하여 즐겨 마셨 음을 알 수 있다.고려 중기는 연고차가 성행했던 중국의 북송 시대와 같은 시기로,송 나라 문신 서긍(1123,인종1년)이 사신으로 개경에 한 달 머물고 돌아가 고려의 풍물·

지리·역사 등을 기록한 선화봉사고려도경(宣和奉使高麗圖經) 을 통해 떡차 형태의 연 고차를 음용했음이 밝혀져 있다.조선 후기 이규경(李圭景,1788-?)의 오주연문장전산 고(五洲衍文長箋散稿) 「도다변증설(荼茶辨證說)」에는 죽로차로 기록되었으며,15)이유 원(李裕元,1814-1888)의 가고오략(嘉梧藁略) 「옥경고승기(玉磬觚賸記)」은 죽로차의 다 른 이름인 죽전차를 언급하고 있고,16)보림사의 초의선사는 떡 모양의 병차를 만들어 죽로차라 불렀는데 이로부터 죽로차는 우리 고유의 차로 자리잡게 되었다.

2.중국의 죽로차

중국은 폐쇄정책을 일컬어 ‘죽의 장막’이라 불려질 만큼 대나무와 밀접한 관계로 오 랜 역사를 지녔다.사천성(四川省)의 촉남죽해(蜀南竹海)절강성의 안길죽해(安吉竹海), 호북성의 함안죽해(咸安竹海),귀주성의 노장죽해(老場竹海)등과 함께 중국의 대표적 인 대나무 산지로 알려져 있다.대나무 숲이 푸른 색 바다를 연상케 ‘죽해’(竹海)라 부 르며 중국이 대나무의 나라로 알려져 강서·호남·복건·절강성은 중국의 죽림면적에 70%로 기후가 온화한 중남부 지역에 대나무 자생지가 밀집해 있다.17)또한 중국 10대 명차 중 녹차인 용정차·벽라춘·신양모첨·육안과편·태평후괴·황산모봉 청차는 철관음·

대홍포,황차는 군산은침 홍차는 기문홍차가 있으며 이들 중 대부분이 대나무 산지에

12)김재섭, 조선시대 차 생산과 소비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생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pp.9-11

13)이현숙, 조선시대 차산지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2001,pp.5-12.

14)석용운, 한국다예 「다예총서2」,초의출판,2000,p.46.

15)李圭景, 五洲衍文長箋散稿 ,人事篇 ,「荼茶辨證說」,국학원전,p.524.“今茶之爲名者 出於嶺南竹田 名以竹露茶.出於密陽府衙後山麓産茶 名密城茶 嶠南康津縣,有萬佛寺出茶.丁茶山鏞謫居時,敎以蒸 焙團,作小餠子 名萬佛茶而己 他無所聞 .東人之飮茶,欲消滯也”.

16)李裕元, 嘉梧藁略 「玉磬觚賸記」, 한국문집총간 卷315,p.543.“康津寶林寺竹田茶,丁洌水若鏞 得之.敎寺僧以九蒸九曝之法.其品不下普洱茶.而穀雨前所採尤貴.謂之以雨前茶可也.”

17)이어령, 대나무 ,종이나라,2006,pp.248-249.

(28)

서 나는 차들이다.

또한 중국은 죽로차와 같은 생육환경에서 만들어졌거나 댓잎과 같은 모양을 가진 차 로 아미죽엽청·군산은침·안길백차·노죽대방차(老竹大方茶)·죽각차·죽향·태호취죽·황죽백 호 등이 있다.단병차와 연고차가 성행하던 당송 시대에는 개문칠건사(開門七件事)라 하여 쌀·소금·창·초·기름·땔감과 함께 차를 매우 중시하여 생활필수품으로 생각되었다.

관혼상제·손님접대·투다(鬪茶,茗戰)등에서 연고차를 점다법으로 올렸던18)당대에는 유명한 차 산지가 대나무 산지와 일치하고 대나무와 관련된 차 이야기가 전해지는 것 으로 보아 ‘죽로차’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항주 서호의 용정 차밭은 양지쪽으로 향해 냉해가 없으며 여름에는 큰 나무 그늘을 이용할 수 있었고 고산의 구름과 안개는 명차 생산에 적합하였다.복건의 무이암차,운남의 전홍과 보이차,안휘의 기문홍차와 황산 모봉,강서의 여산운무 등도 모두 고산에서 나오는 차로 다경 에도 언급되어 있다.19) 사천성 촉남죽해(蜀南竹海)는 아미죽엽청차가 유명한데 차의 모양이 죽엽처럼 생겼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절강성 안길죽해(安吉竹海)역시 유명한 차산지로 야생 다원이 많은데 다경 은 이를 상품으로 평가하기도 하였다.唐代부터 淸代에 이르기까지 황실 에 올린 강남차구의 명차 군산은침은 중국 호남성(湖南省)악양현 동정호(洞庭湖)에 있는 섬 군산(君山)에서 생산되는데 이 곳은 눈물을 흘리는 대나무 반죽(斑竹),춤추는 찻잎,금거북이로 유명하다.20)명청대 휘주는 둔록(屯錄)·노죽대방차(老竹大方茶)·송라 차가 유명하였다.담천(談遷,1590-1657)이 「조림잡조(棗林雜俎)」에서 “근래 승려 대방 (大方)의 제법은 뾰족한 끝과 밑 부분을 잘라 버리는데 대방차라고 불렀다.”21)고 하였 듯이 안휘성 흡현의 노죽대방차는 노죽령에서 뽀족한 끝과 밑 부분을 잘라 버리고 만 든 차로 연고차인 용봉단차의 채다법과 비슷하였다.이밖에 죽각차·죽향·태호취죽·황죽 백호 등의 명칭에서 이들 명차가 대부분 대나무와 관련이 있어 죽로차로 볼 수 있을 것이다.특히 유몽득(772-842)은 시다가(詩茶歌) 에서 대나무 밭에서 새의 부리와 같 은 찻잎을 따 차를 만든 죽간차가 가장 좋다고 하여 죽간차는 대밭에서 채취한 작설차 였음을 알 수 있다.22)이상에서 보았듯이 죽로차라는 명칭은 보이지 않지만 대나무와

18)염숙·엄영욱, 중국역사 속에 꽃피운 차문화 ,전남대학교출판부,2009,pp.87-160.

19)치우지핑지음·김보건 옮김, 다경도설 ,이른아침,2005,pp.36-37.

20)중국찻잎유통협회, 중국차예사 자격취득지정교재 ,중국찻잎유통협회지정,p.54-56. 21)談遷 棗林雜俎茶條 ,「四庫全書存目叢書」子部,p.411.

22)서명흠, 차의세계 ,2012,7,p.122-3.

(29)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명차가 존재하는 것으로 보아 죽로차의 실질은 존재하였다고 보 아도 될 듯하다.

3.일본의 죽로차

일본은 사이조우선사(最澄禪師)가 AD 729년 중국에서 차종자를 들여와 고노에(近江) 사카모토(板本村)의 고꾸다이산(國台山)기슭에 심었으며 805년 홍법(弘法,774-835)대 사가 당나라에서 차종자와 맷돌을 가져와 제다법을 전하였다.중국의 다선(茶仙)육우 (陸羽),우리나라의 다성(茶聖)초의(艸衣)와 함께 일본의 다조(茶祖)로 불리는 영서(榮 西,1141-1215)선사는 송나라 유학을 마치고 1191년(남송 광희 2년)귀국한 후 차 종 자를 히에(肥前,현 佐賀縣)세부리산(背振山)에 심고 교토 고우잔사(高山寺)묘우에(明 惠)상인(上人)에게 주었으며,묘우에는 이를 도가노오현 우지(宇治)지방에 심었다.한 편 에이사이는 1214년 끽다양생기(喫茶養生記) 를 저술하여 일본 음다 문화를 발전시 키는 계기가 되었다.23)

일본의 가고시마·오이타·야마구찌·구마모토·후쿠오카의 전체 산림면적은 2천 511만 7,000㏊이며 죽림면적은 0.6%이다.차 재배 면적은 1986년 14만 7000㏊에서 2000년 15만 6000㏊로 점차 늘어나고 있으며 대나무 산지에서 차가 많이 생산된다.24)

도가노호는 좋은 차가 재배되는 지역으로 이곳에서 생산되는 차를 본차(本茶)라 불 렀으며 다른 지역의 차는 비차(非茶)라 칭하였다.현재 일본 주요 차산지는 시즈오카 현·가고시마현·미에현을 들 수 있다.특히 시즈오카현은 일본 전체 생산량의 약 45%를 차지하고 있는데 야부기타(藪北)가 주류를 이루는 차종으로 대나무 덤불로 이루어진 산에서 자란 야부기타는 부드럽고 감칠맛이 특징이다.스즈오카현과 우지(宇治)는 대나 무 주산지로 가루차 제다에 적합한 환경을 갖추고 있어 야부기타가 주로 재배된다.

해행총재 에 의하면 큰 강인 우지천을 따라 형성된 우지 땅은 습도가 높아 차산지로 좋은 조건을 가졌기 때문에 우지가 최고의 차산지라고 하였다.우지칠명원(宇治七茗園) 은 옥로차로 유명한데 전국시대 400여년간 명성이 이어졌다.25)화려한 명성의 우지칠 23)염숙,앞의책,pp.181-188.

24)이어령,앞의책,p.249

25)윤영열,「 해행총재 를 통해본 일본 에도시대 차문화」,계명대 소비자정보학과 석사학위논문, 2009,pp.10-65.

(30)

명원이 메이지 시대 이후 서구 음료 문화로 타격을 받았으나 차 상인 상림에 의해 대 밭에서 재배하던 옥로차를 햇빛 차단기를 써서 상품화하였다.우지차는 중국 당송 시 대와 같이 단병차·연고차와 같은 방법으로 제다하였는데 대나무 주산지인 시즈오카나 우지에서는 현재 옥로차나 가루차를 생산하고 있다.26)

26)석용운, 한국차문화자료집 16,도서출판초의,2000,pp.149-192.

(31)

제 3절 문헌을 통해 본 죽로차

1.우리나라의 죽로차

우리나라 차의 기원은 자생설과 전래설이 있다.일연(一然,906-989)의 삼국유사(三 國遺事) 를 바탕으로 한 이능화(李能和,1869-1945)의 조선불교통사(朝鮮佛敎通史) 는 허왕옥이 인도에서 차씨를 가져와 전했다고 하였다.하지만 차 관련 최초의 문헌은 김 부식(金富軾,1075-1151)의 삼국사기(三國史記) 는 신라 선덕여왕(善德女王,632-647) 때 차를 마시기 시작했는데,흥덕왕(興德王)3년(828)당나라에 사신으로 갔던 대렴(大 廉)이 차씨를 가져와 왕명으로 지리산에 심게 하여 이때부터 차를 마시는 풍속이 성행 하였다고 전하고 있다.27)고구려의 옛 무덤에서 지름 4cm,무게 1.8g의 떡차가 출토되 었다는 기록과,차를 접대하고 있는 무용총의 벽화,평안북도 용호동에서 출토된 이동 식 철제 부뚜막 등을 통해 고구려에서 차를 마셨을 것으로 추측하였다.28)백제의 차문 화는 이규보(李奎報)의 東國李相國集 의 남행월일기(南行月日記)에 원효대사가 수도를 하면서 차를 마셨다는 기록이 있다.29)이밖에 백제의 차 문화를 유추할 수 있는 유물 로 미륵사지에서 출토된 연질도기잔과 무령왕릉에서 나온 동탁은잔을 통해 백제의 차 문화를 유추할 수 있다.30)

고려의 차문화는 신라의 차문화를 계승 발전시켰으며,궁궐에 다방을 두어 국가행사 인 팔관회와 연등회 등 크고 작은 여러 행사에서 차를 마시는 의례가 있어 왕실과 귀 족 중심의 차 문화로 불교문화와 함께 전성기를 이루었다.나아가 일반 백성에 이르기 까지 모든 계층에서 차를 즐겨 마셨고,왕실과 귀족층은 중국에서 수입된 차를,일반 백성은 다점에서 구매한 차를 마셨다.당시 중국,일본,인도 등 주변국들과 교류를 확 대해 나가던 고려는 사신들에게 하사하는 차의 양이 늘어나게 되자 다소(茶所)를 두어 차를 생산하였으며,차를 전문적으로 생산하여 사원에 바치는 다촌(茶村)도 있었다.그 리하여 사원을 중심으로 차의 산지가 형성되었고,특정 촌민(村民)들이 차 생산에 주력

27)염숙,앞의책,p.220.

28)최계원, 우리차의 재조명 ,차와사람,2007,pp.59-69.

29)李奎報,卷二十三 「南行月日記」, 한국문집총간 卷1,p.529.

30)염숙, 다도학입문서 ,국학자료원,2011.pp.221-222.

(32)

하였다.이들 다촌에 관해 남아있는 기록은 통도사사리가사 사적약록(通度寺舍利袈裟 事蹟略錄)31)에 다음과 같이 전한다.

북쪽 동을산의 다촌(茶村)은 차를 만들어 절에 바치던 곳이다.

절에 바치는 다연(茶硏)과 다천(茶泉)이 지금도 여전히 남아

민멸(泯滅)하지 않았으니 후세 사람들이 다소촌(茶所村)이라 하였다.

조선 초기의 차는 고려말 성리학이 도입되면서 유학자들의 심신수양을 위해 이용하 였던 음다 풍속이 조선의 선비들에게 이어져 정신수양을 위한 음료로 활용되었다.

또한 고려시대 화려했던 불교적 차문화는 유교적 영향으로 선비 중심의 소박한 차문 화로 바뀌면서 차에 대해 읊어놓은 다시(茶詩)들이 많이 등장하였다.조선 중기 임진왜 란과 병자호란을 거치면서 국토는 황폐해지고 국가 재정도 고갈되어 백성들의 생활은 비참하였고,공물로 바치는 차가 부담스러우면서 차재배에 대한 반감이 생겨 차의 품 격이 낮아졌다.관청에서 차 심부름을 하던 다모(茶母)나 고려시대의 중형주대(重刑奏 對)의례와 비슷한 공정한 판결을 위하여 하루에 한번 사헌부(司憲府)에 모여 차를 마 시던 다시(茶時)등 차에 대한 제도들은 형식화 되어갔으며 왕실 의례시 사용하던 차 를 술로 대신하게 되었다.여기에 더하여 불교 억압정책으로 인하여 사원은 경제적 어 려움을 겪자 사원을 중심으로 이어져 오던 차 문화는 급격히 쇠퇴 하였다32).조선후기 에 들어가면서 정약용(丁若鏞,1762-1836)을 중심으로 한 여러 실학자들이 중국에서 수입 차 대신 우리나라 자생차에 맞는 제다법으로 차를 만들어 우리 차에 대한 관심을 이끌었으며 사원의 승려들과 교류 과정에서 차에 대한 관심을 산문이나 시로 표현 하 였다.1837년 초의선사(艸衣禪師,1786-1866)가 우리차의 우수함을 칠언절구(七言絶句) 동다송(東茶頌)』31송을 지어 예찬하면서 차 문화가 중흥기를 맞이하였다.조선 말기 에 간행된 근대농서인 농정신편(農政新篇) 에 차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고,국가적으 로 차의 조사와 재배가 행해졌다.그러나 일제 강점기에 들어가면서 이러한 제도는 중 단되고 일본인들에 의한 차문화가 인식 되었다.1945년 광복 이후 한국전쟁을 거치면 서 차에 대한 관심이 약해졌고,1960년 후반에 여러 다인들에 의해 차 문화 부흥을 위 한 노력이 시작되어 1970년대 경제적 안정을 이루면서 우리 차 문화에 대한 관심이 증 31)敏悟, 通度寺舍利袈裟事蹟略錄 , 향토문화전자대전 1卷1冊,1705.

32)정영선, 다도철학 ,너럭바위,1996,pp.91-102.

(33)

대 되면서 차 재배면적이 확대되었고,남성을 중심으로 행해지던 차 문화가 여성 중심 의 차 문화로 변하기 시작하였다.33)죽로차라는 명칭은 차나무의 생태학적 환경에 따 라 붙여진 이름으로 대나무 숲에서 대나무 이슬을 먹고 자란 차라는 뜻을 담고 있다.

화엄사 주지를 지낸 만우(曼宇)정병헌(鄭秉憲1891-1961)의 해동호남도지리산대화엄 사적기(海東湖南道智異山大華嚴寺跡記) 는 연기(緣起)조사가 화엄사를 세울 때 뒤편 대밭에 차를 심었다고 하여 신라 시대부터 죽로차가 존재하였음을 알 수 있고,죽로차 에 대한 기록은 조선 후기 문헌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조선불교통사(朝鮮佛敎通史) 는 “김해 백월산에는 죽로차가 있는데,수로왕비 허씨가 인도에서 가져온 찻씨이다.”34) 라고 하였다.고려말 이연종(李衍宗)은 치암(恥庵)박충좌(朴忠佐,1287-1349)로부터 차 를 선물 받고 보낸 편지에서 어린시절 영남사 봉산기슭 대숲에서 딴 매부리 같은 차는 죽로차로 차 겨루기를 하며 마셨던 기억을 되살리고 있다.

少年爲客嶺南寺 소년시절 영남의 절간에 손님되어

茗戰屢從方外戱 명전(茗戰)의 한가한 놀이 여러 번 참여했네.

龍巖巖畔鳳山麓 용암(龍岩)바윗가와 봉산 기슭 竹裏隨僧摘鷹觜 대숲에서 스님 따라 매부리 차 땄네.

火前試焙云最佳 한식 전에 만든 차가 제일 좋다는데 況有龍泉鳳井水 하물며 용천봉정의 물까지 있음에랴.

沙彌自快三昧手 사미승의 시원스런 삼매의 손길 雪乳飜甌點不己 찻잔 속에 설유를 쉬지 않고 넣었지.

謁來從官風塵 돌아와 벼슬따라 풍진 세상 따르며 細味遍嘗南北嗜 세상살이 남북으로 두루 맛보았지.

如今裵病臥閑房 이제 늙고 병들어 한가한 방에 누었거니.35) (하략)

조선시대에 차는 주로 개간한 산이나 대밭에 심었고 일반적인 밭을 이용하기도 하였

33)염숙,앞의책,pp.234-235.

34)최계원,앞의책,pp.63-67.“新羅之茶 始於智異山 緣起祖師 創寺於智異山之陽 眞興王額曰華嚴寺 此智異山有史之始 緣起以茶種持來 創寺同時幷植于附近 此後之長竹田而興德王赤命植于此 由是長 竹田竹露茶名于國中湖南一帶 朝鮮之茶鄕也 考其古蹟 則先以華嚴宗傳布地爲始而後爲禪宗之興 故 茶赤隨而植之 遂爲茶産本鄕也”“金海白月山 有竹露茶 世傳 首露王妃許氏 自印度持來之茶種”. 35)徐居正, 東文選 ,卷7,「謝朴恥庵惠茶」,양동주, 한국고전번역원 ,1986.

(34)

다.김종직(金宗直,1431-1492)이 함양군수로 있을 당시 백성들은 차나무가 없는데도 공납을 위하여 비싼 가격에 차를 구입하는 폐단을 목격하였다.그는 이런 폐단을 막기 위해 고심하던 중 삼국사기(三國史記) 에 신라 때 당나라에서 가져온 차씨를 지리산 에 심었다는 기록을 보고 여러 노인들에게 물어 엄천(嚴川)북쪽 대밭에서 차씨를 얻 었고,사람들에게 대밭을 일구어 이를 심게 하고 대밭 부근의 밭을 구입하여 다원(茶 園)을 조성하여 차를 공납하였다.당시 남긴 「다원(茶園)」에는 백성을 사랑하는 마음이 담겨 있다.

欲奉靈苗壽聖君 신령한 차 받들어 임금님 장수케 하고자 하나

新羅遺種久無聞 신라 때부터 전해지는 씨앗 오래도록 찾지 못하였다.

如今擷得頭流下 이제야 두류산(지리산)아래에서 얻었으니 且喜吾民寬一分 우리 백성 조금 편안케 되어 기쁘구나.

竹外荒園數畝坡 대숲 밖 거친 동산 몇 이랑 언덕에서 紫英鳥嘴幾時誇 자영차 조취차 언제쯤 자랑할 수 있을까.

但令民療心頭肉 다만 백성의 근본 고통 덜고자 할 뿐 不要籠加粟粒芽 속립아를 바구니로 따려는 것은 아닐세.36)

김종직의 제자 남효온(南孝溫,1454-1492)의 추강집(秋江集) 「지리산일과(智異山日 課)」는 “절의 이름은 화엄이니 명승 연기가 창건했다.절 양옆은 모두 대숲이고 뒤에 는 금당이 있으며 금당 뒤에 탑이 있으니 아주 밝고 깨끗하다.차 꽃과 대나무·석류·감 나무 등이 그 옆을 둘러싸고 있다.”37)고 하여 차 꽃과 대나무를 화엄사의 연기설화(緣 起說話)로 소개하고 있다.또한 자하(紫霞)신위(申緯,1769-1845)의 “십년 동안 보지 못한 곡성 군수인 신희 세순이 배,생강,술,죽로차와 아울러 버선감을 보내면서 묵죽 화를 구하며,또 자제시(自題詩)를 원하는데 생각건대 천리에서 낯 바꾸듯이 매우 은근 하므로 병중에 억지로 붓을 들어 그림도 그리고 표제도 쓰고 이 시로써 창화(唱和)를 구하다”38)라고 한 시제(詩題)에서 곡성(穀城)에 죽로차가 생산되었음을 알 수 있다.호 36)金宗直, 佔畢齋集 卷十 「茶園」, 한국문집총간 卷12,p.284.

37)南孝溫, 秋江集 ,卷六 「智異山日課」, 한국문집총간 卷16,p.167.“名僧綠起所創 寺兩傍皆竹林 寺後有金堂 堂後有塔展 殿最明漑 茶花鋸竹石榴 柿木環繞其傍.”

38)申緯, 警修堂全藁 .卷二十八,p.610.“穀城倅申義世淳 不見且十年 送梨薑酒竹露茶兼送襪材 求余墨 竹 又要自題詩 以爲千里替面意殷動 病中强筆且畵且題且以此詩求和.”

(35)

남의 승려들이 죽로차(竹露茶)를 만들었고 이를 별미로 여겼을 정도로 매우 귀하게 여 겼던 것이다.

이처럼 기록을 통해 조선시대 이전부터 대숲에서 차나무가 재배되고 죽로차가 생산 되었음을 알 수 있는데 직접 죽로차라 표현하지는 않았으며 공납하는 차는 모두 작설 차·천지차 등으로 기록하고 있다.죽로차(竹露茶)를 직접 언급한 기록은 조선후기 이규 경(李圭景,1788-?)의 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 가 처음이다.그는 「도다 변증설(荼茶辨證說)」에서 정약용의 떡차에 대해 설명하면서 죽로차를 언급하고 있 다.39)그는 여기에서 조선의 명차로 영남 대밭에서 나는 죽로차(竹露茶),밀양의 밀성 차(密城茶)와 함께 다산초당이 있던 강진 만덕산 백련사에서 증제하여 만든 소단차(小 團茶)인 만불차(萬佛茶)를 소개하였다.만불차는 보림사 떡차가 죽로차로 만들어진 것 을 고려하면 죽로차임을 알 수 있다.

우선(藕船)이상적(李尙迪,1803-1865)의 은송당집 에 수록된 다시 「백산다가사박경 로(白山茶歌謝朴景路)」도 죽로차를 언급하고 있다.40)

我曾九泊燕河槎 내 일찍이 중국에 아홉 번 사신을 갔기에 嘗盡天下有名茶 천하에 이름난 차 모두 맛보았지

十二街頭茶博士 열두 거리가 차박사요

賣茶多於賣漿家 차가게가 음료가게 보다 많다네

歸臥敝盧談龍肉 돌아와 허술한 집에 누워 용육을 말하고 手把茶經空咨嗟 손에 다경을 들고 하릴없이 한탄하네 湖僧竹露出新製 호남 스님의 죽로차 새것이 나왔는데 時人往往如嗜痂 사람들은 종종 괴벽으로 여기네

秖應所貴吾鄕物 마땅히 귀히 여길 것이 우리 향토 산물이지만 終始香味澁齒牙 시종 차 향기 이 사이에 텁텁하네

不咸一綱感君惠 불함산 차 한 망테기 그대의 은혜 감사하니 天寒肺病當三椏 추운 날씨 폐병의 산삼을 당한다네

誰知此土乃有此 뉘라서 알리요 이 땅에 이런 차가 있음을 譬如人才出荒遐 비유컨대 인재가 벽촌에서 나는 것과 같네 但恨難得中泠水 다만 중령의 물 얻기 어려움이 원통하나

39)李圭景,앞의책,11.

40)李尙迪, 恩誦堂集 , 한국문집총간 卷312,p.170.

(36)

無勞遠購武夷芽 멀리 무이차 사올 수고는 필요없네

君不見 그대는 보지 못했던가

江南御茶不入貢 강남의 어용차 공물로 들이지 않자

旗槍埋沒隨蟲沙 잎과 가지는 매몰되어 벌래와 모래가 뒤따름을

又不見 또 보지 못했던가

泊汋年年通百貨 박작에서 해마다 백화를 통하였더니 今秋無箇水仙花 올 가을엔 수선화 하나도 없음을 茶話故人散如雨 다화 나누던 정든 벗은 비처럼 흩어지고 烽烟已入天津涯 봉화 연기는 어느새 천진 물가에 이르렀네 何辛吾生亨多福 얼마나 다행인가 내 생에 다복을 누렸으니 煎茶覓句送年華. 차 달이고 싯구 찾으며 세월을 보내노라.41)

또한 이유원(李裕元,1814-1888)은 가고오략(嘉梧藁略) 「옥경고승기(玉磬觚賸記)」에 서 “강진 보림사 죽전차(竹田茶)는 열수 정약용이 얻었다.절의 승려들에게 구증구포의 방법을 가르쳐 주었다.그 품질이 보이차에 밑돌지 않는다.곡우 전에 딴 것을 더욱 귀 하게 치니,이를 우전차(雨前茶)라 해도 괜찮다.”42)고 하여 죽전차를 언급하고 있는데 이는 죽로차의 다른 이름이었다.정약용이 초의선사에게 보림사의 구증구포의 제다법 을 알려주어 떡 모양의 죽로차가 탄생되었다.그 맛과 품질은 중국의 보이차와 비교해 도 손색이 없어 기록으로 남긴 것이었다.

한편 이유원(李裕元)은 가오고략(嘉梧藁略) 「죽로차(竹露茶)」에서 죽로차의 제다 과정을 소개하고 맛과 효능으로 번열과 기름을 제거해준다고 하였다.

普林寺在康津縣 보림사는 강진 고을에 있으니

縣屬湖南貢楛箭 고을이 호남에 속하여 싸릿대를 공물하네 寺傍有田田有竹 절 옆에 밭이 있고 밭에는 대가 있어 竹間生草露華濺 대숲 사이 자라는 차는 이슬에 젖는다오.

(중략) (중략)

最是海左普林寺 가장 좋긴 전라도 보림사니

雲脚不憂聚乳面 운각(雲脚)은 유면(乳面)모음을 걱정하지 않네

41)金明培, 韓國의 茶詩鑑賞 ,大光文化社,1999,pp.92-93.

42)李裕元, 嘉梧藁略 「玉磬觚賸記」, 한국문집총간 卷315,p.543.“康津寶林寺竹田茶,丁洌水若鏞 得之.敎寺僧以九蒸九曝之法.其品不下普洱茶.而穀雨前所採尤貴.謂之以雨前茶可也.”

(37)

除煩去世固不可無 번열(煩熱)과 기름기 없애 세상에 꼭 필요하니 我産自足彼不羨. 우리 물산 저절로 족하니 저쪽 차 부럽지 않네.43)

김해의 차밭골(茶田 현재 동상동 일원)에서 김기원이 채집한 차 민요는 죽로차를 다 음과 같이 노래하고 있다.

다전리에 봄이오면 삼월이라 삼짇날에 다전리에 햇차따서 만장샘에 물을길어 어방산에 솔갈비로 밥물솥에 끓인물에 제사장님 다한정성 김해그릇 큰사발로 천겁만겁 우려내어 장군차로 올릴까요 죽로차로 올릴까요 바리바리 차립니다 나라세운 수로왕님 십왕자의 허왕후님 가락국가 세운은혜 이차한잔 올립니다 합장하고 비옵니다 김해사람 복받으소 잘못한일 점지하소.44)

김해 그릇 큰 사발 즉 김해 다완을 제사에 올렸다는 표현은 가루차를 마셨음을 의미 하며 제사나 왕에게 올리는 차는 질 좋은 고급차로 죽로차가 주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최영년(崔永年,1859-1935)은 해동죽지 「죽로차」에서 죽로차를 “장성군의 죽로산에 서 난다.맛이 담백하고 향기가 맑아 시의 품격에 이바지할 수 있다.조선에서 생산된 황매 향편 이후 제일품이다.”라고 소개하고 있다.

竹露山人金建中 죽로산의 사람인 김건중은 貺茶幾處覓詩筒 몇 군데 차를 주고 시통을 찾네.

味能雋永氣瀟洒 맛은 준영에 미치고 향기는 산뜻하고 선명하니 鳳味龍團盡下風 봉의 부리와 용단은 내릿 바람에 맡긴다네.45)

장성은 세조실록지리지와 대동지지에 차산지로 기록되어 있을 정도로 유명한 차 산 지였으며,특히 죽로차 산지로 알려졌음을 짐작할 수 있다.

43)李裕元, 嘉梧藁略 「竹露茶」, 한국문집총간 卷315,p.137.

44)정영선,앞의책,p.38.

45).金明培, 韓國의 茶詩鑑賞 ,大光文化社,1999,p.95.

참조

Outline

관련 문서

농가도급경영제와 쌍층경영제도의 실시는 중국 농촌개혁의 핵심으로서 중국 농촌의 안정적인 발전의 기초가 됩니다... 둘째는

로 예상되는데 이러한 FTA의 무역규모 효과는 각국의 에너지부문 지역별 수출변화에서 뚜렷이 나타나고 있 는데, <표 5>에서 알 수 있듯이 한국의 지역별수출 변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수준에 따라 사회적지지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서 4집단으로 나누어서 F검정을 실시했는데 분석결과 친

23~24 일 동안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비가 내렸으며 , 일에는 동해안 일부지역에서 강수현상이 발생하였다 일에는 인천

중량농도법에 따른 입자의 농도 측정을 위해 필터를 사용하여 미세먼지 입자를 채집하였으며, 측정한 광소멸계수를 통 한 분석을 뒷받침하기 위해서

3학년 수준에서는 사회를 중심으로 지역의 문화, 역사를 유물을 중심으로 탐 색한 후, 지역의 해설사가 되어 도자기에 지역의 상징이 될 수 있는 기호와

이와 같은 상황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항만경쟁심이 심화되고 있는 동북아지역 한· 중· 일 3 국의 항만발전전략을 고찰하여 그 차이점과 특징을

뛰어난 궁술 실력을 지닌 로빈 후드(러셀 크로)는 리처드 왕의 용병으로 프랑스 전투 에서 대활약을 펼친다.. 존 왕의 최측근인 고프리(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