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 2 절 상과 역상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제 2 절 상과 역상"

Copied!
23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제 2 절 상과 역상

정 의 5.18 f : X → Y 가 함수이고 A ⊆ X, B ⊆ Y 일 때

(1) 집합

f (A) ={f(x) | x ∈ A}

을 f에 의한 A의 상(image)이라 한다.

(2) 집합

f−1(B) ={x ∈ X | f(x) ∈ B}

를 f에 의한 B의역상(inverse image)이라 한다.

(2)

참 고 5.19 (1) y ∈ f(A) ⇐⇒ ∃a ∈ A, y = f(a).

(2) x∈ f−1(B) ⇐⇒ f(x) ∈ B.

(3) x∈ A =⇒ f(x) ∈ f(A).

(4) f (x)∈ f(A) ̸=⇒ x ∈ A.

(5) f가 전단사이면, x ∈ A ⇐⇒ f(x) ∈ f(A)이다.

(6) f가 전단사이면, x ∈ A ⇐⇒ f−1(x)∈ f−1(A)이다.

[[ 예 ]] 5.20 특성함수 χ[1,2]: R → {0, 1}에 대해 χ[1,2]([1, 2]) = {1},

χ[1,2](R − [1, 2]) = {0}, χ[1,2]([1, 3]) = {0, 1},

(3)

χ[1,2](R) = {0, 1}이다. 또한 χ−1[1,2]({1}) = [1, 2],

χ−1[1,2]({0}) = R − [1, 2], χ−1[1,2]({0, 1}) = R이다.

[[ 예 ]] 5.21 상수함수 f : R → R, f(x) = 3에 대해, f ({1}) = {3},

f ([1, 2]) ={3}, f (R) = {3},

f−1({3}) = R이다.

정 리 5.22 f : X → Y 가 함수일 때 아래 사실이 성립한다.

(1) f (ϕ) = ϕ

(4)

(2) f ({x}) = {f(x)}, ∀x ∈ X (3) A⊆ B ⊆ X =⇒ f(A) ⊆ f(B) (4) C ⊆ D ⊆ Y =⇒ f−1(C) ⊆ f−1(D)

증명. (1) f(ϕ) = {f(x) | x ∈ ϕ} = ϕ (2) f ({x}) = {f(a) | a ∈ {x}} = {f(x)}

(3) y ∈ f(A)

=⇒ ∃a ∈ A, y = f(a)

=⇒ ∃a ∈ B, y = f(a) (∵ A ⊆ B)

=⇒ y = f(a) ∈ f(B)

∴ f(A) ⊆ f(B) (4) x∈ f−1(C)

(5)

=⇒ f(x) ∈ C

=⇒ f(x) ∈ D

=⇒ x ∈ f−1(D)

∴ f−1(C)⊆ f−1(D) 

[[ 예 ]] 5.23 f :R → R, f(x) = 2x인 함수와 두 집합 [0, 1]⊆ [0, 2]에 대해 상과 역상의 포함관계는

f ([0, 1]) = [0, 2]⊆ [0, 4] = f([0, 2]),

f−1([0, 1]) = [0,12]⊆ [0, 1] = f−1([0, 2])이다.

또한 f({1}) = {2} = {f(1)}이다.

참 고 5.24 분명히 같은 집합에 대한 상은 같다.

즉, C = D =⇒ f(C) = f(D)이다.

그러나 상이 같다고 해서 원래 집합이 같은 것은 아니다.

(6)

즉 f(C) = f(D) ̸=⇒ C = D이다.

아래 그림과 같이 주어진 함수를 생각하면 f (C) = f (D) ={1, 2}이지만 C ̸= D이다.

f

f f f

A B

C D

a c

b d

1 2 3

그림 7 f (C) = f (D)̸=⇒ C = D

참 고 5.25 같은 집합에 대한 역상은 같다.

(7)

즉, C = D =⇒ f−1(C) = f−1(D)이다.

그러나 역상이 같다고 해서 원래 집합이 같은 것은 아니다.

즉 f−1(C) = f−1(D)̸=⇒ C = D이다.

아래 그림과 같이 주어진 함수를 생각하면

f−1(C) = f−1(D) = {a}이지만 C ̸= D이다.

(8)

A B 1

2

3

4 a

b

f

f

C

D

그림 8 f−1(C) = f−1(D)̸=⇒ C = D

[[ 예 ]] 5.26 f (A)⊆ B ⇐⇒ A ⊆ f−1(B) 풀이. (=⇒) a ∈ A

=⇒ f(a) ∈ f(A)

(9)

=⇒ f(a) ∈ B

=⇒ a ∈ f−1(B)

∴ A ⊆ f−1(B)

반대 방향도 쉽게 보일 수 있다.

정 리 5.27 f : X → Y 가 함수이고

{Aγ | γ ∈ Γ}가 X의 부분집합족일 때 다음이 성립한다.

(1) f (

γ∈ΓAγ) =

γ∈Γf (Aγ) (2) f (

γ∈ΓAγ)

γ∈Γf (Aγ)

(10)

증명. (1)

y∈ f(

γ∈Γ

Aγ) ⇐⇒ ∃x ∈

γ∈Γ

Aγ, f (x) = y (5.7)

⇐⇒ [∃γ ∈ Γ, x ∈ Aγ]∧ f(x) = y (5.8)

⇐⇒ ∃γ ∈ Γ, y = f(x) ∈ f(Aγ) (5.9)

⇐⇒ y ∈

γ∈Γ

f (Aγ) (5.10)

∴ f(

γ∈ΓAγ) =

γ∈Γf (Aγ)

(2)

γ∈ΓAγ ⊆ Aλ, ∀λ ∈ Γ

=⇒ f(

γ∈ΓAγ)⊆ f(Aλ), ∀λ ∈ Γ

∴ f(

γ∈ΓAγ)

λ∈Γf (Aλ) =

γ∈Γf (Aγ) 

[[ 예 ]] 5.28 f :R → R, f(x) = 2x인 함수에 대해

(11)

An = [0,n1], n∈ N을 생각하자.

f (

n∈N

An) = f (

n=1

[ 0, 1

n ]

) (5.11)

= f ([0, 1]) (5.12)

= [0, 2] (5.13)

n∈N

f (An) =

n=1

f (An) (5.14)

=

n=1

f ( [

0, 1 n

]

) (5.15)

=

n=1

[ 0, 2

n ]

(5.16)

= [0, 2] (5.17)

(12)

따라서 f(

n∈NAn) =

n∈Nf (An)이 됨을 알 수 있다.

[[ 예 ]] 5.29 f :R → R, f(x) = 3인 상수함수와 An = (0,n1), n∈ N을 생각하자.

f (

n∈N

An) = f (

n=1

( 0, 1

n )

) (5.18)

= f (ϕ) (5.19)

= ϕ (5.20)

(13)

n∈N

f (An) =

n=1

f (An) (5.21)

=

n=1

f ( (

0, 1 n

)

) (5.22)

=

n=1

{3} (5.23)

= {3} (5.24)

따라서 f(

n∈NAn) $∩

n∈Nf (An) 이다.

따름정리 5.30 f : X → Y 가 함수이고 A, B ⊆ X일 때 (1) f (A∪ B) = f(A) ∪ f(B),

(2) f (A∩ B) ⊆ f(A) ∩ f(B).

(14)

[[ 예 ]] 5.31 f :R → R, f(x) = x2인 함수에 대해 A = [0, 1], B = [1, 2]이면,

f (A∪ B) = f([0, 2]) = [0, 4]가 되고, f (A) = [0, 1], f (B) = [1, 4]이므로 f (A)∪ f(B) = [0, 4]이 되어 f (A∪ B) = f(A) ∪ f(B)가 된다.

그러나, C = [−1, 0], D = [0, 1]이면, f (C∩ D) = f({0}) = {0}이 되고, f (C) = [0, 1], f (D) = [0, 1]이므로 f (C)∩ f(D) = [0, 1]이 되어 f (C∩ D) ̸= f(C) ∩ f(D)가 된다.

(15)

정 리 5.32 f : X → Y 가 함수이고 {Bγ | γ ∈ Γ}가 Y 의 부분집합족일 때 다음이 성립한다.

(1) f−1(

γ∈ΓBγ) =

γ∈Γf−1(Bγ) (2) f−1(

γ∈ΓBγ) =

γ∈Γf−1(Bγ)

증명. (1)

x∈ f−1(

γ∈Γ

Bγ) ⇐⇒ f(x) ∈

γ∈Γ

Bγ (5.25)

⇐⇒ ∃γ ∈ Γ, f(x) ∈ Bγ (5.26)

⇐⇒ ∃γ ∈ Γ, x ∈ f−1(Bγ) (5.27)

⇐⇒ x ∈

γ∈Γ

f−1(Bγ) (5.28)

(16)

(2)

x∈ f−1(

γ∈Γ

Bγ) ⇐⇒ f(x) ∈

γ∈Γ

Bγ (5.29)

⇐⇒ ∀γ ∈ Γ, f(x) ∈ Bγ (5.30)

⇐⇒ ∀γ ∈ Γ, x ∈ f−1(Bγ) (5.31)

⇐⇒ x ∈

γ∈Γ

f−1(Bγ) (5.32)



[[ 예 ]] 5.33 f :R → R, f(x) = 2x인 함수에 대해 An = [0,n1], n∈ N을 생각하자.

(17)

f−1(

n∈N

An) = f−1(

n=1

[ 0, 1

n ]

) (5.33)

= f−1([0, 1]) (5.34)

= [

0,1 2 ]

(5.35)

n∈N

f−1(An) =

n=1

f−1(An) (5.36)

=

n=1

f−1( [

0, 1 n ]

) (5.37)

=

n=1

[ 0, 1

2n ]

(5.38)

= [

0,1 2 ]

(5.39)

(18)

따라서 f−1(

n∈NAn) =

n∈Nf−1(An)가 됨을 알 수 있다.

따름정리 5.34 f : X → Y 가 함수이고 C, D ⊆ Y 일 때 (1) f−1(C∪ D) = f−1(C)∪ f−1(D),

(2) f−1(C∩ D) = f−1(C)∩ f−1(D).

[[ 예 ]] 5.35 f :R → R, f(x) = x2인 함수에 대해 A = [0, 1], B = [1, 4]이면,

f−1(A∪ B) = f−1([0, 4]) = [−2, 2]가 되고,

f−1(A) = [−1, 1], f−1(B) = [−2, −1] ∪ [1, 2]이므로 f−1(A)∪ f−1(B) = [−2, 2]가 되어

f−1(A∪ B) = f−1(A)∪ f−1(B)가 된다.

(19)

또한, A = [0, 1], B = [1, 4]이면,

f−1(A∩ B) = f−1({1}) = {−1, 1}이 되고,

f−1(A) = [−1, 1], f−1(B) = [−2, −1] ∪ [1, 2]이므로 f−1(A)∩ f−1(B) = {−1, 1}가 되어

f−1(A∩ B) = f−1(A)∩ f−1(B)가 된다.

정 리 5.36 f : X → Y 가 함수이고 A ⊆ X, B ⊆ Y 일 때 (1) A⊆ f−1(f (A)),

(2) f (f−1(B))⊆ B.

증명. (1) x ∈ A

=⇒ f(x) ∈ f(A) (∵ 상의 정의)

(20)

=⇒ x ∈ f−1(f (A)) (∵ 역상의 정의)

∴ A ⊆ f−1(f (A)) (2) y ∈ f(f−1(B))

=⇒ ∃x ∈ f−1(B), y = f (x) (∵ 상의 정의)

=⇒ ∃f(x) ∈ B, y = f(x) (∵ 역상의 정의)

=⇒ y ∈ B

∴ f(f−1(B))⊆ B 

[[ 예 ]] 5.37 f :R → R, f(x) = x2인 함수에 대해 A = [0, 1]이면, f−1f (A) = f−1(f ([0, 1])) = f−1([0, 1]) = [−1, 1]이므로

A⊆ f−1f (A)이다.

[[ 예 ]] 5.38 f :R → R, f(x) = x2인 함수에 대해 B = [−1, 1]이면, f f−1(B) = f (f−1([−1, 1])) = f([−1, 1]) = [0, 1]이므로

(21)

f f−1(B)⊆ B이다.

정 리 5.39 f : X → Y 가 함수이고 B, C ⊆ Y 일 때 f−1(B− C) = f−1(B)− f−1(C)이다.

증명.

x∈ f−1(B − C) ⇐⇒ f(x) ∈ B − C (5.40)

⇐⇒ f(x) ∈ B ∧ f(x) /∈ C (5.41)

⇐⇒ x ∈ f−1(B)∧ x /∈ f−1(C) (5.42)

⇐⇒ x ∈ f−1(B)− f−1(C) (5.43)



(22)

정 리 5.40 f : X → Y 가 함수이고 B ⊆ Y 일 때 f−1(B) = (f−1(B))이다.

증명. f−1(Y ) = X이므로 위 정리에 의해,

f−1(B) = f−1(Y − B) = f−1(Y )− f−1(B) (5.44)

= X − f−1(B) = (f−1(B)) (5.45)

 [[ 예 ]] 5.41 f (x) = 2x, B = [2,∞)일 때,

f−1(Bc) = f−1([2,∞)c) = f−1((−∞, 2)) = (−∞, 1)이고, (f−1(B))c= (f−1([2,∞)))c = [1,∞)c= (−∞, 1)이므로 f−1(Bc) = (f−1(B))c이다.

(23)

[[ 예 ]] 5.42 f (x) = x2, B = [−1, 1]일 때,

f−1(Bc) = f−1([−1, 1]c) (5.46)

= f−1((−∞, −1) ∪ (1, ∞)) (5.47)

= f−1((−∞, −1)) ∪ f−1((1,∞)) (5.48)

= ϕ∪ f−1((1,∞)) (5.49)

= f−1((1,∞)) (5.50)

= (−∞, −1) ∪ (1, ∞) (5.51)

= [−1, 1]c (5.52)

이고,

(f−1(B))c= (f−1([−1, 1]))c = [−1, 1]c이므로 f−1(Bc) = (f−1(B))c이다.

참조

관련 문서

 조세특례제한법은 소비지국 과세원칙이나 외화획득과는 아무런 관계없이 국내소비에 대한 부가가치세의 부담을 완전히 제거하기 위하여 특별히 일정한 재화나 용역

 사업자가 그와 특수관계에 있는 자와의 거래에 있어서 재 화와 용역의 공급가액에 대한 조세의 부담을 부당하게 감 소시킬 것으로 인정되는 현저하게 낮은 대가를

 세금계산서 : 사업자가 재화 또는 용역을 공급할 때 부가가치세를 거래징수하고 이를 증명하기 위 하여 공급받는 자에게 발급하는 영수증...

1) 개념 : 둘 이상의 사업장이 있는 사업자가 자기 사업과 관련하 여 생산 또는 취득한 재화를 타인에게 직접 판매할 목적으로 자 기의 다른 사업장에

과세유형의 변경통지 : 간이과세자로 변경되는 경 우에는 원칙적으로 통지할 필요가 없으나 , 일반 과세자로 변경되는 경우에는 통지가

조기환급의 대상과 그 취지 : 사업장 관할세무서장은 사업자가 다음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일반환급절차에

면세사업용 감가상각자산의 과세사업용

표본을 상호배타적인 소군집 (cluster) 으로 분류 2.. 무작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