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 각 품사의 분류 및 특성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 ※ 각 품사의 분류 및 특성"

Copied!
7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2016년 1학기 국어학개론

※ 각 품사의 분류 및 특성

1. 명사

1) 명사의 개념: 사물의 명칭을 표시하는 단어 2) 명사의 분류:

(1) 쓰이는 범위에 따라: 고유 명사, 보통 명사 (2) 자립성 유무에 따라: 자립 명사, 의존 명사

▪의존명사는 전체적으로 관형어와 조사와의 결합에서 제약을 많이 받는 특성을 가지며 자립성이 부족하고 구체적 사물을 지칭하지 않는 점 등에 의해 형식 명사, 또는 불완 전 명사라고도 함.

(3) 유정성 여부에 따라: 유정 명사, 무정 명사

▪ 유정 명사는 여격 조사로 ‘-에게/-한테’를 취할 수 있는데, 무정 명사는 ‘-에’만을 취할 수 있다.

(예 1)ㄱ. 민규에게/한테 {*민규에} 물을 주어라.

ㄴ. 화초에 {*화초에게/한테} 물을 주어라.

(4) 실체성 여부에 따라: 구상 명사, 추상 명사 (5) 가산성 여부에 따라: 가산 명사, 비가산 명사 3) 명사의 특성:

(1) 뒤에 조사가 결합될 수 있다.

(2) 관형사의 수식을 받을 수 있다.

(3) ‘-들’이 결합하여 복수를 나타낼 수 있다.

2. 대명사

1) 대명사의 개념: 사람의 이름, 장소, 사건 등을 대신하여 가리키는 단어 2) 대명사의 분류

(1) 인칭 대명사:

(2) 지시 대명사: 사물 대명사, 처소 대명사

(3) 재귀 대명사: 앞에 나온 체언(= 선행사)를 도로 가리켜 이르는 것 = 재귀사 (reflexive)

(예 2) 자기, 당신 (3인칭 재귀사), 제 (1, 2인칭 재귀사)

(4) 부정칭 대명사: 분명하지 않거나 알려지지 않은 인물이나 대상을 가리키는 인칭 또는 지시 대명사. 즉 특별히 인칭이 정해지지 않은 ‘아무(개), 아무 것, 아 무 데’와 같은 대명사

(5) 미지칭 대명사: ‘누구, 어느 것, 무엇, 어디’와 같이 아직 그 인칭을 모르는 대명사.

흔히 의문사(wh-word)라고 함.

(2)

(예 3)ㄱ. 누가 왔습니까? (미지) / 누가 왔습니다. (부정)

ㄴ. 그것이 무엇인지 모르겠다. (미지) / 무엇이든지 물어 보세요. (부정) 3) 대명사의 특성

▪ 화자를 중심으로 하여 그 상황이 달라짐에 따라 그 명칭이 달라지거나 지시 내용이 달라지는 상황 지시적인 특성이 있다.

(예 4)ㄱ. 나 - 너 – 그

ㄴ. 여기 - 거기 - 저기, 이것 - 그것 – 저것 → (근칭/중칭/원칭) ▪ 대명사는 관형사에 의해서는 수식되지 않고 용언의 관형사형에 의해서 수식됨.

(예 5) *이 당신, *저 그들, *새 나 / 이러한 당신, 저러한 그들, 새로운 나

▪일부 대명사에 주격, 관형격, 부사격 조사가 연결될 때에 그 형태가 바뀌는 일이 있다.

(예 6) 나 + 가 → 내가, 나 + 의 → 내, 나 + 에게 → 내게 저 + 가 → 제가, 저 + 의 → 제, 저 + 에게 → 제게

3. 수사

1) 수사의 개념: 명사의 수량이나 순서를 가리키는 단어 2) 수사의 분류:

(1) 양수사: 수량을 가리키는 수사

(예 7) 하나, 둘, 셋, 넷, 열하나 : 일, 이, 삼, 십, 백, 천, 만 (2) 서수사: 순서를 가리키는 수사

(예 8) 첫째, 둘째, 셋째 : 제일, 제이, 제삼 3) 수사의 특성

▪ 대체로 복수 접미사 ‘-들, -네, -희’ 등에 의해 복수가 될 수 없다는 점이 명사나 대명 사와 다르다.

(예 9) *하나들, *하나네, *하나희... / cf. 첫째네, 둘째네...

▪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관형사나 용언의 관형사형에 의해 수식될 수 없다.

(예 10) *어느 둘, *새 하나, *돌아온 하나 / cf. 어느 하나, 다른 하나

4. 관형사

1) 관형사의 개념: 체언 앞에 놓여서 그 내용을 자세하게 꾸며 주는 말 2) 관형사의 분류:

(1) 성상 관형사: 체언이 가리키는 사물의 성질이나 상태가 어떠하다는 것을 밝혀주는 것 (예 11) 새 집, 헌 옷, 순(純) 우리말, 갖은 고생

(2) 수 관형사: 뒤에 오는 명사의 수량과 순서를 표시하는 것 (예 12) 세 사람, 전(全) 생애, 모든 학생, 여러 나라

(3) 지시 관형사: 발화 현장이나 문장 밖에 존재하는 대상을 주관적으로 가리키는 것 (예 13) 이 책, 그 차, 어떤 생각, 무슨 말, 다른 사람, 전(前) 대통령

(3)

3) 관형사의 특성

▪ 문장 안에서 단독으로 쓰이지 못하며 체언을 수식하여 준다.

▪ 형태 변화가 없으면서 조사나 어미와 결합하지 못한다.

▪ 둘 이상의 관형사가 명사를 수식할 때에는 지시-수-성상 관형사의 순으로 온다.

▪ 기원적으로 용언의 활용형이지만 그 특성을 잃고 관형사로 굳어진 단어들도 있다.

(예 14) 갖은, 다른, 헌 등

4) 관형사와 접두사의 차이

▪관형사는 분리성이 있으나, 접두사는 그렇지 않다.

(예 15) 새 옷 - 새 큰 옷 / 맨손 *예쁜 손

▪관형사는 보통 명사 앞에 두루 쓰이나, 접두사는 결합되는 단어가 제한된다.

(예 16) 다른 발, 다른 손, 다른 일, 다른 옷, 다른 사람 / 맨발, 맨손, *맨일, *맨옷, *맨사람

5) 관형사와 대명사의 차이

▪ 대명사는 조사와 결합하나, 관형사는 조사와 결합하지 못하고 명사를 수식한다.

(예 17) 이 책, 그 마을 / 이보다 더 좋을 수 없다, 그가 말했다.

▪ 지시 대명사 ‘이, 그, 저’는 ‘이것, 그것, 저것’으로 대치할 수 있는 데, 지시 관형사는 그렇지 못함.

6) 관형사와 수사 구분의 문제

▪ 수사는 조사가 결합할 수 있으나, 관형사는 결합할 수 없다.

(예 18) 사과 하나가 있다. / *한이 사과

▪ 조사가 없어도 문장의 주 기능을 가지면 수사로 파악한다.

(예 19) 나도 하나 먹었어.

▪ 학교 문법에서는 수사가 명사를 꾸미는 기능을 하는 경우에는 수사라 하지 않고 관형 사라고 규정하나, 수사가 조사를 취할 수 있는 점이나 일반적으로 체언류는 그 자체의 형태 변화 없이도 관형어의 역할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수사도 이와 같은 기능을 보임.

(예 20) 도시 풍경, 우리 학교 / 세 학생, 일곱 형제

5. 부사

1) 부사의 개념: 용언 또는 다른 말이나 문장 앞에 놓여 그 뜻을 분명하게 하는 말 2) 부사의 분류:

(1) 성분 부사: 문장의 한 성분을 꾸미는 부사

① 성상(性狀) 부사: 사람이나 사물의 모양, 성질, 상태를 꾸며주는 부사 상징 부사(의태 부사, 의성 부사)를 포함한다.

(예 21) 너무, 자주, 매우, 몹시, 아주, 철썩철썩, 데굴데굴

(4)

② 지시 부사: 방향, 거리, 시간, 처소 등을 지시하는 부사 (예 22) 이리, 그리, 아까, 내일, 곳곳이

③ 부정 부사: 용언의 의미를 부정하는 부사 (예 23) 아니, 안, 못, 잘못

④ 상징 부사: 의성 부사, 의태 부사

(2) 문장 부사: 문장 전체를 수식하거나 문장과 문장을 이어주는 역할을 하는 부사

① 양태 부사: 말하는 이의 마음이나 태도를 표시하는 부사로, 일반적으로 문장 첫머 리에 온다.

(예 24) 과연, 다행히, 만일, 아마도, 정말, 제발

② 접속 부사: 앞뒤 문장을 이어 주면서 뒷말을 꾸며 주는 부사 (예 25) 그리고, 그러나, 즉, 및, 또, 또는, 내지, 혹은

▪ ‘및, 또, 혹은’ 등과 같은 부사가 문장 수식의 기능을 하는 것인지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 접속사 설정 문제

(3) 파생 부사: 형용사의 어근이나 명사 등에 부사 파생 접미사를 붙여 만든 부사 (예 26) 깨끗이, 솔직히, 나날이

3) 부사의 특성

▪ 주로 부사어로 쓰이며 용언을 수식하나, 다른 부사나 관형사, 체언도 수식할 수 있다.

(예 27) 매우 좋다, 아주 빨리, 진짜 새 책, 바로 너

▪ 문장 안에서의 위치가 비교적 자유로우며, 관형사와는 달리 단독으로 쓰일 수도 있다.

(예 28)ㄱ. 과연 그게 사실일까? / 그게 과연 사실일까?

ㄴ. 빨리 갈까, 천천히 갈까? - 천천히 (가).

cf. 그거 새 책이야, 헌 책이야? - *새 (책)

▪ 형태 변화가 없는 점 등이 관형사와 유사하나, 관형사와는 달리 보조사와 결합할 수 있다.

(예 29) 너무나, 빨리도, 잘은

▪ 문장의 주어가 복수임을 나타내는 보조사 ‘-들’이 오기도 함.

(예 30) 많이들 / 벌써들 / 어서들

cf. 가산 명사 뒤에 결합하는 ‘들’은 복수 접미사

6. 조사

1) 조사의 개념: 체언이나 부사, 어미 따위에 붙어 그 말과 다른 말과의 문법적 관계를 표 시하거나 그 말의 뜻을 도와주는 품사

2) 조사의 분류:

(1) 격 조사: 한 문장에서 선행하는 체언으로 하여금 일정한 자격을 갖도록 해주는 조사 ▪ 국어의 격(格, case)은 격 조사에 의해 결정된다.

(5)

▪ 원칙적으로 체언과 결합하며 생략될 수 있다.

① 주격 조사: 이/가, 께서, 에서(단체) ② 목적격(= 대격) 조사: 을/를, -ㄹ ③ 보격 조사: 이/가

▪‘아니다, 되다’ 앞에서 서술어의 의미를 보완해 주는 체언에 결합되는 조사 ④ 관형격 조사 (=소유격, 속격): 의

⑤ 부사격 조사: 에, 에서, 에게, 한테, 께, (으)로, (으)로서, 와, 처럼, 하고, 라고 등 ▪의미에 따라 처격, 여격, (도)구격, 변성격, 자격격, 공동격, 비교격, 인용격 등 다양 한 이름으로 분류된다.

⑥ 호격 조사: 아/야, (이)여 ⑦ 서술격 조사: (이)다

▪서술격 조사의 문제: 명사에 결합되는 성질에서 보면 조사로 처리하는 것이 타당성 이 있으나, 어미변화를 한다는 점에서 보면 다른 조사와 현격한 차이가 있어 문제 가 됨.

(2) 접속 조사: 둘 또는 그 이상의 단어나 구, 절을 같은 자격으로 이어주는 조사 (예 31) ‘와/과, 하고, (에)다, (이)나’, (이)며, (이)랑 등

(3) 보조사: 격을 담당하지 않으며, 문법적 기능보다는 특수한 의미를 덧붙여 주는 조사 ▪ 보조사는 주격, 목적격, 부사격 등의 자리에 두루 쓰인다.

(예 32)ㄱ. 철수만 학교에 갔다.

ㄴ. 철수는 영어만 잘한다.

ㄷ. 이건 철수만 주어라.

▪ 부사나 활용 어미 뒤에도 결합할 수 있다.

(예 33) 자꾸만, 너무나, 먹지도, 잡아서도 ▪ 다른 격 조사와 결합하여 쓰이기도 한다.

(예 34) 너만을, 나에게는, 너에게로 ▪ 원칙적으로 생략될 수 없다.

3) 접속 조사 ‘와/과’와 부사격 조사 ‘와/과’의 차이점

(1) 부사격 조사 뒤에는 다른 보조사가 결합될 수 있으나, 접속 조사에는 결합되지 않음.

(예 35) 민규는 우진과도 사이좋게 지낸다. / *민규는 국어와도 수학을 좋아한다.

(2) 부사격 조사를 취한 명사는 주어와 자리를 바꿀 수 있는데, 접속 조사는 안 됨.

(예 36) 동생과 민규는 사이좋게 논다. / *국어와 민규는 수학을 좋아한다.

(3) 접속 조사는 접속의 기능을 가지고 있어 접속 조사가 이어진 성분이 생략되어도 복문 이 단문으로 될 뿐 문장 자체는 완전한데, 부사격 조사가 결합된 성분은 생략되면 불 완전한 문장이 됨.

(예 37) 나는 (파란색과) 녹색을 좋아한다. / ?표범은 (치타와) 비슷하다.

(6)

(4) 두 개 이상의 문장으로 바꾸어 쓸 수 있으면 접속 조사, 그럴 수 없으면 부사격 조사 (예 38)ㄱ. 나는 파란색과 녹색을 좋아한다. → 나는 파란색을 좋아한다.

나는 녹색을 좋아한다.

ㄴ. 표범은 치타와 비슷하다. → *표범은 비슷하다. *치타는 비슷하다.

7. 동사와 형용사 1) 개념:

┌ 동사: 문장의 주체가 되는 사람이나 사물의 움직임과 작용을 나타내는 단어 └ 형용사: 사물의 성질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단어

▪둘 다 활용을 하면서 주체를 서술하는 기능이 공통적이어서 넓은 의미로 형용사를 포함 하여 ‘동사’라고도 함.

→ 동사 = 용언, 서술어┌ 동작 동사(動作 動詞) = 동사 └ 상태 동사(狀態 動詞) = 형용사 2) 동사의 분류:

(1) 자동사: 목적어를 취하지 않는 동사 (2) 타동사: 목적어를 취하는 동사 3) 형용사의 분류:

(1) 성상 형용사: 성질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형용사 (2) 지시 형용사: 지시를 나타내는 형용사

4) 동사와 형용사의 구별

(1) 학교 문법에서는 현재 시제 표시 ‘-느-’가 연결되면 동사, 그렇지 못하면 형용사 ▪ 동사는 현재형 종결 어미 ‘-는다/-ㄴ다’와 현재형 관형사형 어미 ‘-는’과 결합하고, 형용사는 현재형 종결 어미 ‘-다’와 현재형 관형사형 어미 ‘-은/-ㄴ’과 결합함.

(2) 명령형 어미나 청유형 어미와 결합하면 동사, 그렇지 않으면 형용사 (3) 동작상(動作相)과 결합하면 동사, 그렇지 않으면 형용사

(4) 목적이나 의도 등을 의미하는 어미와 결합하면 동사, 결합할 수 없으면 형용사

(5) ‘가장’류는 대체로 형용사는 수식해 주지만 동사를 수식할 수는 없고, ‘잘’류는 동사만 을 수식한다.

(예 39)ㄱ. 가장 예쁘다. *가장 오르다.

ㄴ. *잘 예쁘다. 잘 오르다.

기본형 종결형/관형형 현재 청유형 명령형 동작상 목적/의도 동사 읽다 읽는다/읽는 읽자 읽어라 읽고 있다 읽으려고 뛰다 뛴다/뛰는 뛰자 뛰어라 뛰고 있다 뛰려고 형용사 작다 작다/작은 *작자 *작아라 *작고 있다 *작으려고 바쁘다 바쁘다/바쁜 *바쁘자 *바빠라 *바쁘고 있다 *바쁘려고

(7)

(6) ‘있다, 없다, 아니다’

▪ 학교 문법에서 ‘없다, 아니다’는 형용사로, ‘있다’는 동사와 형용사로 통용되는 것으 로 처리한다.

5) 보조 동사와 보조 형용사의 구별

(1) 선어말 어미 ‘-는/-ㄴ’이 붙으면 보조 동사, 그렇지 않으면 보조 형용사 (예 40) 책을 읽어 본다.(동) / 책을 읽는가 보다.(형)

(2) 본용언이 동사이면 보조 동사, 본용언이 형용사이면 보조 형용사 (예 41) 가지 못한다.(동) / 예쁘지 못하다.(형)

(3) 보조 용언의 어간에 ‘-는다’를 붙일 수 있으면 보조 동사, 그럴 수 없으면 보조 형용 사

(예 42) 듣지 않았다. → 듣지 않는다.(동) / 돕는 듯했다. → 돕는 *듯한다.(형) (4) 동사 뒤에 보조 형용사가 붙을 수 있고, 형용사 뒤에도 보조 동사가 붙을 수 있다.

(예 43) 잠을 자고 싶다. / 높이를 높게 한다.

6) 서술격 조사 ‘-이다’의 활용

▪ 모음으로 끝난 말 뒤에서 ‘이’를 생략할 수 있다.

(예 44) 이것은 배(이)고, 저것은 사과(이)다

▪ 대체로 형용사와 유사한 활용을 하나, 형용사와 달리 ‘-로’가 첨가될 수 있으며, 특 히 ‘아니다’와 아주 비슷한 활용을 보인다.

(예 45)ㄱ. 책이다. / *책인다. / 책이로군.

ㄴ. 책이 아니다. / *책이 아닌다. / 책이 아니로군.

ㄷ. 예쁘다. / *예쁜다. / *예쁘로군.

8. 감탄사

▪ 놀람, 느낌, 부름이나 대답을 나타내는 낱말

(예 46) “어머, 앗, 얘, 응, 에구, 흥, 예, 어~, 저~’ 등 ▪ 조사나 어미가 붙지 않고, 언제나 독립어로만 쓰임.

▪ 문장 속에서는 어떤 한 단어와만 관계를 갖는 것이 아니라 그 문장의 나머지 성분 전체 와 관계를 맺는다는 것이 특징

▪ 위치가 비교적 자유로워서 문장의 처음이나 끝, 중간 중간에도 끼어 들 수 있어 간투사 (interjection)라고도 함.

참조

관련 문서

[r]

“Slump Test 결과에 따라 분산제, 유지제 및 분산유지제로 분류”. “Slump Test 결과에 따라 분산제, 유지제

Abstract - This paper reviewed and analyzed converters for SRM drive. SR converter has two parts, front ends and power converter. Since the capacitive front-end is widely

레일 파상마모 종류 및 특성... 레일

본 연구에서는 심지층 처분장 부지선정 시에 고려되는 요소를 지질분야, 수리지질분야, 지화학분야 등으로 분류 하고 이들 각 분야별로 세부 항목에 대한 국외 기준 분석 을

창의성은 학습이 불가능한 것 개인의 창의성 평가 못함 창의적인 사람과 창의적이지 못한 사람으로 분류 창의적 통찰의 발현과정을 이해하려는 노력 좌절시킴 인지과정 및

[r]

관리자는 각 단과대학 전공주임교수(학과장) 및 부속․부설기관의 책임 있는 직원으로 보한다.. 제5조(관리사항) 관리책임자와 관리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