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다산 정약용과 실학파문학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다산 정약용과 실학파문학"

Copied!
10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 한국의 고전작가와 작품세계 7>

다산 정약용과 실학파문학 담당교수 : 하정승

영상으로 읽는 고전작품

(2)

다산 정약용과 실학파문학

18세기의 특징: 이 시기는 조선 사회에서 새로운 변화 의 시대였음. 특히 실학의 측면에서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남. 실학은 정치·경제·사회·문화 등 여러 분야에 영향을 미쳤음.

대표적인 실학자: 홍대용, 이익, 박지원, 정약용, 박제 가 등. 이들 중에서도 일반인들에게 가장 많이 알려진 사람은 역시 박지원과 정약용(1762∼1836)을 꼽을 수 있다. 사실 박지원은 문장가로서의 측면이, 정약용 은 학자로서의 측면이 두드러진다고 생각된다.

박지원의 문학적 주 영역: 시보다는 산문.

정약용의 문학적 주 영역: 시.

(3)

다산 정약용과 실학파문학

다산시의 전반적인 특징: 다산의 시는 다양한 모 습을 갖고 있지만, 그 무엇보다 백성의 현실을 목 도하고 잘못된 정치현실을 비판하고 개혁하려는 측면이 강하다. 이는 실학자다운 면모라고 해도 좋을 것이다.

정약용: 호는 다산(茶山), 사암(俟菴).

정치적 배경: 근기남인(近畿南人). 정조의 총애를 받음.

저서: {여유당전서}

(4)

다산 정약용과 실학파문학

정약용은 경기도 馬峴(지금의 남양주시 조안면 능 내리)에서 태어나 정조 사후 18년간의 강진 유배 시절을 거쳐 다시 마현으로 돌아와 생을 마쳤다.

마현에서의 만년기도 강진 유배기간과 정확히 일 치하는 18년간이었다. 말하자면 마현은 그의 인생 의 출발점이자 마침표와도 같은 곳이다.

(5)

다산 정약용과 실학파문학

비록 중앙정계에서 비껴나 있었지만 행복은 권력 이나 명예, 부를 누리는 것에 달려있지는 않다. 한 적한 시골 생활은 강진 유배 생활에서 시작한 다 양한 분야의 저술 작업을 마무리 지을 수 있게 했 다. 다산의 엄청난 분량의 저술 여유당전서(與猶 堂全書) 는 강진 유배나 마현에서의 만년이 아니 었다면 결코 나올 수 없었을 것이다. 상당히 서정 적인 다음 시를 보자.

(6)

다산 정약용과 실학파문학

궁벽하게 사노라니 사람과 접하기 드물고,

항상 의관도 걸치지 않고 있네.

낡은 집엔 향랑각시 떨어져 기어가고,

황폐한 들판엔 팥꽃이 남아 있네.

병 많으니 따라서 잠마저 적어지고,

글짓는 일로써 수심을 달래 보네.

오랜 비 때문에 어찌 괴로워만 할 것인가,

날 맑아도 또 혼자서 탄식할 것을.

窮居罕人事 恒日廢衣冠

敗屋香娘墜 荒畦腐婢殘

睡因多病減 愁賴著書寬

久雨何須苦 晴時也自歎

(7)

다산 정약용과 실학파문학

인용한 시의 제목은 「구우(久雨)」이다. 번역하면

‘장맛비’ 정도가 되겠다. 매년마다 찾아오는 장마 철을 사람들은 어떻게 보낼까? 요즈음 같으면 하 루종일 집에 앉아 영화를 보거나 인터넷을 하거나 음악을 들을 것이다. 그도 아니면 스마트폰으로 친구와 수다를 떨지도 모른다. 또는 가족과 함께 전을 부쳐 먹으며 단란한 시간을 보낼 수도 있다.

하지만 다산은 홀로 앉아 탄식을 하고 시를 쓴다.

물론 그 시절에는 TV도, 인터넷도, 전화도 없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만약 있었다 하더라도 다산은 여전히 홀로 시를 쓰고 있었을 것 같다.

(8)

다산 정약용과 실학파문학

그는 지금 아무도 찾아오지 않는 한적한 시골생활을 하고 있는 중이다. 아니 한적하다 못해 적막하기까지 하다. 양반 이라면 갖춰 입어야 할 의관도 제대로 걸치지 않았다. 3-4 구는 얼핏 보면 주변의 들판이나 집에 대한 묘사로 보이기 도 하지만, 사실은 시인의 내적 심리상태를 말한 것이다.

낡은 집에는 사람 한 명 보이지 않는다. 사람은커녕 쥐새끼 한 마리도 없다. 눈에 보이는 것은 향랑각시 한 마리가 방 바닥에 기어가는 것뿐이다. 향랑각시는 노래기를 지칭하는 말이다. 시선을 돌려 들판을 바라봐도 아무 것도 없다. 황 폐해졌기 때문이다. 오직 보이는 것은 팥꽃 밖에 없다. 조 금 과장해서 말하면 지금 시인의 곁에 있는 유일한 생명체 는 노래기와 팥꽃이다. 찾아오는 사람은 아무도 없고 그나 마 유일한 말벗은-물론 서로 대화를 나누는 것은 아니지만 -방바닥을 기어 다니고 있는 노래기와 들판에 홀로 남겨진 팥꽃뿐인 것이다. 이들은 시인의 친구이기도 하지만, 또 시 인을 많이 닮아있다. 홀로이고, 홀로여서 외롭다는 점이 그 렇다.

(9)

다산 정약용과 실학파문학

일반적으로 이 시를 벼슬에서 물러난 다산이 시골에서 지내며 장 마철 농민의 궁핍한 생활상을 직접 목도하고 사실적으로 그려낸 작품으로, 더 나아가서는 도탄에 빠진 민생고를 해결하기 위해서 는 잘못된 사회현실을 바로잡는 제도개혁이 필요함을 은근히 내 비친 현실참여적인 성격의 시라고 해석하는 경우가 많다.

물론 이러한 분석은 어느 면에서는 상당히 타당한 견해이기도 하 지만, 필자는 좀 다르게 이 시를 해석하고 싶다. 궁벽한 시골에서 외롭게 살아가는 고독한 시인의 자화상으로 보고 싶은 것이다.

5-6구는 잠들지 못하는 불면의 밤에 그나마 시쓰기가 유일한 해 방구임을 말하고 있다. 시인은 병이 들어 잠도 잘 수 없다고 하였 다. 잠을 편히 못 이루니 별별 근심도 따라서 더욱 많아진다. 이 때 해결책은 시쓰기이다. 시를 쓰면 모든 수심과 걱정이 넉넉히 해결된다. 그렇다면 다산에게 시쓰기는 외로울 때의 친구요, 삶 의 희망이요, 존재 이유이기도 한 것이다. 다산이 2500여수가 넘 는 많은 시를 남긴 것도 이와 무관해 보이지 않는다.

(10)

다산 정약용과 실학파문학

마지막 7-8구는 상당히 자조적(自嘲的)이다. 장 마가 길게 계속된다고 괴로워할 필요가 없는 이유 는 어차피 날이 맑다고 해도 혼자서 탄식할 것이 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이 정도의 냉소적인 자조 는 아무나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외로움이 뼈까 지 스며들 정도로 철저하게 혼자임을 경험한 사람 에게서 나올법한 자조이다.

참조

관련 문서

전업 투자자는 아니지만 부동산 투자도 해보고, 열심히 공부해서 주 식 투자도 성공해본 경험치들은 고객과의 대화를 이끌어내는 데에 많은 도움이 됩 니다.”..

나누는

나누는

하나님을 사랑한다는 것은 하나님을 아는 것과 관련이 있고요, 하나님 그분이 우리의 유일한 구세 주이며, 우리의 유일한 주인이시며, 우리의 생명

나누는

ㆍ분류형은 어휘를 동물명ㆍ식물명ㆍ금속명 등으로 나누는 것이다..

 이러한 권리가 의미하는 것은, 임종환자는 홀로 방치되어서는 안 되고, 편안하게 돌봄을 받을 권리가 있다는 것이다. 임종환자에게 존경을 나 타내는 것은 환자가 살아있는

작업 도중 직접 만나서 대화를 나누는 사람은 토스트 가게 아줌마와 중국집 배달원이 전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