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의미장의 기본 구조 1.2.1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의미장의 기본 구조 1.2.1"

Copied!
5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의미장(2)

1.2. 의미장의 기본 구조

1.2.1. 균형형

균형형은 구조의 긴밀도가 가장 높은 것이다. 그 보기로는 아래와 같은 것들이 해당한다.

예1) 신사, 숙녀, 소년, 소녀

예2) 동물의 패러다임

[종] [남성] [여성] [-1세대]

[사람] 사람 남자 여자 아이

[개] 개 - - 강아지

[말] 말 - - 망아지

[소] 소 - - 송아지

[꿩] 꿩 장끼 까투리 -

ㆍ균형형은 가로 세로가 정연히 병립하고 있으므로, ‘개’의 [수컷]에 해당하는 어휘소의 경 우처럼 어휘 체계의 빈자리를 한눈에 볼 수 있다.

ㆍ서로 다른 언어에서 의미장이 어떻게 실현되고 있는지를 대조를 손쉽게 할 수 있다.

ㆍ‘동물의 패러다임’을 보면, ‘종’과 ‘성’, ‘세대’의 분화가 온전히 이루어져 있지 않음을 보게 된다.

ㆍ‘성’의 표시는 ‘종’에다 ‘수/암’을 덧붙이는 것이 일반적이며, ‘세대’의 표시는 ‘망아지, 강 아지, 송아지’를 제외하면 ‘종’에다 ‘새끼’를 덧붙이는 것이 일반적이다.

1.2.2. 분류형

ㆍ분류형은 어휘를 동물명ㆍ식물명ㆍ금속명 등으로 나누는 것이다.

예) 금속명: 금, 은, 구리, 망간, 알루미늄 등

ㆍ구조의 긴밀도는 균형형에 비하여 다소 느슨하다.

ㆍ같은 지시물에 대해서도 언어마다 분류가 다를 수 있다.

예) ‘감자’의 경우 언어에서는 야채로 다루지만, 독일어에서는 주식이기 때문에 야채로 취급 하지 않는다. ‘토마토’의 경우 과일인지 야채인지 분류가 어려운 경우도 있다.

ㆍ분류의 유형은 민간에서 자연발생적으로 이루어진 민간분류와 과학적 검증에 기초한 과학 적 분류로 나뉜다.

ㆍ양자의 분류가 혼동된 경우도 나타난다.

(2)

예) ‘고래’는 포유류 동물이지만, 중국어의 ‘鯨’에서 ‘魚-’를 보면 전통적으로 ‘물고기’로 취 급해 온 것을 알 수 있다.

1.2.3. 의미 분야형

ㆍ의미 분야형은 균형형과 분류형의 중간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구조의 긴밀도 역시 중간 정도이다.

ㆍ체계화의 기준을 설정하는 방법에 따라 같은 어휘소가 몇 개의 다른 체계의 구성원이 될 수도 있다.

예) [손 동작]: 쥐다 잡다 들다 밀다 놓다 당기다 주무르다 문지르다 대다 두들기다 때리다 치다 패다 젓다 흔들다 어루만지다 누르다 후비다 지르다 깨다 찢다 째다 펴다 오므리다 할 퀴다 엎다 받들다 올리다 내리다 자르다 가위질하다 썰다 베다 끊다 돌리다 굴리다 뒤집다

ㆍ위의 예에 [절단 동작]이라는 기준을 세우면, ‘끊다 찢다 째다 자르다 가위질하다 베다 썰다’ 등이 소속된다.

ㆍ[회전동작]이라는 기준을 세우면, ‘젓다 돌리다 굴리다 뒤집다 감다 굽히다 휘다 비틀다 죄다’ 등이 소속된다.

ㆍ이상에서 본 3가지 구조형에서는 구조의 긴밀도와 어휘소의 의미를 성분으로 분석할 경 우 난이도가 비례한다.

ㆍ‘남자’와 같은 균형형은 [사람] [성숙] [남성]에서 보듯이 가장 명확하고 쉽게 분석되는 반면, 분류형의 보기인 금속명에서는 ‘구리 납 아연 금 은……’ 등이 어떠한 체계를 이루는 지가 명확하지 않고 서로를 구별하는 의미 성분을 추출하기도 곤란하다.

ㆍ동물의 패러다임의 경우 전체적인 모습은 균형형을 이루지만, 왼쪽의 세로줄 ‘사람 말 개 돼지 양 소’는 동물명이라는 분류형에 속한다.

2. 생활 양식과 의미 인식

2.1. 사피어ㆍ워프의 가설

2.1.1. 의미장과 세계관

ㆍ한 언어의 어휘 체계가 비록 분명하게 밝힐 수는 없지만 그 나름의 무수히 복잡한 의미장 으로 되어 있을 것이라는 생각은 ‘사피어ㆍ워프의 가설’까지 나오게 하였다.

ㆍ이 가설은 한 언어의 모든 어휘가 일정한 의미장을 구성하고 있다고 믿을 경우, 그 의미 장을 자세히 검토해 보면 그 언어를 쓰는 사람들의 사고방식 내지는 세계관을 찾아낼 수 있 다는 것이다.

예) 색채명이 일곱 개밖에 없는 언어를 쓰는 사람들은 암암리에 색채의 종류가 일곱 개뿐이

(3)

라는 고정 관념 속에서 벗어나기 어렵다.

2.1.2. 언어와 문화 유형

ㆍ 이러한 견해는 인식의 보편성을 망각하고 특정한 언어의 표현 양식 속에 인간의 사고를 제한하려는 잘못을 드러내는 것이다.

ㆍ하지만 적어도 한 언어가 그 언어만이 지닌 특별한 문화 유형을 표현해 준다는 관점에서 는 재고할 가치가 있다.

2.2. 어휘 분류와 문화와의 관계

2.2.1. 언어와 문화

ㆍ인류학 연구에서는 어휘의 통속 분류가 그 언어를 사용하는 집단의 생활양식이나 사고방 식을 해명하는 중요한 예증의 구실을 하게 되었다.

ㆍ여러 개의 서로 다른 문화 유형으로 범주화되며 또 각기 다른 문화 유형은 하나의 문화 사회에서도 공존한다.

예) 퍼처녹ㆍ워너는 나바호 사람들에게 그들 나바호 사람들이 먹는 음식 이름을 적은 카드 뭉치를 주고 그 카드를 자기 나름으로 분류하되 분류된 하위군마다 적절한 이름을 붙이라고 하였다.

ㆍ그들 나바호 사람들은 각각 서로 다른 분류 방법을 했는데도 서로서로 상대방의 분류에 정당성을 인정한다는 점이었다.

2.2.2. 분류학에서의 분류와 일상에서의 분류

ㆍ아래의 분류는 고양이과, 개과, 소과 등으로 분류하는 동물학의 체계와는 다른 것이며, 실 제 생활에서 인간이 동물과 어떤 다른 관계를 맺고 있는가 하는 것을 보여 주고 있다.

예) 우리는 흔히 동물을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3. 낱말의 평면적, 입체적 관계

3.1. 배타성과 포섭성

3.1.1. 배타성 동물

애완 동물 고양이, 개, 말, … 가축 소, 닭, 돼지, … 야생 동물 사자, 호랑이, 곰, …

(4)

ㆍ일상 언어에서 단어들의 의미 범위는 학술 용어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A와 非A 사이의 넘나들 수 없는 엄격한 양립 불능의 배타성을 유지한다.

예) 더하기/빼기

非A A

3.1.2. 포섭성

ㆍ또한 A와 非A가 서로 포섭되어 공통의 의미 범위가 생기기도 한다.

예) ‘책/공책’, ‘밥/반찬’ 등

非A A

3.2. 패러다임

3.2.1. 의미장의 분류

ㆍ의미장은 언어의 서로 다른 단어들로 구성된 어휘적 총 용례(패러다임)이다.

ㆍ의미장은 구조적 관점에서 단일한 내용의 변별적 특성에 의해 서로가 직접 대립되어 있으 면서 동시에 하나의 어휘적 연속체로 재분류된다.

ㆍ의미장을 분석할 때 주목할 것은 다음의 여섯 가지 요소들이다.

ㄱ. 한 언어, 구체적 단일어 ㄴ. 단어들

ㄷ. 내용(의미)의 어휘적 연속 ㄹ. 변별적 특성

ㅁ. 대립 ㅂ. 재분류

3.2.2. 분류 방법의 발전

(5)

ㆍ의미장 이론은 우리가 감각적으로 분명하게 구별할 수 있는 외연적 대상을 평면적으로 분 류한다는 기본 발상의 제약을 벗어나기 위하여 꾸준히 새로운 방법론이 모색되고 있다.

ㆍ이 의미장의 이론은 생성 문법에서 문장의 정확한 해석을 위하여 개발된 어휘 항목의 성 분 분석의 방법에 깊은 영향을 끼쳤다.

3.3. 의미장의 빈자리

ㆍ의미장의 빈자리는 곧 어휘체계의 빈자리이다.

ㆍ빈자리란 체계 속에서 개념상으로는 있을 법한데 실제로 어휘소가 되어 있는 것으로 규정 된다.

예1) ㄱ. 손가락: 엄지 - 집게 -가운데 - ( ) - 새끼 ㄴ. 발가락: 엄지 - ( ) - 가운데 - ( ) - 새끼

예2) 어버이: 아버지, 어머니 오누이: 오빠, 누이 ( ): 아저씨, 아주머니 ( ): 아들, 딸

참조

관련 문서

I think we can use selfies to make a better school life?. We can do good things at school

y= 에서 x가 분모에 있으므로

[r]

따라서

즉 사각형 ABCD가

③ 분자가 반응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충돌이 필요하며 그 충돌은 분자가 활성화에너지 이상 의 에너지를 갖고 화학적 반응에 필요한 방향이 알맞을 때 반응을 일으킬

따라서 계산

A반을 나타내는 그래프가 B반을 나타내는 그래프보 다 오른쪽으로 치우쳐 있으므로 A반 학생들이 B반 학생들보다 도서관 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