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미술관의 사회적 기능 강화를 위한 운영 연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미술관의 사회적 기능 강화를 위한 운영 연구"

Copied!
74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碩士學位論文

미술관의 사회적 기능 강화를 위한 운영 연구

國 民 大 學 校 行 政 大 學 院

文 化 藝 術 行 政 學 專 攻 曺 銅 夾

2002

(2)

미술관의 사회적 기능 강화를 위한 운영 연구

指導敎授 김성래

이 論文을 碩士學位 請求論文으로 提出함

2002年 12月 日

國 民 大 學 校 行 政 大 學 院

文 化 藝 術 行 政 學 專 攻 曺 銅 夾

2002

(3)

曺銅夾의

碩士學位 請求論文을 認准함.

2002年 12月 日

審査 委員長 印 審 査 委 員 印 審 査 委 員 印

國 民 大 學 校 行 政 大 學 院

(4)

목 차

Ⅰ. 서 론 ...1

1. 연구목적 ...1

2. 연구방법 및 대상...2

Ⅱ. 미술관과 사회...4

1. 미술관의 사회적 기능...4

1) 미술관 기능의 변천 ...4

2) 미술관의 현대적 기능...11

3) 미래의 미술관 형태...13

2. 미술관과 사회와의 관계...18

1) 미술관의 사회적 동기...18

2) 지역문화의 육성...22

3) 미술관의 경제적 역할...24

3. 미술관의 교육적 기능...25

1) 미술관 교육의 중요성...25

2) 관람객을 위한 수용문화...27

3) 미술관 교육의 유형...30

4) 외국의 미술관 교육...33

(1) 미국의 미술관 교육...33

(2) 영국의 미술관 교육...35

(3) 프랑스의 미술관 교육...37

5) 외국 미술관 교육의 특성...41

(5)

6) 우리 나라 미술관 교육의 사례...43

Ⅲ. 미술관과 경영...46

1. 예술경영에 대한 이해...46

1) 예술경영의 필요성...46

2) 예술경영 전문인력의 중요성...48

2. 미술관 경영과 마케팅...50

1) 미술관 경영의 개념...50

2) 예술마케팅의 역할...51

3) 미술관 마케팅...54

4) 관람객 개발...58

Ⅳ. 결 론...63

참고문헌...66

(6)

표목차

표-1) 문화에술 행정의 체계...19

표-2) 시각적 해독력...33

표-3) 3개 지역 공립미술관 교육관련 업무현황 비교...44

표-4) 서비스 행위의 성격에 따른 분류...52

표-5) 전략적 마케팅 기획의 과정...55

(7)

Ⅰ. 서 론

1. 연구 목적

현대사회에서 미술관이 차지하고 있는 사회적 위치와 역할에 대한 논의는 교육기회의 확대와 여가기회의 증대에 따라 새롭게 대두된 관중들 즉 실질적 인 문화소비자라고 할 수 있는 대중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도록 만들고 있 다. 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그 영향력이 날로 증가하고 있는 매스 미디어 등 에 의해 이 시대의 대중들은 과거 그 어느 때보다 많은 문화정보 속에 파묻 혀 살고 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이러한 문화에 대한 대중적 관심 의 증대와 더불어 문화중개기구 또한 활발하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보다 나은 문화 환경의 조성은 문화 예술의 창조와 향유라는 국민의 기본 권인 문화권(cultural rights)을 보장하는 것이며, 개개인의 문화권 충족은 기 본적으로 문화 예술의 발전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지금까지 경제 성장 위주의 정책을 추구한 우리 나라 국민들의 문화생활이란 특수층만의 고급 문 화 예술 향수 정도에 불과했다. 그러나 복지국가를 추구하는 21세기에는 모 든 국민이 골고루, 그리고 제대로 된 문화생활을 향유하는 것을 기본 정책으 로 확립하여야 한다. 이것이 바로 문화민주주의(Cultural Democracy)이다.

그러나 우리의 문화 환경은 아직 기본적인 욕구를 충족하기에도 역부족인 상태이다. 본 논문에서 논의하고자 하는 문화 환경의 기본 요소인 미술관도 마찬가지이다. 미술관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하고 있기는 하지만 현재 운 영되고있는 미술관들의 운영방식이나 활동내용으로서는 대중을 위한 사회교 육의 기능을 충족시켜 줄 수 없으며 무엇보다도 미술관의 수적 부족뿐만 아 니라 질적 향상 또한 시급히 극복해야할 과제이다.

(8)

이러한 상황을 전제로 본 논문에서는 문화를 매개하여, 국민으로 하여금 문 화를 만나고 누릴 수 있도록 하는 공간적 의미로서의 미술관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오늘날의 미술관은 전시관람, 음악, 영화감상, 토론, 사람 만나기 등 의 다양한 활동을 위한 장소의 의미로 변화하였다. 이와 같이 미술관이란 정 체되어 있는 기관이 아니라 변화하는 시대적, 사회적 요구에 반응하며 끊임 없이 발전하려는 경향을 지닌 유기체와 같다.

고급문화로 인식되어온 미술관이 대중을 위한 바람직한 문화공간으로 활용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미술관의 사회 교육적 기능과 미술관 운영의 필요 조건을 다각적으로 연구해 봄으로써 미술관이 지역 사회에서 제 역할을 다하 도록 도움을 주는데 연구 목적을 두고자 한다.

2. 연구방법 및 대상

본 연구에서는 먼저 미술관의 변천을 통해서 미술관 기능이 어떻게 변화하 고 발전되어 왔는지 알아보고 오늘날 미술관 기능이 갖는 사회적 의미를 찾 아 지역사회와 미술관이 어떠한 관계를 갖고 있는지 그리고 앞으로 다가올 미래의 미술관 형태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 미술관이 담당해 야 할 교육적 기능 수행이 갖는 의미와 그 형태 등에 대한 외국의 사례를 문 헌자료와 인터넷을 통해 조사 연구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우리 나라 미술관의 교육 실태를 비교, 분석하였다.

우리 나라 미술관 중에서 국립현대미술관은 그 동안 국제적 미술동향을 적 극 수용하여 나름대로 국가적 수준을 의식한 운영을 해왔고, 다른 시립미술 관 보다는 예산규모나 시설면에서 유리한 조건을 가지고 있기에 이런 대표성

(9)

을 띤 국립현대미술관 보다는 여기서는 지역 시립미술관의 교육 사례를 대상 으로 조사하였다.

다음으로는 예술경영의 시각에서 미술관 경영과 마케팅 개념의 도입 등을 다루고자 하였다. 이는 미술관의 교육적 기능이 미술관 경영에서의 관람객 개발과 맥을 같이 함은 물론 지역 사회에 대한 미술관 역할의 상당부분을 차 지하기 때문에 미술관의 교육적 기능과 미술관 경영은 서로 이질적인 듯 하 지만 점차 맞물려감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방법을 통한 연구는 ‘미술관’의 기능과 운영에 관한 기본적 이해에 서 크게 벗어나지는 못하겠지만, 미술관에 관한 사회․문화적 관점과 경제적 관점이 조화를 이루어 바람직한 우리 나라의 미술관 문화를 만들어 내는데 보탬이 되리라 기대한다.

(10)

Ⅱ. 미술관과 사회

1. 미술관의 사회적 기능

1) 미술관1) 기능의 변천

ICOM(국제박물관협회: International Council of Museum)에서 정의한 박물 관의 기능을 살펴보면 수집과 보존, 연구, 전시와 교육으로 정의되어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개념 정의는 매우 근대적인 것으로 박물관 정의에 충족 되는 박물관의 출현은 18세기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나타난다. 그러나 박물관 의 기원을 보다 오래 전인 선사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가 죽은 자의 무덤에 함께 묻었던 부장품과 싸움의 승리를 자축하는 전리품들을 모아두었던 장소 로부터 박물관의 기원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이집트인들과 메소포타미아인들은 이미 초기 형태의 <개인 콜렉션>을 소유 하고 있었으며 또 고대사회에서 <개인 콜렉션>을 파악할 수 있는 전형적인 1)

‘미술관’이란 용어는 ‘미술박물관’의 준말로서, 넓은 의미의 ‘박물관’에 포함된다. 박

물관은 영어의 ‘museum'을 번역한 것이고, 미술관은 영어의 ’art museum' 'fine art museum' 'art gallery' 등을 번역한 용어이다. 박물관과 미술관과의 역사가 오 래된 구미지역에서는 박물관과 미술관이란 용어를 혼용하기도 한다. 우리 나라의 경우는 ‘미술관’과 ‘박물관’이 구분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이는 정의의 표류, 용어의 혼동에서 비롯된 것이며, 이러한 오류는 박물관이라는 용어 자체가 이미 1871년부 터 서구의 미술관 형식을 모방하기 시작한 일본식 이념과 표기를 여과 없이 차용했 기 때문’이라고 심상용 교수(대중시대 미술관의 모색과 전망:<그림 없는 미술관>

2000, p.21~23)는 설명하고 있다. 박물관과 미술관이 이원화된 직접적인 발단은 창덕

궁미술관이 일제강점과 국권의 상실로 이왕가박물관으로 개칭되고, 이왕가미술관으

로 재차 개명되는 과정에서 시작되었다. 즉 ‘이왕가미술관’과 ‘총독부박물관’의 이원

적 체계가 ‘덕수궁미술관’과 ‘국립박물관’으로 계승되는 동안, 미술관과 박물관의 이

원화는 결코 의심할 수 없는 부동의 진실로 고착되었던 것이다. 이보아, 「박물관학

개론」(김영사, 2000), p.27.

(11)

장소는 기원전 11세기 무렵 바빌론의 군주 네부카드네차르(Nebuchadnezzar) 2세의 궁전에서 찾을 수 있다.2) 헤로도투스(Herodotus)의 기록에서는 그리스 인들이 델파이(Delphi)나 에페수스(Ephesus), 올림피아(Olympia) 등의 성소 (Santuaries)에 보물을 보관했다고 한다. ‘박물관(museum)’이란 용어는 고대 그리스의 뮤제이옹(museion)이라는 단어에서 유래가 된 것으로 뮤제이옹이란 문예, 미술, 철학의 여신 뮤즈(Muse)에게 경배하는 신전을 가리킨다. 또 기원 전 3세기경 이집트의 프톨레마이어(Ptolemaios) 왕조의 프톨레미 필라델푸스 (Ptolemy Philadelphus)왕이 알렉산드리아 궁전 한 곳에 각종 진귀한 귀중품 과 미술품 그리고 각종 서적을 종교적인 예식이나 정치적인 목적을 떠나 순 수한 학예 활동의 일환으로 수집하였다.3)

그 곳을 뮤제이옹이라 부르게 했으며 또 이곳에서는 뮤즈 여신에 대한 경 배 뿐 아니라 문예와 철학을 연구하는 장소이기도 하였다. 그러한 연구는 여 신에 대한 경배의 한 방법이라고 생각되었다. 이 곳은 4세기에 폐관되었는데 로마의 지배 아래서 유물들이 로마로 유입되고 건물은 훼손되었기 때문이었 다.4) 이러한 박물관의 기능을 고려할 때 박물관의 기능 중 가장 고전적 기능 이 수집과 보관임을 알 수 있다.

로마는 그리스를 정복한 후 그리스의 많은 유물들을 로마로 가져 왔다. 그 리스 신전으로부터 떼어온 전리품들은 곧 로마 귀족들의 개인 자택의 장식품 으로 전락하고 일부는 신전에 전시되어 일반인에게 부분적으로 공개된 예가 많다. 로마귀족들의 그리스 유물에 대한 수집열성은 극심하여 일부 정치가들 로부터 그러한 유행이 경고되기도 하였다. 미술품은 국가와 사회 공중의 것 이라는 미술품의 공익성을 내세워 미술품이 은닉되거나 독점되는 것을 막으

2) 최태만, 「미술관 설립 및 활동의 역사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0, p.7.

3) 이영두, 「뮤지엄의 변천과정과 현대적 기능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p.7.

4) 이난영, 「박물관입문」, 삼화출판사, 1972, p.41.

(12)

려 했던 정치가는 폼페이 장군(Pompeius Magnus)과 시저(Julius Caesar)였으 나 그들의 노력은 별다른 성과를 얻지 못하였다. 이때 로마인들은 그리스의 전성기의 완숙한 조각상들을 좋아했으며 많은 작품들이 주문에 의해 모작되 기도 하였다. 귀족들이 이처럼 미술품에 열을 올렸던 것은 미술품을 통해 자 신의 부와 교양을 과시하려 했기 때문이며 이들의 유물에 대한 이해는 수집 에 대한 열성만이 높았을 뿐 그다지 높이 살만한 것은 아니었다. 그보다 시 저에 의한 미술품에 대한 공익성이 강조되었다는 것이 의미가 있었을 뿐이라 하겠다.

중세에 이르러 미술품은 오히려 연구의 대상으로 자리할 수 있었는데 그것 은 교회가 그 수집처가 되었기 때문이다. 많은 수집품들은 교회에 진열되어 일반에게 공개되기도 하고 고대 그리스나 로마의 수집품들은 수도사들에 의 해 연구되어질 수 있었다. 종교적 기능을 가진 ‘교회의 보물’로서 미술품은 신의 찬미의 수단으로 변하였으며 성조물함(聖造物函)에 모셔졌다.5) 그러나 전 시대와 다르지 않게 부호나 귀족들에 의해서 많은 미술품들이 수집되어졌 으며 그 수집품들은 적게나마 예술가와 학자들에게 공개되어지기도 하였다.

중세 말 14세기경엔 십자군원정의 결과로 교통이 발달하고 이에 따라 무역 과 상공업이 부흥하였다. 당연히 도시가 번성하였으며 현세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이렇게 시작된 르네상스 시대는 미술품 수집의 새로운 전기를 마 련하였는데 중세시대와는 대조적으로 그들의 문화적 근원을 찾기 위해 고전 주의 예술에 대해 주목했고 고대 유물에 대해 보다 학문적인 접근에 열을 올 렸다. 이탈리아 도시국가에서 상업으로 성공한 신흥 대부르조아인 메디치家 는 자신의 부의 축적에 따른 교회의 은근한 압력과 민중들의 원성을 무마하

5) 교회․수도원 건축물의 장식품으로 사용된 미술품들은 대부분 기독교 의식을 위한

성물(조각), 재단화(회화), 이콘, 성경필사본 그리고 성경이야기를 나타내는 벽화들

이며 이들은 모두 교회와 수도원 건물 안에 설치되거나 장식된 것으로 특수한 보관

형태를 지니고 있었다.

(13)

기 위해 예술가들을 고용했으며 예술가들에게 의해 만들어진 작품은 교회에 헌납되었다.

메디치家는 15세기 전반기부터 2백여년 동안 5~6세대에 걸쳐 미술품의 주 문과 수집으로 당대의 최고의 후원자 역할을 하였는데 최초의 미술품전문 박 물관 즉 최초의 미술관인 우피치 미술관(Galleria degli Uffizi)6)를 세우기도 하였다. 그 동안 수집된 미술품은 이미 지어진 건물의 실내 장식역할을 하였 지만 우피치는 수집된 미술품을 진열하기 위해 지어진 최초의 미술관이다.

우피치 미술관을 짓게 한 코지모 1세(Duca Cosimo Ⅰ: 1519~1574)는 당시 피렌체 사회에서 공화정과 군주제의 번복 속에서 강력한 통치에 의해 군주제 를 자리 잡게 했던 인물로서 인문학적인 소양을 보여주던 메디치家의 선조들 과는 달리 학문과 예술을 노골적인 정치수단으로 삼은 통치자였다.7)

과거의 역사와 인식을 기점으로 새로운 시대의 문화를 형성하려 했던 르네 상스 인본주의자들의 고대 미술과 학문에 대한 탐구열은 지식인들 사이에 열 광적이었다. 미술품 수집은 거의 의무화되었는데 현재의 미술관 소장품의 많 은 부분은 이때 수집된 것이다. 이 시대에 프랑스의 루브르 박물관, 스페인의 프라도 미술관, 독일의 뮌헨 미술관 등이 미술관으로서 기틀을 마련하게 되 었다.8)

17~18세기의 프랑스는 중앙집권적인 절대왕정과 함께 중소 자본가 즉 중산 층이 성장한 시대였다. 궁정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미술품의 수집은 사회적인 기득권을 과시하는 성향을 가진 반면에 중산층의 수집은 자신들의 개인적인

6) 건물의 1층을 사무실(英/office․伊/uffizio)로 사용하고 2, 3층에는 수집한 작품들을 전시하고자 방들이 이어진 회랑(英/gallery․伊/galleria)으로 설계되었다. 이러한 이 유로 건물의 이름은 「우피치미술관」으로 부르게 되었다. 「우피치」란 집무실을 의미하며 이것으로부터 오늘날 화랑을 지칭하는 갤러리란 말이 탄생하였다.

7) 김은진, 「미술관의 사회교육적 기능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7, pp.24~25.

8) 정애리, 「박물관․미술관 교육 프로그램의 중요성에 관한 고찰」,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p.13.

(14)

취향이 반영된 애호가적인 성격을 지녔다.

산업혁명에 성공한 영국은 미술품 거래의 천국이었고 18세기말에 크리스티 나 소더비와 같은 미술품 경매화랑이 탄생하였다. 그러나 미술품의 수집이 유행처럼 성행하고 미술시장이 활기에 넘쳐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콜렉션은 사적소유의 차원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다. 대규모 콜렉션조차 폐 쇄적이었으며 역대 교황들에 의해 엄청난 양의 문화재와 예술작품이 수집되 어 있던 바티칸 미술관조차 일년에 단 하루만 초청을 받거나 입장이 허용된 소수의 학자, 예술가, 귀족에게 개방되었다.9)

프랑스에서는 프랑스 혁명 이후 혁명정부에 의해 혁명적 이념으로 설립한 루브르 박물관이 점차 시민에게 정기적으로 공개되기 시작하였다. ‘박물관은 시민에게 무엇인가, 시민에 대해 박물관은 무엇을 할 수 있는가’하는 문제가 논의되면서 박물관의 교육 기능이 부여되었다.10) 따라서 박물관이 단순한 보 물창고가 아니라 공공 교육기관으로서 자리잡게 되었으며 이것은 관람대상의 대중화와 대중교육 기능이 제시되었다는 점에서 근대적 박물관의 기원이라고 할 수 있다.

그 후 서구 사회에서 박물관 설립의 분위기가 고조되고, 그 결과 영국은 1845년 박물관법을 제정, 박물관은 하나의 공공기관이며 교육기관이라는 사 실을 강조하고 전국의 박물관이 공비로 건설 유지되도록 법적인 장치를 마련 하였다.11) 1852년 영국 런던에 세워진 빅토리아 알버트(Victoria and Albert) 박물관은 장식 미술품과 수공예품을 주로 수집하여 전시하는 박물관으로서 최초로 대중교육을 박물관의 건립 목적으로 내세웠다.12)

세계 1차대전 동안에 식민정책에 의하여 세계에서 모아온 진기한 전리품을

9) 김은진, 앞의 논문, pp.26~27.

10) 이은기, 「미술관의 성립과 후원자의 역할」, 현대미술관 연구 제6집, 1995, p.189.

11) 최태만, 앞의 논문, p.10.

12) 이희전, 「미술관 교육의 전문가와 프로그램 연구」,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1999, p.10.

(15)

전시한 박물관은 많은 시민들이 모이는 장소가 되었으며 그것은 국가의 정책 을 시민에게 알리고 동조를 구하는 문화를 통해 자국민의 정체성을 고취시키 는 정치적 장소의 역할을 하였다. 그것은 교육적인 장소로서 뿐 아니라 사회 정치적 교육장으로 이용된 것이다. 19세기 동안 유럽의 미술관은 수없이 세 워졌으며 이러한 경향은 미국으로 건너가 미국에서의 미술관 설립의 자극이 되었다.

미국의 경우 1773년에 미국 최초의 체어스톤 박물관(Chareston Museum)이 개관한 이후 1846년에는 국립 스미스소니언 박물관이(Smithsonian Museum) 이 설립되었고 1870년에는 뉴욕의 메트로폴리탄 미술관(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이 개관하였다.

세계대전 이후 미국의 미술관 설립이 급속히 증가하여 현재 전세계 미술관 의 약 30%가 미국에 집중되는 결과를 낳았다. 미국에 이렇게 많은 미술관이 설립될 수 있었던 것은 경제성장이 가장 큰 요인이었겠지만 많은 유럽의 예 술가들이 전쟁을 피해 미국으로 몰려들었고, 경제적인 팽창뿐만 아니라 새로 운 실험미술에 대해 개방경향을 갖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또한 전통이 없는 신대륙에서 새로운 전통을 수립하려는 야심이 문화정책적 차원에서 미술관의 설립을 지원, 보호, 육성하였다. 이러한 미국의 미술관 설립은 유럽의 교황이 나 군주가 문화예술의 후원자였던 거와는 다르게 주정부 등 지방자치단체의 보조금이나 산업화에 성공한 신흥재벌들의 기부금으로 세워졌는데 특히 국가 는 세제혜택 등의 방법으로 기업가의 미술 후원을 도왔다. 또 재벌들은 재벌 들대로 투자가치가 있는 미술품을 사들이면서 공익을 위한 사회환원 차원으 로 선전하여 기업의 이미지를 좋게 할 수 있었다는 일거양득의 소득을 얻을 수 있었다.13)

현재 세계적으로 유수한 미술관으로 알려진 뉴욕 현대 미술관(Museum of

13) 김은진, 앞의 논문, p.29.

(16)

Modern Art, 1929)이 록펠러 등의 기업가의 후원에 힘입어 개관하였으며, 미 국 미술을 진흥하기 위해 당시 현대미술의 후견인이자 수장가였던 휘트니 여 사가 휘트니 미술관(Whitney Museum of American Art, 1931)을 설립하였고 뒤이어 구겐하임 미술관(Solomon R. Guggenheim Museum, 1937)과 재무장 관을 지냈던 앤드류 맬런이 자신의 소장품을 미술관 설립기금과 함께 기증함 으로써 워싱턴에 국립 미술관(National Gallery of Art, Washington D.C, 1941)이 이 시기에 세워졌던 것이다.14)

이러한 미술관들은 설립 초기부터 일반대중에게 봉사한다는 설립취지를 명 시화함으로써 소장품의 증가와 대중적인 접근성이 동시에 균형 있게 발전하 였다.

14) 최태만, 「현대사회와 미술관의 사회적 기능」, 현대미술관 연구 제4집, 1993.

http://www.moca.go.kr/kor/publication/study04/study04-04a.html

(17)

2) 미술관의 현대적 기능

미술관의 현대적 기능은 최소한 두 가지 측면에서 검토될 수 있다. 첫째는 미술관이 하나의 사회 속에서 획득하게 되는 사회적 기능으로서의 공공성의 문제이고, 다른 하나는 예술 작품과의 관련 속에서 찾을 수 있는 미학적 기 능과 역할의 문제이다.

미술관의 사회적 기능은, 그 변천과정과 목적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미술 관이 보다 적극적인 입장에서 대중을 위해 계몽하고 봉사하며, 결국 이것은 사회적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잠재력의 기초라는 인식에 바탕을 두고 있다.

따라서 현대의 미술관은 사회와의 유기적 관계 속에서 자주적 교육 활동의 보급, 촉진을 도모하는 교육 기관으로서의 위치를 확보하고 국가나 지역단위 의 사회, 문화, 예술 및 시민의 생활을 기초로 한다는 점에서 문화적 상징성 과 고유성을 부여받게 되었으며 일반 대중에게 지식과 정보를 전하는 정보제 공과 학습기관으로 인식되어야 한다.

미학적 기능으로서 미술관은 미술관의 본질적 기능인 자료의 수집과 평가, 그리고 그에 따른 대중과의 관계에 기초한다. 즉 하나의 물건에 대한 미술관 의 미학적 평가와 취급방식은 미술관의 성격과 수준을 가름하는 기준이 될 뿐만 아니라, 하나의 미술관의 예술작품이 갖게 되는 미학적 기능의 범위를 밝히는 것이 될 것이다. 미술관은 본질적으로 미적인 가치를 지닌 물건들을 수집, 보존하고 전시, 교육, 연구하며, 이러한 활동은 결국 하나의 물건에 대 한 미적 해석과 평가를 위한 관점의 논리적 확정이라는 점에서 실제적인 사 물들(tangible things)의 의미를 평가하는 업무에 종사하는 기관이라 하겠다.

미술관은 예술작품을 경험할 수 있는 적절한 환경을 제공한다. 이것은 관람 객으로 하여금 인간이 형성해 놓은 시각적 가치를 경험할 수 있는 계기를 마 련해 주고, 이를 지속적으로 재평가하고 비교하여 판단할 수 있는 기회를 제

(18)

시함으로 관람객이 미적인 것을 감상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 도구로서 역 할을 한다.

이와 같은 의미로 보면, 결국 미술관은 관람객과 미술품 사이에 직접적인 관계를 형성시켜 줌으로써, 관람자에게 미적 체험은 물론 과거와 현재에 대 한 설명 등을 통하여 교육적이며 감동적인 즐거움을 제공하는 곳이라는 해석 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해석으로 볼 때, 현대에 있어서 미술관의 특징은 전 시․교육의 비중이 높아진 것을 알 수 있다.15)

결국, 미술관은 우리 시대의 시민교육의 역할을 맡은 내재적 기능을 가지 며, 이와 함께 미술관이 시민의 일상성으로서 커뮤니티 의식의 기초가 되는 역할을 지향하여야 할 것이다.

15) 김은진, 앞의 논문, pp.30~32.

(19)

3) 미래의 미술관 형태

현대에 많은 미술관들은 저마다의 교육방침을 가지고 특색 있는 교육 프로 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그 성과여부에는 차이가 있을지언정 미술관의 가장 비중 있는 소명을 일반 대중에 대한 사회 교육적 서비스에 두고 있다. 하지 만 대중의 흥미를 유발시키려고 노력하는 미술관에 대한 일반 관람객의 관심 은 그다지 크지 않다. 이러한 대중의 무관심을 극복하기 위해 미술관은 많은 기획전과 프로그램을 통해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다. 이처럼 미술관이 대중을 위한 서비스 기관으로 그 역할을 다하기 위해서는 보다 적극적인 자기 변화 를 거쳐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문제에 대한 대안으로 다니엘 지로디 (Daniele Giraudy)와 앙리 뷔이에(Henry Bouilhet)는 「미술관/박물관이란 무 엇인가(LE MUSSE ET LA VIE)」라는 책에서 새로운 미술관의 형태로 ‘정원 미술관’, ‘지역공동체 미술관’, ‘생태 박물관’으로 제시하고 있다.16)

지로디와 뷔이에는 보다 발전된 형태의 미술관으로 ‘개방된 미술관’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데, 우리가 알고 있는 전통적인 미술관 즉 미술관이 있고 미 술품이 있으며 미술품을 수동적으로 관람하는 관람객이 있는 미술관을 ‘폐쇄 적 미술관’이라 칭하고 그와 구별되어 미술관이라는 중압적인 건물이 없는 자연과 생태계를 향해 열려져 있는 새로운 방식의 미술관을 소개한다.

‘개방된 미술관’의 첫 번째로 ‘정원 미술관’은 자연과 건물이 서로 의존하는 산책로의 형태를 취하고 있는 곳으로, 코트 디뒤르 연안의 생 폴 드 뱅스에 있는 매그 재단의 미술관이나 바르셀로나 미로 미술관(1975년, 건축가 J.L. 세 르 설계), 덴마크의 루이지아나 미술관, 조각품들의 정원이 있는 예루살렘의 이스라엘 미술관들을 ‘정원 미술관’으로 꼽았다. 또한 나제르의 니아메 야외 미술관은 아프리카 최초의 전시장으로서 자연 속에서의 대화와 만남의 장소

16) 김은진, 앞의 논문, pp.33~37.

(20)

이며, 동물원, 민속학적 전시나 문맹퇴치를 위한 교육 센터와 직업훈련학교가 인접해 있다고 소개한다.

또한 ‘개방된 미술관’의 다른 형태로 ‘지역공동체 미술관’과 ‘생태 박물관’을 설명했는데 ‘지역공동체 미술관’은 미국에서 근래에 많은 수로 설립되고 있다 고 한다. ‘지역공동체 미술관’의 전시 공간은 전문가들 외에 이 지역 주민들 인 어린이, 학생, 노동자, 가족, 소수 그룹, 갤러리 애호가와 전문가들이 함께 참가하여 완성된다. 필요한 전시품과 자료를 수집하여 그룹에 의해 선정된 주제는 함께 연구되어지고 발표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이러한 미술관으로 1974년에 설립된 멕시코 카사 델 뮤제오(Casa del Museo)를 소개한다. 이 미 술관은 주위의 일반 주택과 거의 같은 재질로 건축되어졌으며 미술관 내 초 등학교 교실로 사용되기도 하는 몇 개의 작은 방을 가지고 있다. 또한 전시 공간은 주로 그 부근에 거주하는 주민들을 위한 장소이며 상설전시를 위한 소장 미술품을 가지고 있지 않지만 미술관의 지위를 가지고 있으며 때로는 입체적인 진열을 위한 전시기법이 쓰인다. 또한 미술관으로서의 전문성을 띠 고 있지는 않으나 오히려 교육적이고 사회적인 목적을 위해, 다양한 사회단 체와 관련분야 전문가들이 협력하여 선택되어진 역사, 과학, 예술, 사회문제 등 다양한 주제에 관한 필요한 기획 전시를 할 수 있다. 이 주제는 지역 사 회의 사회문제를 다룰 수도 있는데 워싱턴 교외에 사용하지 않는 극장을 개 조하여 만든 아나코스티아 미술관의 경우, ‘쥐’를 주제로 전시회를 개최하였 다. 그 이유는 이 고장에 사람보다 쥐가 더 많아 어린이들을 공격하는 등 지 역의 큰 문제 거리였기 때문이다.17)

‘지역공동체 미술관’에서는 전통적인 미술관과는 대조적으로 이러한 활동들 은 항상 변화하며 어떤 것도 항구적일 수 없다는 것이다. 다만 일반 대중의

17) 다니엘 지로디․앙리 뷔이에/ 김혜경 譯, 「미술관/박물관이란 무엇인가」, 화산문

화사, 1996, p.41.

(21)

참여활동을 통해 자신들의 긴장과 갈등, 고장의 민속관습 지역의 역사들을 표현해 낼 수 있으며 이것은 전시장을 통해 이루어지게 된다. 이렇게 구성된 전시물들이 전시를 준비하는 당사자와 그것을 보고 즐기는 관람객 사이에 소 통을 이루어지게 하는데 그것을 위해서는 보다 세심한 전시기법이 필요하다 고 설명하였다.

‘생태 박물관(ECO MUSEE)’이란 명칭을 처음 사용한 사람은 위그 드 바랭 과 조르주 앙리 지리에르이다. 이것은 생태 및 환경에 관련되는 주민 당사자 들이 도시지역이나 시골의 생태 및 환경을 박물관이라는 이름으로 묶어서 만 들어진 20세기 야외 미술관의 발전 형태라 할 수 있다.

지로디와 뷔이에는 생태 박물관을 그 지역 주민의 환경에 대한 이해를 높 여주기 위해 그들 자신의 생활을 비추어 보는 거울이라고 비유하였다. 또한 생태 박물관은 인간과 자연의 박물관이며 여기서 인간은 자연 속에서 해석되 고 전통적인 사회이건 공업화된 사회에서건 인간은 자신들의 편의를 위해 자 연에 적응하였지만 이곳에서 인간은 자연의 한 부분으로 수용되어 있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는 것이다. 즉 생태 박물관은 의사결정 장소는 아니지만 미래 로 향한 새로운 정보전달과 현대에 대한 비판적 분석이 기능을 한다고 말한 다. 생태 박물관의 전형으로 크뢰소 몽소 레민의 생태 박물관을 소개하였는 데 이곳은 18개의 커뮤니티로 구성되어 띄엄띄엄 있는 미술관으로 어느 한 곳에 집중되지 않는 네트워크를 만들어 지역사회의 역사 또는 지역주민의 관 심사와 연결시켜놓고 있다. 일하는 사람들 자신을 위한 살아 있는 미술관으 로서 작업의 모든 과정, 모든 상황을 보여 줄 수 있으며 이 곳에서는 크레인 과 기관차의 모습을 볼 수 있는 아뜰리에나 풍경을 통해서 주민들의 과거와 현재를 함께 생생하게 볼 수 있다.

지로디와 뷔이에는 이러한 일련의 미술관의 발달 과정 속에서 미술관은 이 제 더 이상 ‘보여주기 위한’ 수집품을 수집․연구하는 곳이라기보다는 일반대

(22)

중이 활동에 참가하는 미술관은 그들의 자기 표현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촉 구시켜야 할 것이라고 쓰면서 미술관과 일반대중 사이를 연결하는 사명을 가 진 미술관 관리자는, 관람객이 전시물을 바라보고 이를 이해하며 이를 통해 자신을 뒤돌아 볼 수 있게 도와주어야 한다고 역설하면서 아래와 같이 자신 들의 소신을 밝혔다.

“몇 세기에 걸쳐 미술관은 한 개인에 의해 수집된 미술품들이 대중에게 공개됨으 로 빛나게 되었으며, 소중히 보관되어 온 수집품을 수장하기 위한 창고로서의 역할 을 해왔다. 그러나 이제는 과거와 같은 유물창고의 역할을 그만두고 대중에게 봉사 하기 위한 미술관 학교 또는 연구소로서의 역할을 하게 되었으며, 한 걸음 더 나아 가 그 소재 지역을 재인식시키고 표현하는 미술관으로 변천하여 왔다.”

18)

이 글에서 지로디와 뷔이에의 보다 발달된 미래의 미술관에 대한 신념은, 미술관은 지역사회 재인식과 그 사회의 표현 장소가 되어야 함이 당연하다는 생각으로 정리되고 있다. 미술관은 많은 세월 미술의 참다운 즐거움에서 멀 어져 있었다. 아마도 최초의 인간이 아름다운 물건을 자신의 거주지에 모아 두었던 진짜 이유는 소유욕 이전에 아름다움을 보고 마음의 위안을 얻을 줄 알았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아름다운 표현이란 조화와 균형 이전에 가식 없 고 순수한 마음의 표현으로 소탈하고 진솔함이 거침없이 표현되었을 때 인간 은 그것을 통해 자신의 마음을 치유 받는다.

지로디와 뷔이에가 소개한 ‘개방된 미술관’을 이러한 면에서 미술관이 표현 의 장소로서 설명하고 있는 것이다. 지역주민들의 표현과 공감대를 통한 소 통은 참다운 미술활동의 즐거움을 생산해 낼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이렇게 생산되는 즐거움의 경험은 분명 현대사회의 대중문화의 소비자로 전락된 일

18) 앞의 책, p.44.

(23)

반인들에게 올바른 유희를 배우고 사회를 정화시킬 수 있는 역할을 할 수 있 으리라 기대된다.

(24)

2. 미술관과 사회와의 관계

1) 미술관의 사회적 동기

미술관에 관하여 처음으로 생각해 보아야 하는 일은 사회적 동기이다. 미술 관이 설립되고 운영되는 것의 기본 원칙은 사회에서의 미술관의 역할과 그 기능이고, 이로 인해 국가 지원의 정당성이 성립되기 때문이다. 즉, 예술행정 의 대상으로서 미술관이 수행해야 할 역할을 명시하는 것이 미술관과 사회와 의 관계를 분명히 하는 논거가 될 것이다.

먼저 미술관은 사회적으로 존재의 당위성을 획득하기 위해, 그리고 지역주 민의 정서적․예술적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 나름대로의 독자적인 이념을 갖고 분명한 방향을 설정해야 한다는 것을 기본적인 전제로 하여 출발하고자 한다. 따라서 이 장에서는 미술관이 사회를 위해 담당해야 할 여러 가지 역 할, 지역 문화의 형성, 지역 경제의 활성화, 지역 주민에 대한 교육적 기관 등의 기능을 찾아볼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미술관 운영에 있어 기본적 이념이 되어야 할 공공적 역할을 언급 하기 위해 예술행정의 개념부터 살펴보고자 한다. 넓은 의미에서 미술관 행 정을 포함하는 예술행정의 목표나 역할을 분명히 하는 것은 공공기관으로서 미술관 운영의 방향과 미술관이 담당하게 되는 사회적 역할을 명시하는 것이 되기 때문이다. 문화예술행정의 기본 목표는 무엇보다도 사회 구성원들이 물 질만능의 왜곡된 삶의 목표를 순화하고, 문화 예술 활동을 통해서 국민 정서 의 함양과 정신적으로 풍요로운 삶을 통한 문화 민주주의를 실현하는 것이 다. 이와 같은 문화예술행정의 목적을 부연하면 국민 의식의 함양, 불특정 대 다수의 국민 정서 욕구 충족, 예술 발전, 가치관․태도의 변화 등을 들 수 있

(25)

다.

문화예술행정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능에는 다음의 표에 나타나는 대 로 크게 4가지의 역할이 있다.19) 먼저 문화유산의 보존과 보급, 국민의 문화 향수 기회의 확대, 문화 예술인의 창작 활동 증진, 가치관과 태도의 변화를 위한 전파와 교육을 들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문화예술행정의 목적과 기능을 주체, 평등, 창의, 효용이라는 이념을 대상으로 체계화하면 다음의 표와 같 다.(표-1) 여기서 예술 창작의 장소로서 미술관은, 이를 모든 국민이 향수 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국민에게 교육적 기능을 담당한다는 장소로서의 역할이 분명해진다.

표-1) 문화예술 행정의 체계

이는 한 걸음 더 나아가서 미술관이 공공적 지원을 요구하게 되는 이유가 된다. 예술경영학자인 존 케인스(John Maynard Keynes)는 다음과 같이 예술 에 대한 공적 지원의 당위성을 주장하고 있다. 예술이나 문화는 문명 그 자 체이자 인간 사회의 목적이고 경제는 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수단이다. 하 지만 경제가 발전한다고 해서 문화 예술에 대한 유효수요가 늘어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예술에 대한 공적인 지원이 필요하고 그 역할을 정부가 담당 해야 한다는 것이다.

19) 박응격, 「국민정서 함양과 풍요로운 삶을 통한 문화민주주의 실현을 목표로」, 문 화예술, 1997/8, p.21.

이 념 목 적 영 역

주 체 국민의식 함양 문화유산 보존

평 등 모두를 위한 문화예술 문화향수 기회 확대

창 의 문화․예술 발전 창작지원

효 용 가치관․태도 변화 유도 교육 및 학습

(26)

예술에 대한 지원은 국가가 담당해야 함이 분명해지고, 이에 대한 타당성은 다음의 세 가지를 들 수 있다.20) 첫째, 예술의 공공재적 성격이다. 구입해서 독점하는 사유재와는 달리 공공재는 모든 소비자에게 같은 대가를 지불할 필 요성을 느끼지 못한다. 그것은 대가를 지불한 사람이나 그렇지 않은 사람이 모두 그 재화를 공유하기 때문이다. 예술에서 그런 대표적인 경우를 꼽으라 면 공원의 조형물을 들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공연이나 전시회의 경우 한 사 람의 소비가 다른 사람의 소비량이나 소비 기회에 영향을 주지 않음을 강조 하기도 한다. 이와는 약간의 차이가 있으나 미국의 예술경영학자인 윌리엄 J.

보몰과 윌리엄 G. 보웬은 예술이 공공재로서의 성격과 사유재로서의 성격을 함께 지닌 혼합재라는 견해를 보이고 있다. 그들에 따르면 혼합재인 교육은 그것을 누리는 개인에게는 물론 직접 수혜자가 아닌 사회에도 좋은 영향을 끼치게 되는데, 예술이 바로 그렇다는 것이다.

둘째, 외부 효과를 들 수 있다. 예술 장르는 상호의존적이기 때문에 어느 한 장르에 대한 지원이나 소비가 다른 장르에도 영향을 미친다. 그리고 예술 에는 실험성이 있기 때문에 실패의 확률이 크지만 그것을 통해 많은 경험을 축적할 수 있으며, 성공했을 경우에는 경제적인 기준으로는 따질 수 없는 새 로운 가치를 창출하게 된다. 게다가 예술(작품)을 잘 보존했을 경우에는 후손 들에게까지 그 혜택이 돌아가게 된다.

셋째, 형평성의 문제이다. 시장을 통해 고급 예술을 공급할 경우 가격이 높 아져 저소득층은 그것을 향유할 수 있는 기회를 잃는다. 그리고 예술적 생산 물은 특정 지역에 집중되어 있어 다른 지역에는 공급의 기회가 적다는 것이 다.

지금까지 문화예술 행정의 요소와 이에 대한 국가 지원의 필요성을 설명하 였다. 아울러 미술관의 역할 즉, 창작과 향수, 교육을 통한 전달을 미술관이

20) 홍승찬, 「예술경영 입문」, 민음사, 1995, pp.33~34.

(27)

담당해야 함을 알 수 있다. 이는 다음 장에서 미술관이 사회와의 관계, 특히 지역사회와의 관계에서 담당해야 할 역할과 교육적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연 결된다.

(28)

2) 지역문화의 육성

점차 많은 국민들이 의․식․주와 같은 1차적 욕구에서 여가선용이나 문화 적인 삶과 같은 2차적인 욕구를 희구하고 있다. 이제 지방자치제 실시로 새 로운 전기를 맞이한 우리 나라의 지방화시대에 있어 무엇보다도 긴급한 것이 지방 문화의 진흥이다. 지금과 같이 지방 문화가 서울 문화의 일방적인 영향 을 받는다면 서울과는 다를 수밖에 없는 지방의 여건상 지방 주민의 절실한 염원을 성취하지 못한다. 이제 서울과 지방간의 경제적, 문화적 격차를 극복 하고 새로운 지방문화를 조성하는 것이 시급하다. 지방의 생명력은 가장 구 체적인 삶의 터전에 바탕한 문화적 정체성에서 우러나오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화적 정체성은 바로 지역경제와도 연결되는데, 지역이 균형 있게 발전하기 위해서는 지역 주민들의 자기 고장에 대한 애정과 발전 의지가 전제되어야 하며, 문화적 자긍심이 그 원동력이 된다.

지방 문화가 활성화되면 지역 주민들 사이에 서로 존중하는 분위기가 조성 돼 문화는 물론 사회, 정치 전반에 걸친 민주적 분위기가 성숙되고, 지방 문 화의 다양한 개성이 발전하고 공존함으로써 국가 문화 성장에도 도움이 되 며, 지역 내․외간의 갈등을 해소하고 공동체 의식을 증진시키는 등의 기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렇다면 문화적인 도시는 어떠한 형태를 갖는가? 도시의 문화적 기준은 크게 3가지가 있다.21) 첫째는 그 도시가 자랑하는 문화활동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각종 공연․전시․행사․축제, 더 넓게는 관광활동 등이 있어야 하며 이는 다른 지역과는 확실히 구별되는 문화적 독자성을 갖고 있어야 한다. 두 번째는 도시가 갖고 있는 물리적 장치이다. 이는 문화활동을 자연스럽게 불 러들이고 활발하게 진행하게 하는 기반이기 때문이다. 이중에서 가장 중요한

21) 유병림, 「문화도시를 조성하자, 문화도시 문화복지」, 문화체육부, 1997, p.12~13.

(29)

대상은 경관으로 자연과 건축물이 어울려 독특한 개성을 갖추어야 한다는 점 이고, 또한 문화시설이 포함된다. 문화시설은 시설물 자체가 문화․예술적으 로 수준이 높고, 그 안에서 일어나는 문화예술활동이 돋보여야 한다. 마지막 으로는 제도적 뒷받침이다. 문화활동과 물리적 장치에 대한 홍보․안내․설 명․행사기획․민간서비스 수준제고, 문화시설의 유지․관리 등이 그 도시의 문화적 수준을 가늠하는 척도가 된다.

이러한 지방 문화가 꽃피울 수 있는 여러 조건 중에 특히 지방 문화 공간 을 주목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지방 문화 공간으로는 지역 주민의 독서와 정 보․지적 활동을 돕기 위한 도서관, 향토의 뿌리와 조상의 역사를 체득하고 존중하게 하기 위한 박물관 또는 향토 역사 자료관, 문화 예술의 감상 전시 를 돕기 위한 예술회관이 마련되어 있어야 한다. 그밖에 체육활동을 돕는 체 육관, 각종 모임의 편익을 위한 마을회관 등이 기본적으로 갖추어져야 할 요 소이다.22)

이러한 지역사회의 문화적 기반은 개인의 개성확립에 기여하며 사회의 전 통과 정체성을 형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 타지역과의 문화적 의사 소통 창구로서 지역인의 삶의 의식과 시선을 확대시켜 준다.

우리 나라에서도 지역문화 육성을 위한 문화 기반시설의 설립이 점점 늘어 가고 있는 추세이다. 예로 전국에서 유일하게 박물관이 없었던 강원도에 국 내 열한번째의 지방국립박물관인 국립춘천박물관이 얼마 전에 문을 열었고, 또 경기도에서는 백남준미술관 건립을 유치하였다.

22) 장미진, 「극장의 사회적 기능과 그 운영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1997, pp.32~33.

(30)

3) 미술관의 경제적 역할

예술 공간이 국민에게 주는 문화적 정체성 외에 경제적 효과를 들 수 있 다. 박물관은 지역 경제를 회생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예를 들어 제조업이 중심이던 도시나 혹은 산업 기반이 무너진 도시에서 박물관은 관광 사업의 컨텐츠로서 새로운 경제적 대안이 될 수 있다. 박물관 사업을 활발하 게 추진하기 위해서는 박물관 자료에 대한 강연회, 강습회, 영사회, 간행물 배포, 정보 제공을 통해서 박물관의 특별 수입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박물관 내의 뮤지엄 숍, 레스토랑, 주차장, 인접한 호텔과 상가는 관광객들의 욕구를 충족시킴으로써 그들의 소비 성향을 가속화시킬 수 있다. 또한 박물관 소장 품에 대한 상품화나 캐릭터화는 박물관의 재정 확보에 크게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상당한 원동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 박물관 주 변이 하나의 문화 단지로 형성되고 관광사업과 연결된다면, 결과적으로 직업 의 창출과 고용이 증대되어 지역 경제를 활성화시키는 데에도 기여하게 될 것이다.

박물관 운영에 관련된 기술과 훈련을 제공하고, 고용 창출 등 지역사회 내 에서 박물관의 경제적 역할을 설명하면 박물관에 대한 투자를 유치하는 데에 도 도움이 될 것이다. 문화․정보․지식이 사회를 주도해 가는 21세기에 전 통의 전승 및 학습, 문화 관광 및 문화 상품 판매는 지역 문화의 다양성을 이해시키는 복합 문화 공간으로서 박물관의 또 다른 역할이 될 것이다.23)

23) 이보아, 앞의 책, p.35~36.

(31)

3. 미술관의 교육적 기능

앞장에서는 미술관이 사회로부터 지원을 받고 사회에 일정 정도의 역할을 담당한다는 의미에서 미술관과 지역사회와의 문화적․경제적 관계를 설명하 였다. 이장에서는 여기서 한 걸음 나아가 이를 위한 미술관의 교육적 역할을 언급하고자 한다.

1) 미술관 교육의 중요성

미술관이 교육적이며, 문화적인 프로그램을 후원해서 지역사회에 일정 정도 역할을 하여야 하는 중요한 까닭은 첫째로는 예술인을 양성한다는 것과 다음 으로는 새로운 관객들, 특히 젊은 세대의 관객을 개발하려는 것으로, 그들에 의해 미래의 문화 예술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이는 청소년, 어린이들을 대 상으로 한 교육을 통해 국민의 문화 향수 능력을 높인다는 문화 행정의 중요 한 핵심을 이루기도 하며 미술관 경영 측면에서의 관람객개발을 위한 필수적 인 전제가 되기도 한다. 다시 말해 미술관은 예술 창조자가 예술 향수자와 만나는 장소임과 동시에, 미술 교육과 훈련이 이루어지는 교육 기관이 되기 도 한다.

예술 경영의 측면에서도 ‘예술 교육’의 기능은 간과할 수 없다. 여가나 소 득의 증가는 레져서비스 전체의 수요를 증가시키지만, 이것이 어느 정도 예 술 수요의 증가로 이어질지는 확실하지 않고, 무엇보다도 예술에는 ‘감상 기 술’이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예술에 대한 교육 수준을 높이는 것은 바로 직접적으로 소비자가 얻는 예술의 정보량이나 접하는 기회를 늘린다는 결론이 나온다. 물론 감상 기술을 습득할 기회는 학교교육에만 있는 것은 아

(32)

니며, 문화 예술 공간이 자체적으로 자신의 향수자와 소비자를 개척해 나가 는 것도 사회적으로, 경제적으로 큰 효과를 얻어낼 수 있다.24)

미국에서는 감상자의 층을 넓히고,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사회단체와 국가의 막대한 예산이 젊은 세대를 위한 교육적이며 문화적인 프로그램을 지 원하는데 쓰여지고 있다. 이에 대한 뒷받침으로 사회학자 허버트 간즈 (Herbert Gans)는 ‘문화대중주의(Cultural Populism)'를 주장하면서 ’미국 사 회는 모든 사람이 고급 기호문화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도록 모든 사람에 게 교육과 여타의 기회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정책을 추구해야 한다.‘고 강조 한다. 즉 교육적 프로그램의 역할은 관객을 개발하는 것 뿐 아니라, 모든 국 민의 문화향수의 기회를 넓히는 것 즉, 문화복지의 정책을 완수하는 것이기 도 하다.

24) 장미진, 앞의 논문, pp.41~42.

(33)

2) 관람객을 위한 수용문화

미술관의 사회 교육적 대상은 매우 다양한 층을 이루고 있다. 미술관 관람 객은 미술관에 흥미를 가진 사람이나 여행자, 미술 애화가, 단체 관람객, 사 회․문화․교육 분야의 전문가, 학생, 노인, 장애자 등 여러 부류의 개인으로 구성된다. 미술관에는 방문한 적이 없으나 언젠가는 방문하게 될 잠재적 관 람객들도 미술관의 교육대상이 된다.

이 잠재적 관람객에 대한 연구는 미술관을 찾는 관람객과 한번도 미술관을 이용하지 않은 사람들과의 차이점에 대해서는 1965년 토론토에서 개최된 국 제박물관협회(ICOM)에 참가한 캐나다 위원회에 의해 조사된 적이 있다. 이 조사는 미술관에 가본 일이 없는 사람들의 취미와 미술에 대한 생각을 대상 으로 한 최초의 연구였다. 우선 미술관에 방문한 적이 없는 사람들의 표본을 과학적으로 연령과 사회적 지위를 고려하여 뽑고 그들에게 근대미술품의 사 진으로 된 220매의 그림엽서에 서열을 정하게 하였다. 이러한 실험은 아홉번 에 걸쳐 반복하여 시행한 결과 르느와르(Pierre-Auguste Renoir)의 <작은 집>

이 가장 높은 우선 순위에 올랐으며 폴 클레(Paul Klee)의 작품이 가장 하위 로 나타났다. 캐나다에서 실시된 이 실험은 그 나라에서 잘 알려진 르느와르 의 <작은 집> 또는 밀레(Millet)의 <만종>이 가장 인기가 높았는데 실험 대 상의 사회적․문화적 수준, 연령, 성별의 다양성에도 불구하고 유명한 작품에 대한 높은 선호도에 비해 잘 알려지지 않은 작품은 의견이 분산되거나 무시 된 것을 알 수 있었다.25)

또 프랑스의 피에르 부르디외(Pierre Bourdieu)와 알랭 다벨(A. Darbell)26) 이 120개 미술관에 관한 통계자료로 책을 썼는데 이 책에 의하면 미술관을

25) 다니엘 지로디․앙리 뷔이에/ 김혜경 譯, 앞의 책, p.89.

26) 재인용, 김은진, 앞의 논문, p.42.

(34)

자주 방문하는 사람들에게는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요인이 있다고 한다. 첫째 요인인 ‘직업과 사회적 지위’인데 근로자 계층에서는 1년에 1회 미술관을 방 문하는 사람이 100명 중 1명인데 비해 고등학교 이상의 학력을 가진 상류계 층은 77.6명에 달하고 있다. 둘째 요인은 ‘연령’으로 미술관에 가장 많이 찾아 오는 부류는 학생이며 1년에 1회 방문하는 25세 미만의 사람들이 100명 중 25.8명인데 비해서 65세 이상인 사람은 3.3명만이 미술관을 1년에 1회 방문한 다는 것이다. 셋째 요인은 ‘수입’인데 수입은 여가를 만들고 문화적 관람과 여행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요즘에는 관람객들이 휴식을 위해 미술관을 찾 고 있는 추세이다. 마지막 요인은 ‘성별’로서 대졸 이상의 여성은 남성의 2배 이상이 미술관을 찾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의 미술관의 미술 전문가들은 이러한 문화적 불균형을 해소시키기 위 해 다각적인 노력을 아끼지 않고 있다. 이러한 노력은 미술관에서 이루어지 는 갖가지 미술행사와 특별전시 그리고 무엇보다 미술에 문외한인 사람들의 미술품과의 거리를 좁히기 위한 교육활동들이 그들에 의해 개발되고 발전되 어가고 있다.

미술관을 찾는 관람객들에게 미술관이 제공할 수 있는 것은 미술작품과 이 를 잘 관람할 수 있는 적절한 환경조성, 또 이에 따라 여러 가지 형식의 정 보제공이 필요하다. 미술관은 여러 성격의 전시회, 가령 소장품이 전시된 상 설 전시실에서는 해당 미술관의 중추적인 성격을 파악할 수 있는 정보를 제 공해야 하고, 그 외에 특별전의 형식으로 이루어지는 전시에서는 해당 전시 회의 특수성격과 함께 그 내용물인 작품에 대한 보조설명이 구비된 여러 가 지 형태의 정보가 제공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미술관에서 이루어지는 전시 회에서 작품을 감상하고 이해하는 과정 자체가 궁극적으로 그 전시회의 기획 단계에서부터 학습적인 교육 목적으로 조직된 경우가 아니더라도 관람자의 자기학습적인 측면을 동반하게 된다. 그러므로 일반적으로 미술관은 전시회

(35)

가 개최되고 있다는 것만으로도 그와 같은 자기학습적 측면을 관람객에게 제 공하고 관람객들은 그러한 이유로 미술관을 찾게 되는 것이다.27)

27) 앞의 논문, p.43.

(36)

3) 미술관 교육의 유형

․실시 형식에 따른 유형

미술관 교육을 뜻하는 용어로는 ‘교육(Education)', '교육 서비스 (Educational Service)', '특별 행사(Special Event), '문화 사업’이나 ‘교육 보급 활동’ 등으로서 각 명칭마다 실시하는 내용이 다르며 미술관의 역사, 성격, 발전 방향과도 연관이 있다.

‘교육(Education)'이라는 용어를 사용할 때는 이론강의와 함께 실기교육도 병행하고 있는 경우로, 대부분 연령층에 따라 교육 프로그램이 세분화되어 있다. 특히 학교 교육과의 연계성이 강조되어 연차적으로 학교의 미술교육을 대신할 수 있는 정규 미술교육 기관으로 발전하고 있는데 뉴욕의 현대 미술 관(Museum of Modern Art)과 클리블랜드 미술관(Cleveland Museum of Art), 휘트니 미술관(Whitney Museum of American Art) 등이 이러한 교육 이념을 가지고 있다.

‘교육 서비스(Educational Service)’로 보는 것은 교육을 ‘행사’로 보는 관점 과 ‘교육’으로 파악하고 있는 관점의 중간 입장이다. 실기를 포함한 프로그램 도 있지만 시교육위원회나 학교와 협의하여 운영하지는 않는다. 또한 공식적 인 교육기관으로 발전시키기보다는 대부분 관람자들에게 미술관을 소개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다. 이러한 미술관으로는 워싱턴의 내쇼날 갤러리 (National Gallery of Art, Washington D.C)와 휴스턴의 미술관(Museum of Fine Art, Houston), 보스턴의 미술관(Museum of Fine Art, Boston) 등이 있 다.

‘특별 행사(Special Event)’는 미술관의 교육을 ‘행사’의 하나로 보는 관점이 다. 미술관의 역사로 볼 때 귀족 계층에서 서민에게 혜택을 준다는 관점에서 출발하여 미술관을 개방했던 유럽에서와 같이 교육 기회를 부여하는 행사로

(37)

보는 관점이다. 이러한 관점의 미술관으로 영국의 테이트 갤러리(Tate Gallery)와 미국의 구겐하임 미술관(Solomon R. Guggenheim Museum)이 있 다.

‘문화 사업’이나 ‘교육 보급 활동’은 ‘특별 행사(Special Event)’의 개념으로 서 일본이 도입하여 만들어 낸 개념이다. 이러한 개념의 미술관은 학교 교육 의 일부를 담당하고 있는 교육기관으로서보다는 문화사업적 측면에서 보는 시각이 강하다. 내용으로는 정부 주도의 일본 미술관에서 행해지는 조형 강 좌, 공개 제작, 강연회, 영상 작품 상영, 縣民 갤러리 운영, 이동 미술관, 미술 도서 공개, 창작 활동, 미술관 뉴스 발행 등이 주요 활동이다.28)

․교육 내용의 유형

미술관의 교육활동의 내용면을 살펴보면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진다. 그 첫 째는 미술에 관한 강조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문화행사를 주관하여 개최하는 활동이다. 강연회, 워크샵, 미술영화나 비디오 상영, 미술관에 관한 연구회 또 는 미술문화의 현지 견학, 음악회, 무용회, 퍼포먼스(Performance) 등을 들 수 있다. 둘째는 상설 전시작품이나 특별 기획전을 위한 감상 안내 활동으로 작 품에 관한 오리엔테이션, 자기 감상을 위한 셀프 가이드(Self Guide)의 개발 과 제공, 안내(Tour)와 좌담(Talk) 등을 들 수 있다.29)

이들 교육 활동을 이론형식과 실기형식의 프로그램으로 나누면 다음과 같 다. 첫째, 이론형식의 교육 프로그램으로 안내, 좌담, 강연, 강좌, 세미나, 심 포지엄 등 여러 가지 형식이 있다. 주로 전문가의 설명이나 이론 중심의 대 화가 특징이며 학교에서의 미술교육을 대신하거나 보완하는 교육내용과 방법

28) 김윤경, 「사회교육기관으로서의 미술관 교육에 관한 사례연구」, 서울대학교 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1991, p.20~27.

29) 재인용, 안현주, 「미술관을 통한 미술교육에 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7, p.17.

(38)

으로 제공된다.

안내(Tour)의 유형으로는 일반 관람객을 위한 소장품의 해설안내(guided tour), 시각장애인을 위한 특별안내(touch tour), 녹음안내, 미술관 안내(tour), 특별전시안내, 특별예약안내, 외국어 안내 등이 있고 간단한 안내용 인쇄물과 책자, 녹음기, 휠체어가 제공된다.

좌담(Talk)으로는 공개좌담회, 주말좌담회, 일요좌담회, 작가와의 대화 등이 있는데 미술관 교육담당자, 초청인사, 전시작가를 중심으로 한 대담이 일반적 이다.

강의(Lecture)는 주제별, 시간별, 계층별, 매체별로 나누어 일반강의, 특별강 의, 슬라이드 강의, 영상강의, 점심강의, 일일강의, 주간강의, 야간강의, 강의 와 토론, 낭송회와 강의 등을 들 수 있다.

강좌(Course)는 특정한 교육과정에 의한 일정 기간의 교육을 뜻하는데 정 기강좌, 야간강좌, 성인을 위한 강좌, 청소년을 위한 강좌, 전문가를 위한 강 좌 등이 있다.

실기형식의 교육 프로그램으로는 어린이, 청소년, 성인, 교사, 장애자 등의 여러 계층을 대상으로 한 미술실기반(art classes)과 특별실습반(workshop) 등 이 있다.30)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미술관 교육은 미술관의 교육적 기능을 강화한 미 술관에서의 행사와 이론 강의와 실기를 겸한 교육 내용을 말한다. 어린이에 서부터 성인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계층의 관람객들을 대상으로 하고 있고 그 내용도 학교 교육의 미술교육을 보조, 대신해 줄 수 있는 차원으로까지 발전 하고 있다.

30) 재인용, 앞의 논문, p.18.

(39)

4) 외국의 미술관 교육

(1) 미국의 미술관 교육

뉴욕의 현대미술관은 현대 생활과 미술의 만남이 이루어지는 곳으로 살아 움직이는 미술관이라 할 수 있다. 1929년 설립시부터 현대 생활에서의 미술 전 영역을 전시, 교육하는 장으로서 역할을 훌륭히 수행하고 있다. 관람객에 게 근․현대 미술의 의미와 즐거움을 찾도록 도와주고 우리 시대 미술에 대 한 대화의 장을 제공하는 것을 기본 이념으로 삼고 있다. 이러한 기본 이념 을 실현하기 위해 미술관 교육부(The Department of Education)에서는 다양 한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데 이들 프로그램은 한마디로 ‘시각적 해독력’을 개발하는 것으로 수렴된다. ‘시각적 해독력’이란 교과서적인 지식의 주입 이 전에 작품을 스스로 시각적으로 읽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시각적으로 읽고 쓰는 능력은 아래와 같다. (표-2)

표-2) 시각적 해독력31)

31) 최은경, 「우리나라 미술관 교육 프로그램 현황 조사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5, p.19.

관찰력 시각정보를 관찰, 설명, 해석하는 훈련

분석력 정확한 판단을 위해 시각 데이터를 감상, 비교, 지각하며 사실이 나 의견을 조정하는 경험

추리력 실마리를 모으며 증거를 확립하고 결론을 추출하는 훈련

독창적 표현 미술에 대한 자신의 반응을 말로 표현하며 스스로의 어휘력을 신장시키는 훈련

역사적 지식 특정 작품에 대한 사실적 지식의 습득과 일차적인 자료로서 특

정한 미술작품들을 다루는 방법의 습득

(40)

작품에 대한 미적 관찰이나 조형미를 살펴보게 하는 미술관의 교육적인 노 력은 미술교육에 있어 실질적인 것으로 단순히 미술관에 와서 작품을 보았다 는 수준에서 벗어나 작품을 관찰하고 보고 느낀 점을 서로 교환하면서 학생 들에게 미술품에 대한 긍정적인 사고를 갖게 한다.

미국의 박물관과 미술관은 소장품을 전시하는 일 외에도 많은 교육 프로그 램을 실시하고 있는데 소장품에 관한 일반 대중의 질의에 성실히 응답하며 다른 지역의 박물관이나 미술관과 소장품을 교환하여 전시함으로써 지역 주 민의 감상의 폭을 넓혀 주는 사회교육 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성실히 수행하였 다. 대부분의 미술관들은 교육부를 별도로 두고 미술관 교육가 혹은 교육부 큐레이터의 관장 하에 전문 직원을 중심으로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 다. 교육부에서 실시하는 내용과 방법은 그 미술관의 철학을 기반으로 하고 교육부 독창성에 따라 특징 있는 교육 프로그램이 실시된다.32)

․워싱턴 국립 미술관 (National Gallery of Art, Washington D.C)

워싱턴의 국립 미술관은 전시 기능은 물론 예술관련 연구 기능을 수행하는 미술관으로서 미국 내 여타 미술관의 중추적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전시 프로그램 부서와 교육 매체, 교육 출판, 교육자료 부서로 나누어 폭넓은 교육 활동을 펼치고 있다. 교육자료 부서에서는 소장품과 전시에 기초하여 컬러 슬라이드 프로그램, 교육용 자료집, 비디오 테이프와 같은 교육자료를 학교, 도서관, 대학교와 시민 기관, 미국과 해외의 교육 TV방송국에 제공하고 미술 관의 작품들이나 특정 작가에 관한 일반인들의 질문에 대하여 성의껏 대답해 준다. 또한 미술관 전반을 안내한 카달로그나 팜플렛도 항상 무료로 제공한 다.

워싱턴 국립 미술관은 정기적으로 순회전, 특별전, 개인전 등을 갖는다. 지

32) 안현주, 앞의 논문, p.20.

참조

관련 문서

원자력기술 수출 강화를 위하여, 우선 복합모듈 개념을 통한 건설단 가를 줄이고, extended nuclear vendor 개념의 민영화된

[r]

Second,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hospital capability and service orientation, the hospital capability had the positive significant impact on the service orientation in the

First, of human resources competencies in experience businesses, the customer service orientation and expertise besides achievement orientation had directly

지향,유연성-통제의 2차원에서 합리적 성취가형,이상적 원동력형,실제적 팀구축형, 경험적 전문가 형으로 분류하여 조직에 적용시켜 왔다.그리고 조직문화와

As the table above shows, art galleries invest majority of their space real estate to the space for exhibition (58.86%). This means they need to reconsider

○ UNIDROIT(국제팩터링협약) : 팩터링 계약이란 개인 또는 가사용 구매품의 판매 이외의 물품판매에 관해 공급자와 그 고객(customer, 채무자) 간에

효소의 활성부위에 기질을 근접시키는 기능 - 배향성효과(orientation effect):4. 반응하는 물질의 반응이 쉽도록 가장 선호하는 환경의 조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