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미래의 미술관 형태

Ⅱ. 미술관과 사회

3) 미래의 미술관 형태

현대에 많은 미술관들은 저마다의 교육방침을 가지고 특색 있는 교육 프로 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그 성과여부에는 차이가 있을지언정 미술관의 가장 비중 있는 소명을 일반 대중에 대한 사회 교육적 서비스에 두고 있다. 하지 만 대중의 흥미를 유발시키려고 노력하는 미술관에 대한 일반 관람객의 관심 은 그다지 크지 않다. 이러한 대중의 무관심을 극복하기 위해 미술관은 많은 기획전과 프로그램을 통해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다. 이처럼 미술관이 대중을 위한 서비스 기관으로 그 역할을 다하기 위해서는 보다 적극적인 자기 변화 를 거쳐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문제에 대한 대안으로 다니엘 지로디 (Daniele Giraudy)와 앙리 뷔이에(Henry Bouilhet)는 「미술관/박물관이란 무 엇인가(LE MUSSE ET LA VIE)」라는 책에서 새로운 미술관의 형태로 ‘정원 미술관’, ‘지역공동체 미술관’, ‘생태 박물관’으로 제시하고 있다.16)

지로디와 뷔이에는 보다 발전된 형태의 미술관으로 ‘개방된 미술관’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데, 우리가 알고 있는 전통적인 미술관 즉 미술관이 있고 미 술품이 있으며 미술품을 수동적으로 관람하는 관람객이 있는 미술관을 ‘폐쇄 적 미술관’이라 칭하고 그와 구별되어 미술관이라는 중압적인 건물이 없는 자연과 생태계를 향해 열려져 있는 새로운 방식의 미술관을 소개한다.

‘개방된 미술관’의 첫 번째로 ‘정원 미술관’은 자연과 건물이 서로 의존하는 산책로의 형태를 취하고 있는 곳으로, 코트 디뒤르 연안의 생 폴 드 뱅스에 있는 매그 재단의 미술관이나 바르셀로나 미로 미술관(1975년, 건축가 J.L. 세 르 설계), 덴마크의 루이지아나 미술관, 조각품들의 정원이 있는 예루살렘의 이스라엘 미술관들을 ‘정원 미술관’으로 꼽았다. 또한 나제르의 니아메 야외 미술관은 아프리카 최초의 전시장으로서 자연 속에서의 대화와 만남의 장소

16) 김은진, 앞의 논문, pp.33~37.

이며, 동물원, 민속학적 전시나 문맹퇴치를 위한 교육 센터와 직업훈련학교가

참여활동을 통해 자신들의 긴장과 갈등, 고장의 민속관습 지역의 역사들을

중이 활동에 참가하는 미술관은 그들의 자기 표현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촉 구시켜야 할 것이라고 쓰면서 미술관과 일반대중 사이를 연결하는 사명을 가 진 미술관 관리자는, 관람객이 전시물을 바라보고 이를 이해하며 이를 통해 자신을 뒤돌아 볼 수 있게 도와주어야 한다고 역설하면서 아래와 같이 자신 들의 소신을 밝혔다.

“몇 세기에 걸쳐 미술관은 한 개인에 의해 수집된 미술품들이 대중에게 공개됨으 로 빛나게 되었으며, 소중히 보관되어 온 수집품을 수장하기 위한 창고로서의 역할 을 해왔다. 그러나 이제는 과거와 같은 유물창고의 역할을 그만두고 대중에게 봉사 하기 위한 미술관 학교 또는 연구소로서의 역할을 하게 되었으며, 한 걸음 더 나아 가 그 소재 지역을 재인식시키고 표현하는 미술관으로 변천하여 왔다.”

18)

이 글에서 지로디와 뷔이에의 보다 발달된 미래의 미술관에 대한 신념은, 미술관은 지역사회 재인식과 그 사회의 표현 장소가 되어야 함이 당연하다는 생각으로 정리되고 있다. 미술관은 많은 세월 미술의 참다운 즐거움에서 멀 어져 있었다. 아마도 최초의 인간이 아름다운 물건을 자신의 거주지에 모아 두었던 진짜 이유는 소유욕 이전에 아름다움을 보고 마음의 위안을 얻을 줄 알았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아름다운 표현이란 조화와 균형 이전에 가식 없 고 순수한 마음의 표현으로 소탈하고 진솔함이 거침없이 표현되었을 때 인간 은 그것을 통해 자신의 마음을 치유 받는다.

지로디와 뷔이에가 소개한 ‘개방된 미술관’을 이러한 면에서 미술관이 표현 의 장소로서 설명하고 있는 것이다. 지역주민들의 표현과 공감대를 통한 소 통은 참다운 미술활동의 즐거움을 생산해 낼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이렇게 생산되는 즐거움의 경험은 분명 현대사회의 대중문화의 소비자로 전락된 일

18) 앞의 책, p.44.

반인들에게 올바른 유희를 배우고 사회를 정화시킬 수 있는 역할을 할 수 있 으리라 기대된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