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미술관의 존재의미 즉, 미술관의 기능과 사회적 관계에서 미술관은 운영의 철학을 얻을 수 있고, 미술관에 대한 가치 평가를 내릴 수 있다. 다시 말해 사회적 효용성과 공공재적 성격에 따라 국가와 사회로부터 일정 정도의 지원 을 받은 미술관은 일정 정도 사회에 기여하기 위해 사회적․문화적․경제적 기능을 수행해야한다.

단순히 미술품을 관리하고 전시하던 과거의 미술관들의 기능과 역할은 시 대의 변화에 따라 꾸준히 발전하고 확대되어 왔으며 그 가치나 목적 또한 변 화하여 왔음을 알 수 있다.

현대에 와서는 보다 확대되어 온 미술관의 기능 중 사회 교육적 기능은 이 전부터 있어왔던 미술관 고유의 기능인 미술품의 수집과 보관의 기능보다 더 욱 그 중요성을 더해가고 있다. 이는 종래에 가지고 있던 미술관의 수장고적 역할이나 귀한 것을 구경시키는 등의 근엄성을 배제하고 개방된 공간으로서 지역민들과 유대 할 수 있는 미술관의 사회적 역할과 기능이 필요하다는 것 이다.

다음으로 미술관과 사회와의 관계에서는 미술관을 통해 성숙된 지역문화를 이룩하고 이것이 지역경제 발전에 기초한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지방 문화의 활성화를 위한 조건으로 지역미술관 설립은 지역의 공동체적 문화형성에 있 어서 매우 중요하고 바람직한 의미를 갖는다. 이는 지역의 문화적 긍지를 심 어주며 문화예술에 대한 지역민들의 향수권 기회 확대와 미술인들의 예술적 창조의욕을 드높여 문화복지 기반을 구축할 수 있기 때문이다.

공공적 지원을 받는 미술관은 문화 예술 창조와 향수의 공간으로서 보다 많은 사람을 위해 존재해야 한다는 확신을 갖게 되었다. 이것은 미술관의 사

회교육적 기능이 현대사회에서 미술관 존립의 당위성을 부여하여 준다는 의

한 만족을 통하여 스스로 선택하고 즐기는 능동적인 자세를 취한다. 그러므 로 미술관의 제품 즉, 전시나 교육 프로그램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그들의 욕 구를 파악하지 않으면 안된다. 진정한 미술관 마케팅은 고객지향주의 마인드 를 가지고 추진되어야 하며 관람객을 만족시키기 위한 적극성과 능동성을 갖 추어야 한다.

이상 본 연구의 결과로 미술관의 기능과 운영면에서 두 가지 커다란 중심 축을 얻을 수 있었다. 먼저 미술관이 자신의 역할과 기능에 대해 사회적․역 사적․경제적 관점에서 확고한 자리매김을 해야 한다는 것이고, 다음으로는 이러한 역할을 다하기 위해 보다 효율적으로 미술관을 운영해야 한다는 것이 다. 앞으로는 국민의 문화적 위상을 높이는 것이 결국 국가의 경쟁력을 높이 는 것이며, 문화국가로서 주도적인 힘을 갖게 된다. 그러하기에 미술관의 역 할도 그 의미와 중요성이 더 해갈 것이다.

참 고 문 헌

1. 단행본

1) 이난영, 「박물관 입문」, 삼화출판사, 1972 2) 이보아, 「박물관학 개론」, 김영사, 2000

3) 크레이크 드리즌 외/ 이은옥․용호성 譯, 「예술경영, 어떻게 할 것인 가」, 민음사, 1997

4) 홍승찬, 「예술경영 입문」, 민음사, 1995

5) 다니엘 지로디․앙리 뷔이에/ 김혜경 譯, 「미술관/박물관이란 무엇인 가」, 화산문화사, 1996

2. 논 문

1) 최태만, 「미술관 설립 및 활동의 역사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1990

2) 김은진, 「미술관의 사회교육적 기능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1997

3) 정애래, 「박물관․미술관 교육 프로그램의 중요성에 관한 고찰」, 숙명 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4) 이희전, 「미술관 교육의 전문가와 프로그램 연구」, 중앙대학교 예술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5) 장미진, 「극장의 사회적 기능과 그 운영에 관한 연구」, 성균관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7

6) 김윤경, 「사회교육기관으로서의 미술관 교육에 관한 사례연구」, 서울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1

7) 안현주, 「미술관을 통한 미술교육에 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1997

8) 최은경, 「우리 나라 미술관 교육 프로그램 현황 조사 연구」, 이화여자 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5

9) 박외옥, 「지역 미술관의 교육실태와 새로운 운영 방안」, 영남대학교 조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10) 정은규, 「미술관 경영에서의 ‘관람객 지향성’ 연구」, 영남대학교 조형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11) 이현복, 「관람객 개발을 위한 미술관 교육 프로그램 연구」, 단국대학 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12) 이영두, 「뮤지엄의 변천과정과 현대적 기능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 교 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3. 간행물

1) 강승완, 「박물관의 공공 이미지와 철학」, 현대미술관 연구 제3집, 1992 2) 이은기, 「미술관의 성립과 후원자의 역할」, 현대미술관 연구 제6집, 1995

3) 최태만, 「현대사회와 미술관의 사회적 기능」, 현대미술관 연구 제4집, 1993

4) 박응격, 「국민정서 함양과 풍요로운 삶을 통한 문화민주주의 실현을 목 표로」, 문화예술, 1997/8

5) 유병림, 「문화도시를 조성하자, 문화도시 문화복지」, 문화체육부, 1997 6) 한국문화정책개발원, 「문화행정 전문인력 양성 방안 연구」, 정책과제 97-18, 1997

4. 인터넷 사이트

1) http://www.kartedu.or.kr 2) http://www.moca.go.kr 3) http://www.nga.gov

4) http://culture.metro.teajon.kr/sirip-art 5) http://artmuse.gjcity.net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