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질역학I_유효응력(강의자료)

26  26  Download (0)

전체 글
(1)

Effective Stress  유효응력(effective stress)의 개념  포화토에서의 응력  상향침투시(upward seepage) 응력  하향침투시(downward seepage) 응력  침투력  널말뚝에서 흙의 히빙(heaving)

 부분포화토(partially saturated soil)의 유효응력

 모세관 상승(matric suction)

(2)

1. Concept of Effective Stress

 포화토의 유효응력

 연직성분들의 힘의 합 = 유효응력 ()

 물이 차지하는 공간 =

(3)

 침투수가 없는 포화토내의 응력

2. Stresses without Seepage

A w 1 A w 1 A σ =γ H u =γ H σ =0    B w 1 sat 2 B w 1 2 B B B w 1 sat 2 w 1 2 σ =γ H +γ H u =γ (H +H ) σ =σ -u =γ H +γ H -γ (H +H )      C w 1 sat C w 1 C C C σ =γ H +γ z u =γ (H +z) σ =σ -u =γ z    

(4)

 상향침투시 포화토내의 응력

2.1 Stresses with Upward Seepage

A w 1 A w 1 A σ =γ H u =γ H σ =0    B w 1 sat 2 B w 1 2 B B B w 1 sat 2 w 1 2 σ =γ H +γ H u =γ (H +H +h) σ =σ -u =γ H +γ H -γ (H +H +h)     

 Point A  Point B  Point C

C w 1 sat C w 1 C C C w 1 sat w 1 σ =γ H +γ z u =γ (H +z+i z) σ =σ -u =γ H +γ z-γ (H +z+i z)        ← 정지상태와 동일 ← 정지상태와 동일

(5)

 하향침투시 포화토내의 응력 A w 1 A w 1 A σ =γ H u =γ H σ =0    B w 1 sat 2 B w 1 2 B B B 2 w σ =γ H +γ H u =γ (H +H -h) σ =σ -u =γ H +γ h     

 Point A  Point B  Point C

← 정지상태와 동일 C w 1 sat ← 정지상태와 동일 C w 1 C C C w σ =γ H +γ z u =γ (H +z-i z) σ =σ -u =γ z+i z γ       

(6)

2.3 Critical Hydraulic Gradient  물의 흐름이 없는 경우 유효응력 →  상향침투시 유효응력 →  하향침투시 유효응력 → σ =γ z  w σ =γ z-i z γ    w σ =γ z+i z γ     유효응력이 0(zero)이 되는 조건  이 때의 동수경사

→ 한계동수경사(Critical Hydraulic Gradient)

w σ =γ z-i z γ     0 cr w γ i = γ 

(7)

2.4 Critical Hydraulic Gradient cr w γ i = γ  cr w γ i = γ  w w w w w γ >i γ γ =i γ γ <i γ γ <<i γ γ <<<i γ           → 안정 → 무중력 상태 → → 표면입자의 움직임 → 분사현상(quick sand) → 분출(boiling) s -sat w w w s w s cr w (G +e) γ =γ -γ = γ γ 1+e G -1 = γ 1+e G -1 γ i = = γ 1+e    → 파이핑(piping)

(8)

3. Seepage Force  침투력(Seepage Force) o F '=σ' A=γ' z A   UP w w (1) (2) F '=σ' A=(γ' z-i z γ )A =γ' z A - i z γ A          DN w w (1) (2) F '=σ' A=(γ' z+i z γ )A =γ' z A + i z γ A           정지상태  상방향 흐름  하방향 흐름

(9)

w w i z γ A =i γ z A      침투력(Seepage Force)  단위체적당 침투력  물이 흐르는 방향으로 흙입자에 추가적인 힘이 생기게 되는데 이를 단위체적당 침투력 이라고 함 w i γ 3.1 Seepage Force

(10)

4. Heaving Problem using Flow net

(11)

 히빙에 대한 안전율 : = 한계동수경사 ABCD구역에서의 평균동수경사로부터 히빙 가능성을 평가 히빙(Heaving) cr s i F = i cr i m m m cr s m

total head of face total head of face

( CD )-( AB ) i = (AD) h -0 h = = D D i F = i 4.1 Estimation of Heaving

(12)

 히빙(Heaving) 2 w m w w m D W'=γ'( D) 2 1 = γ' D (lower direction) 2

P=(i γ ) (volume of ABCD)

h D = γ ( D) D 2 1 = γ h D (upper direction) 2             침투력  유효력 4.2 Estimation of Heaving

(13)

s W F = P  2 w cr s m w m γ' 1 γ' D γ i 2 F = = = 1 h i γ h D 2 D       히빙(Heaving)  전체 작용력  안전율 2 w m

total action force = W'-P

1 1

= γ' D - γ h D

2   2   

(14)

4.4 Exercise for Heaving  히빙(Heaving)  다음 그림과 같이 널말뚝 설치로 인하여, 널말뚝 하단으로 침투가 일어난다. 유선망을 그린 결과도 그림에 나타내었다. 흙의 포화단위중량 이다. (1) A점 및 B점에서의 연직방향 전응력, 수압, 유효응력을 구하라. (2) EFGH 구역에서의 히빙에 대한 안전율을 구하라. 3 sat γ =20kN/m

(15)

히빙(Heaving) f d d ΔH=8m, N 5.5, N =12 ΔH 8 Δh= = =0.667m N 12 

(16)

 히빙(Heaving) A A p(A) A A A w p(A) 8 =8.2 =5.5m h 12 z =-7.0m h =h -z =5.5-(-7.0)=12.5m u =γ h =9.81 12.5=122.6kPa     A점 : 전 수 두 위치수두 압력수두 수 압  B점 : 전 수 두 위치수두 압력수두 수 압 B B p(B) B B B w p(B) 8 =2.4 =1.6m h 12 z =-7.0m h =h -z =1.6-(-7.0)=8.6m u =γ h =9.81 8.6=84.4kPa  

(17)

 히빙(Heaving)  A점 : 전 응 력 간극수압 유효응력  B점 : 전 응 력 간극수압 유효응력 A w sat σ =γ 4+γ 11=9.81 4+20 11=259.2 kPa  A u =122.6 kPa A A A σ '=σ -u =259.2-122.6=136.6 kPa B w sat σ =γ 1+γ 6=9.81 1+20 6=129.8 kPa  B u =84.4 kPa B B B σ '=σ -u =129.8-84.4=45.4 kPa

(18)

히빙(Heaving)

 HG면에서의 평균전수두 hm

점 H에서의 전수두 hH=5칸×8/12=3.33m 점 G에서의 전수두 hG=2.8칸×8/12=1.87m  HG면에서의 전수두 분포

(19)

 HG면의 전수두 hm=2.36 m EF면의 전수두 h=0 m 평균 동수경사 im=Δh/Δl=2.36/6=0.39  히빙(Heaving) 2 2 1 W'= γ' D =0.5 (20-9.81) 6 =183.4 kN 2    m m P=(i γ ) (volume ) =0.39 9.81 (6 3)=68.9kN      s W' 183.4 F = = =2.7 P 68.9

(20)

5. Use of Filter Materials  필터재료를 이용한 히빙에 대한 안정성 증진 2 F 1 F s w m 1 1 γ' D + γ ' D D W'+W ' 2 2 F = = 1 P γ h D 2        

(21)

6. Partially Saturated Soils  부분포화토의 유효응력(effective stress)

 부분(불)포화토는 흙 속에 모관흡수력 고려

 X~X 단면에 작용하는 유효응력  Bishop(1960)

(22)

6.1 Capillary Rise in Soil c w 4 T cosα h = d γ     흙에서의 모관현상 2 c w πd h γ =πd T cosα 4     c 1 h d 

(23)

6.2 Capillary Rise in Soil  흙에서의 모관현상  자연상태의 흙은 간극으로 관망을 형성  관의 모양이나, 크기가 불규칙(다양한 단면) D10 = 유효경(mm) e = 간극비 C = 10~50mm2 까지 변하는 상수

(24)

6.3 Effective stress in capillary zone w S u=- γ h 100        흙에서의 모관현상(capillary rise)  모세관 상승에 의하여 완전 포화된 지층내 간극수압은 대기압을 기준  모세관 상승작용으로 인하여 부분적으로 포화 w -γ h

(25)

6.4 Example in capillary zone

 각 위치(A,B,C)마다의 전응력(), 간극수압(u), 유효응력()

(26)

6.5 Stress Variation with Depth

 각 위치(A,B,C)에서 전응력(), 간극수압(u), 유효응력()

수치

Updating...

참조

관련 주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