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농기계수출 종합유통지원센터 건립 타당성 분석 연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농기계수출 종합유통지원센터 건립 타당성 분석 연구"

Copied!
189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C2012-13 | 2012. 5 |. 농기계수출 종합유통지원센터 건립 타당성 분석 연구. 강 창 용 박 기 환 주 아 름. 선 임 연 구 위 원 연. 구. 위. 원. 인 턴 연 구 원.

(2) 연구 담당 강창용 선임연구위원 박기환 연 구 위 원 주아름 인턴연구원. 연구 총괄, 1~4장 4~8장 자료수집 및 정리.

(3)

(4)

(5) i. 머 리 말. 국내 농업은 고령화와 노동력 부족, FTA·DDA로 인한 시장개방 확대 등으로 많 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러나 정부지원을 바탕으로 한 농업기계화 추진은 농촌 노동력 부족 문제를 상당부분 해소함으로써 안정적인 농산물 생산에 커다란 역할을 하였다. 이처럼 농기계산업이 농업발전에 기여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농 기계 보조지원 폐지 등으로 수요가 감소함에 따라 농기계 제조업체의 가동률은 하락하는 등 농기계산업은 전반적으로 커다란 위기에 직면하고 있다. 더욱이 중 고농기계 거래가 활성화되지 못해 자원낭비와 환경 문제도 대두되는 상황이다. 농기계산업이 현재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지속적으로 농업발전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수출확대와 같은 새로운 수요창출로 재도약의 발판을 마련해야 하며, 중고농기계의 거래활성화와 수출 모색으로 사회적 비용을 절감하는 방안도 수 립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정부는 농기계 수출확대와 중고농기계 유통활성 화를 위한 농기계수출 종합유통지원센터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 구는 정부의 농기계수출 종합유통지원센터 건립의 기본구상 및 기본계획 수립 과 사회·경제적 효과 등을 분석하여 정부정책이 보다 효율적으로 실행될 수 있 도록 도움을 주고자 수행되었다. 바쁘신 데도 불구하고 연구를 위해 설문조사에 성실히 응답하여 주신 농기계 제조업체 관계자와 천안시 공무원분들은 물론, 농기계 수출 촉진 정책워크숍에 참여하여 주신 각계 전문가 여러분들에게 진심으로 감사드린다. 아무쪼록 이 연구 결과가 정부의 농기계 정책 수립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어 농기계산업 발전 의 초석이 될 수 있길 기대한다. 2012. 5. 한국농촌경제연구원장 이 동 필.

(6)

(7) iii. 요. 약. ○ 농기계산업은 농촌노동력의 부족 문제를 해결하였으며, 이를 통해 안정적인 농산물 생산이 가능하도록 기여했음에도 불구하고 농기계 보조 지원 폐지 등으로 수요가 감소하면서 전반적으로 커다란 위기에 직면하고 있음. ○ 농기계산업은 농업발전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는 중요한 근간산업이기 때 문에 농업부문이 지속적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도 농기계산업은 현재의 어려 움을 극복하고 재도약의 발판을 마련해야만 함. - 이에 따라 수요 창출을 위한 신시장 개척이 절실한 당면과제로 부각되고 있으며, 중고농기계 처리 및 수출확대가 이의 주요한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임. - 정부도 수출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중고농기계 유통 활성화 및 농기계 수 출확대를 위한 다양한 지원책을 마련하여 추진하고 있으며, 농기계수출 종합유통지원센터 설립을 통한 중고농기계 종합 처리시스템 및 수출 토 털 서비스 체계를 구축하고자 정부지원을 계획 중에 있음.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부가 추진 중인 농기계수출 종합유통지원센터 건 립의 기본구상 및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사회·경제적 효과 등을 분석함으로 써 정부정책이 보다 효율적으로 실행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 였음. ○ 국내 농기계산업은 농산물 시장 개방 확대, 지속적인 쌀 소비 감소, 이·탈농 등의 영향으로 농기계 보유 대수가 감소함에 따라 지속적으로 위축될 가능 성이 높으며, 정부의 농기계 반값 공급 정책 폐지 이후 농가의 농기계 구입 부담 가중으로 신규 농기계시장 창출에 한계를 보이고 있음..

(8) iv - 또한, 농기계기업들의 규모가 영세하고 여러 기업들이 다양한 농기계를 생산하고 있어 생산시설의 가동률도 떨어지고 있으며, 해외시장의 전략 적인 진출과 지원이 미흡한 문제점을 노출하고 있음. ○ 반면, 세계 농기계시장은 2019년에 이르면 과거 10년 전보다 54% 이상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등 상당히 전망이 밝으며, 특히 아시아·태평양, 중 앙·남미, 동유럽과 아프리카·중동 지역의 국가들이 성장을 주도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 국내 농기계산업의 어려움 속에서도 관련 업체들의 노력 여하에 따라서는 수출확대 가능성은 상당히 높기 때문에 중장기적이면서 현실적인 기본방향 을 정립하고, 구체적인 전략과 전술로 접근하는 것이 필요함. - 그러나 농기계 수출확대는 아직까지 기술, 홍보, 마케팅 등에서 상당히 미흡한 실정이기 때문에 이를 체계적으로 지원해 줄 수 있는 농기계수출 종합유통지원센터(AMECx; Agricultural Machinery Export Complex)를 별도 설립해야 함. - 더욱이 농기계수출 종합유통지원센터 설립은 「농업기계화 기본계획 (2012~2016)」 및 「농기계 수출 활성화 방안」등 제도적으로 명시되어 있 어 정부정책과도 부합함. ○ 농기계수출 종합유통지원센터에는 농기계수출지원센터, 중고농기계 유통지 원센터, 중고농기계 정비 및 부품창고를 배치하도록 하며, 총 323억 원의 건 립비용이 소요될 것으로 보임. - 농기계수출 종합유통지원센터는 정부 정책사업인 공공적 성격이 강한 사업이기 때문에 국비와 지자체 보조가 투입되어야 함. - 이 경우 소유권 및 운영주체는 한국농기계공업협동조합이 담당하고, 사 후관리는 입지지역인 충남 천안시가 주체가 되어 감시·감독을 하도록 운 영함..

(9) v ○ 농기계수출 종합유통지원센터 건립으로 인해 천안시 및 충청남도에 미치는 경제적 파급효과는 천안시가 약 425억 원, 충청남도가 3,053억 원, 고용유발 효과는 천안시와 충청남도가 각각 1,921명, 2,489명인 것으로 분석되었음. ○ 이와 같은 지역 경제 파급효과 이외에도 농기계수출 종합유통지원센터 건 립 시 수출증대를 위한 정책효과가 발생하여 12~25%의 농기계 추가 수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전망되었음. ○ 또한, 농기계수출 종합유통지원센터 입지 예정지인 천안시는 “대한민국 국 제농기계 자재박람회(KIEMSTA)”를 격년으로 개최하고 있어 박람회 참관 객들에게 체험의 기회 마련 등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할 수 있으며, 체재형 국제 농기계 박람회로 전환되어 지역경제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것임. ○ 농기계산업은 농업기계화 촉진을 통해 농업발전에 많은 기여를 하여 왔으 며, 앞으로도 농업부문의 근간산업으로 지속되기 위해서는 수출확대를 통한 새로운 시장개척이 필요함. - 이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농기계수출 종합유통지원센터 건립이 반드시 필요한데, 건립의 당위성은 정부와 관련 업계가 한 목소리를 내고 있어 사업이 보다 효율적으로 진행될 경우 산업과 농업이 동반 상생·발전하는 좋은 사례가 될 것으로 기대됨..

(10)

(11) vii ABSTRACT. A Feasibility Study for Constructing Agricultural Machinery Export Complex. The agricultural machinery industry, which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agriculture, is faced with a crisis due to adverse market conditions such as declining demand. Nevertheless, the industry has to overcome the current difficulties and lay down a foundation for a new leap forward as it is a backbone industry of agriculture. One of the ways to overcome such a difficult situation is none other than to expand the export of agricultural machinery. The government, too, recognizes the importance and is currently working on to establish an agricultural machinery export complex. With such a background,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for the government to efficiently carry out the construction of the export complex by laying out a blueprint for its construction and by analyzing the social and economic effects of the project. The agricultural machinery industry in Korea has been losing steam as a result of further opening of the domestic market to agricultural imports, declining rice consumption, and the flight from agriculture. Moreover, the industry is showing signs that it has hit the stagnation point in creating new markets since the abolishment of government subsidies. As a result, the manufacturers are experiencing many difficulties. The factory operation rate is falling and business scale, too, is getting smaller. One of the ways to overcome such a situation is to create new demand by expanding the export. However, since export expansion is still lacking considerably with respect to technology, public promotion, and marketing, it is necessary to set up a separate institution that can provide systematic support. Besides, establishment of an agricultural machinery export complex conforms with the government policy since such an establishment is stipulated by law. In establishing the export complex, it is necessary to install facilities that can perform various functions so that the export complex can provide comprehensive support aimed at promoting agricultural machinery export. The facilities to be installed include an export support center, a second-hand agricultural machinery and equipment export center, a history hall (museum),.

(12) viii and a future vision hall, a training center for the education of how to use agricultural machinery and equipment, a testing facility, a distribution center for SMEs, and a bonded warehouse. It was analyzed that if the export complex is built in the city of Cheonan, the economic benefit would amount to about 27.3 billion won for the city and 204 billion won for Chungnam Province. On the employment side, it will create 1,233 jobs in Cheonan and 1,598 jobs in Chungnam. In addition to bringing such benefits to the local economy, it is expected that it will have the policy effect of increasing the export by 12~25%. Also, since the city of Cheonan will be hosting the Korea International Exhibition of Machinery, Equipment, Science and Technology for Agriculture (KIEMSTA), the export complex can provide many things to see and do for exhibition visitors and transform the exhibition into a lasting event that can contribute greatly to revitalizing the local economy.. Researchers: Chang-Yong Kang, Ki-Hwan Park, and Ah-Reum Ju Research period: 2012. 1. - 2012. 5. E-mail address: cykang@krei.re.kr, kihwan@krei.re.kr.

(13) ix. 차. 례. 제1장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2. 선행 연구 검토 ····························································································· 4 3. 연구 범위·방법 및 연구내용 ······································································· 5 제2장 농기계산업의 현황과 문제점 1. 농기계 시장 동향 및 수출입 실태 ····························································· 9 2. 농기계 생산업체 현황 ················································································ 17 3. 농기계산업을 둘러싼 당면 문제점 ··························································· 27 제3장 세계 농기계 시장 동향과 해외 진출 가능성 1. 세계 농기계 시장 분석 ·············································································· 31 2. 세계 농계시장 전망 ··················································································· 39 3. 국내 농기계 기업의 해외 수출확대 가능성 진단 ·································· 47 제4장 농기계수출 종합유통지원센터 건립 필요성 및 여건 분석 1. 농기계수출 종합유통지원센터 건립의 필요성 ········································ 59 2. 농기계수출 종합유통지원센터의 역할과 활용 ········································ 73 3. 농기계수출 종합유통지원센터 입지 예정지 환경 분석 ························· 75 제5장 국내외 유사사례 분석 및 시사점 1. KOTRA ········································································································ 89 2. 이탈리아의 농기계수출지원 사례 ····························································· 93 3. 일본농업기계공업회 사례 ········································································ 103.

(14) x 4. 시사점 ········································································································ 107 제6장 농기계수출 종합유통지원센터 기본 구상 및 건립 계획 1. 기본 구상 ·································································································· 109 2. 사업 추진 계획 ························································································· 112 제7장 농기계수출 종합유통지원센터 건립의 경제적 타당성 분석 1. 농기계수출 종합유통지원센터 건립 SWOT 및 재무성 분석 ·············· 127 2. 농기계수출 종합유통지원센터 건립의 경제적·정책적 타당성 분석 ······· 138 제8장 요약 및 결론 참고 문헌 ··········································································································· 165.

(15) xi. 표 차 례. 제1장 표 1- 1. 농기계 제조업체 관계자 설문조사 실시 현황 ····························· 5 표 1- 2. 농기계 수출 촉진 정책워크숍 개최 현황 ····································· 6 표 1- 3. 이탈리아의 농기계산업 관련 외부 원고 의뢰 ····························· 6 제2장 표 2- 1. 국내 농기계 시장규모 ··································································· 10 표 2- 2. 주요 농기계 기종별 시장규모(2007년 기준) ······························ 11 표 2- 3. 주요 농기계 공급 추이 ································································· 12 표 2- 4. 주요 농기계 연도별 보유대수 ······················································ 13 표 2- 5. 주요 기종별 농기계 수출입 규모 ················································ 15 표 2- 6. 주요 국별 농기계 수출 실적 ························································ 16 표 2- 7. 주요 농기계 기종별 생산업체 현황 ············································ 18 표 2- 8. 농기계 생산업체 종업원 규모별 비중 ········································ 19 표 2- 9. 주력 농기계의 생산설비 가동률 ·················································· 20 표 2-10. 농기계산업과 자동차산업의 규모 비교(2009년) ························ 21 표 2-11. 농기계 제조업체의 기술수준 ························································ 22 표 2-12. 농기계소재와 부품의 선진국 대비 질적 수준 비교 ·················· 22 표 2-13. 농기계의 물리적·기능적 기술수준 ·············································· 23 제3장 표 3- 1. 세계 농기계 국별 교역 규모 ························································ 33 표 3- 2. 세계 농기계시장 규모 변화 ························································· 34 표 3- 3. 기종별 세계 농기계시장 규모 변화 ············································ 36.

(16) xii 표 3- 4. 세계 주력 농기계기업 매출액(2009년) ······································· 37 표 3- 5. 세계 주요 경제지표와 전망 ························································· 39 표 3- 6. 권역별 세계 인구 전망 ································································· 40 표 3- 7. 세계의 권역별 농경지 이용면적 전망 ········································ 41 표 3- 8. 세계경제 성장률 전망(2012년) ····················································· 42 표 3- 9. 세계 농기계시장 규모 전망 ························································· 43 표 3-10. 기종별 세계 농기계시장 규모 전망 ············································ 44 표 3-11. 권역별 세계 농기계 교역규모 전망 ············································ 45 표 3-12. 우리나라의 농기계 해외정보 수집원별 비중 ····························· 49 표 3-13. 우리나라 농기계산업의 해외시장 공략을 위한 대응방안 ········ 50 표 3-14. 유럽과 미국 농기계시장 진출 전략 ············································ 55 표 3-15. 중국과 인도 농기계시장 진출 전략 ············································ 55 제4장 표 4- 1. 농기계 판매가격의 한·일 비교(2010년 한국 내 판매기종) ······ 61 표 4- 2. 정부의 농기계 수출확대 정책지원계획 ······································· 68 표 4- 3. 농기계 업체의 해외진출 의지 ······················································ 70 표 4- 4. 농기계 업체의 해외진출 전략 보유 여부 ··································· 71 표 4- 5. 천안시의 세대수 및 인구 추이 ···················································· 76 표 4- 6. 천안시의 사업체 및 종자사 수 ···················································· 77 표 4- 7. 천안시의 전·겸업 농가 수 추이 ·················································· 77 표 4- 8. 천안시의 농가인구 현황 ······························································· 78 표 4- 9. 천안시의 경지면적 추이 ······························································· 78 표 4-10. 천안시의 품목별·축종별 농축산물 생산량·사육두수 ················· 79 표 4-11. 천안시의 주요 기종별 농기계 보유현황 ····································· 80 표 4-12. 북천안 IC 투자계획 ······································································ 83.

(17) xiii 제5장 표 5- 1. KOTRA의 해외시장 서비스 유형 및 수수료 ····························· 92 표 5- 2. 이탈리아의 농용트랙터 생산 및 수출대수(2010년) ··················· 93 표 5- 3. 이탈리아의 기종별 농기계 생산현황(2010년) ···························· 94 표 5- 4. 이탈리아의 농기계 수출입 실적 ·················································· 95 표 5- 5. 이탈리아의 권역별 농기계 수출입 실적(2010년) ······················ 96 표 5- 6. 이탈리아의 농용트랙터 주요 기업 현황(2010년) ······················ 98 표 5- 7. 이탈리아의 주요 농기계 기업 매출액 및 수익(2010년) ··········· 99 표 5- 8. UNACOMA 주최의 국제농업기계박람회(2010~2011년) ········ 100 표 5- 9. 경제발전부·ICE·UNACOMA 간의 국제협력 프로젝트(2011년) ········································································· 101 표 5-10. ICE에 의한 농기계국제화촉진계획(2011년) ····························· 102 표 5-11. 경제발전부·ICE·UNACOMA의 농기계 박람회 국제화 프로젝트(2011년) ···························································· 102 표 5-12. 일본의 주요 농기계 출하 현황 ·················································· 104 표 5-13. 일본의 주요 농기계 보유 대수 ·················································· 105 표 5-14. 일본의 농기계 수출 실적 ··························································· 105 제6장 표 6- 1. 농기계수출지원센터 상세 시설명 및 내용 ······························· 114 표 6- 2. 중고농기계 유통지원센터 상세 시설명 및 내용 ······················ 115 표 6- 3. 중고농기계 정비 및 부품창고 상세 시설명 및 내용 ·············· 115 표 6- 4. 농기계수출 종합유통지원센터 부지매입 및 조성비 예산(안) ············································································ 118 표 6- 5. 농기계수출지원센터 시설비 예산(안) ········································ 119 표 6- 6. 중고농기계 유통지원센터 시설비 예산(안) ······························ 120 표 6- 7. 중고농기계 정비 및 부품창고 시설비 예산(안) ······················· 120.

(18) xiv 표 6- 8. 농기계수출 종합유통지원센터 건축비 예산(안) ······················· 121 표 6- 9. 농기계수출 종합유통지원센터 재원조달 계획(안) ··················· 124 표 6-10. 농기계 업계의 농기계수출 종합유통지원센터 희망 운영주체 ·············································································· 125 제7장 표 7- 1. 농기계수출 종합유통지원센터 건립 사업비 총액 ···················· 133 표 7- 2. 농기계수출 종합유통지원센터 경상운영비 추정 ······················ 134 표 7- 3. 농기계수출 종합유통지원센터 편익 추정 ································· 136 표 7- 4. 농기계수출 종합유통지원센터 건립 사업비 연차별 투자 계획 ········································································ 137 표 7- 5. 농기계수출 종합유통지원센터 건립 재무성 분석 결과 ·········· 138 표 7- 6. 산업연관표의 기본 구조 ····························································· 139 표 7- 7. 천안시 및 충청남도 입지상계수 ················································ 143 표 7- 8. 농기계수출 종합유통지원센터 건립 투입 비용 ······················· 143 표 7- 9. 천안시 생산유발계수·부가가치유발계수·취업유발계수 ··········· 144 표 7-10. 충청남도 생산유발계수·부가가치유발계수·취업유발계수 ······· 145 표 7-11. 농기계수출 종합유통지원센터 건립에 따른 농기계 수출액 추정 ····································································· 148.

(19) xv. 그 림 차 례. 제2장 그림 2- 1. 주요 농기계별 농가 보유 비중 변화 ······································· 14 그림 2- 2. 농기계산업의 주요 성장관계 지표 변화 ································· 24 그림 2- 3. 농기계산업의 주요 안전관계 지표 변화 ································· 25 그림 2- 4. 농기계산업의 주요 수익관계 지표 변화 ································· 26 그림 2- 5. 농기계산업의 수익변동요인 구성 변화 ··································· 26 그림 2- 6. 농기계산업을 둘러싼 당면문제 ················································ 29 제3장 그림 3- 1. 권역별 세계 농기계시장 규모(2009년) ···································· 32 그림 3- 2. 기종별 세계 농기계시장 규모(2009년) ···································· 35 그림 3- 3. 국내외 농기계 기술개발 동향(트랙터) ···································· 48 제4장 그림 4- 1. 농기계와의 연관 산업 체계도 ·················································· 60 그림 4- 2. 농기계 수출확대와 농업발전 연계 ·········································· 63 그림 4- 3. 농기계 수출확대와 관련된 변수 및 상호 Network 체계 ······ 65 그림 4- 4. 농기계 업계의 농기계수출 종합유통지원센터 건립 필요성 ················································································ 72 그림 4- 5. 농기계 업계의 농기계수출 종합유통지원센터 이용 의사 ····· 72 그림 4- 6. 농기계수출 종합유통지원센터(AMECx)의 역할과 기능 ······· 74 그림 4- 7. 천안시의 위치 및 행정구역 ······················································ 75 그림 4- 8. 교통수단별 천안시 접근성 ························································ 82 그림 4- 9. 북천안 IC 위치도 ······································································ 83.

(20) xvi 그림 4-10. 계통 예정 북천안 IC와 농기계수출 종합유통지원센터 건립 후보지 위치 ······································································· 84 그림 4-11. 2020 천안시 장기발전계획 기본구상안 ·································· 86 그림 4-12. 천안시의 산업경제 부문 기본구상안 ······································· 87 제5장 그림 5- 1. KOTRA 주요 사업 ···································································· 90 그림 5- 2. KOTRA 조직도 ·········································································· 91 제6장 그림 6- 1. 농기계수출 종합유통지원센터 비전 및 목표 ······················· 110 그림 6- 2. 농기계수출지원센터 건물 배치 계획 ····································· 112 그림 6- 3. 중고농기계 유통지원센터 배치 계획 ····································· 113 그림 6- 4. 중고농기계 정비 및 부품창고 배치 계획 ····························· 113 그림 6- 5. 농기계수출 종합유통지원센터 배치도(안) ···························· 113 그림 6- 6. 농기계수출 종합유통지원센터 전체 시설 조감도 ················ 116 그림 6- 7. 농기계수출 종합유통지원센터 및 야외공원 조감도 ············ 117 제7장 그림 7- 1. 농기계수출 종합유통지원센터 관련 SWOT 분석 ················ 129.

(21) 1. 제. 서. 1. 장. 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농산물시장 개방 확대와 고령화, 이농 등으로 농업부문은 지속적으로 축소 되고 있지만, 그동안 농업기계화 제고 노력을 통해 농촌노동력 감소에 대응 해 오고 있음. - 벼농사 주요 농작업의 기계화율은 경운·정지작업이 2010년 99.9%, 이앙 은 99.8%, 수확 99.9%, 방제 99.3%로 건조작업(58.5%)을 제외한 평균 기계화율은 91.5%로 나타나 거의 모든 농작업의 기계화가 이루어지고 있음. - 농작업의 기계화 진전으로 인해 벼농사 10a당 노동투하시간은 1980년 130.5시간에서 2009년 16.3시간으로 대폭 감소하게 되었음. ○ 이와 같이 농기계의 보급 확산으로 농업부문 기계화가 크게 달성되어 농기 계산업이 농업발전에 기여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농기계 보조 지원 폐지, 농 업부문 축소 지속 등의 영향으로 농기계 제조업체의 가동률은 50~60% 수준 에 불과한 실정임. - 더욱이 농기계 업체 가운데 종업원 규모가 100명 이상인 비중은 1995년.

(22) 2 11.3%에서 2011년 7.2%로 축소되어 업체의 영세화가 진행 중임을 알 수 있음. ○ 이에 따라 수요 창출을 위한 신시장 개척이 절실한 당면과제로 부각되고 있 으며, 중고농기계 처리 및 수출확대가 이의 주요한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임. - 정부도 수출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중고농기계 유통 활성화 및 농기계 수 출확대를 위한 다양한 지원책을 마련하여 추진하고 있으며, 농기계수출 종합유통지원센터 설립을 통한 중고농기계 종합 처리시스템 및 수출 토 털 서비스 체계를 구축하고자 정부지원을 계획 중에 있음. ○ 농기계수출 종합유통지원센터(AMECx; Agricultural Machinery Export Complex)는 중고 및 신제품 농기계 수출확대를 통한 국내 농기계산업의 발 전, 나아가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품질이 우수한 농기계의 개발과 생산의 잠 재능력의 제고를 위해 주력하고 있는 국내 농기계산업의 성장에 중요한 조 직이자 요건임. ○ 농기계 산업계에서는 농기계수출 종합유통지원센터를 중심으로 국내외 농 업과 농기자재 관련 박람회간의 연계 구조를 강화하여 박람회의 성공과 해 외 바이어 유치를 통한 수출확대 시너지 효과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 대하고 있음. - 격년으로 개최하고 있는 대한민국 국제농기계 자재박람회인 KIEMSTA 와 연계를 통해 국가 농기계산업 발전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동시에 구현 하는 것이 가능함. ○ 또한, ODA 지원 사업의 내용에 농기계를 활용하는 것을 포함하도록 하며, 물적 농기계지원과 함께 관련 국가의 농업인들에게 교육과 홍보를 동시에 제공하여 우리산업의 발전, 우리나라의 홍보라는 효과를 거양하는 데 농기 계수출 종합유통지원센터를 활용할 수 있을 것임..

(23) 3 - 중고농기계의 수출과 연계할 경우 국내 시장의 확대뿐만 아니라 우리의 농업생산시스템을 수출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으며, 부가적으로 우리 농 기자재의 수출도 유발할 수 있음. ○ 농기계수출 종합유통지원센터가 이벤트사업과의 연계 이외에 상시적으로 해외 바이어와 국내 관련 농업인들에게 교육과 체험, 홍보의 장으로 활용될 뿐만 아니라 국내 다양한 농기계와 관련 기자재 및 해외 수출 농기계의 품 질보증과 인증, 시험과 검사업무를 수행하는 거점으로 활용될 경우 품질경 쟁력 제고 등의 복합적인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함. ○ 특히, 농기계수출 종합유통지원센터 건립 후보지인 천안시는 평택항과의 인 접성이 뛰어나 농기계 배후기지로서 활용이 용이함. - 이는 결국 농기계수출업무와 유통, 수송과 관리 등에 편의성을 제공한다 는 또 다른 이점을 얻을 수 있으며, 아울러 중소기업들의 물류지원, 집적 강화로 전문적인 지원과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음. - 동시에 천안시 지역사회에 대한 경제·사회적인 효과가 적지 않을 것으로 판단됨. ○ 따라서 농기계산업의 새로운 시장 개척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서도 농 기계수출 종합유통지원센터 건립이 요구되며, 이에 대한 세부 추진 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음. ○ 본 연구의 최종목적은 한국농기계공업협동조합이 추진하고 있는 농기계수 출 종합유통지원센터(AMECx) 건립 타당성을 분석하는 것임. - 연구의 세부 목적은 AMECx 건립의 기본구상 및 기본계획 수립, 재무성 분석, 경제적·정책적 타당성 분석이며, 농림수산식품부 등 관계 기관에 AMECx 건립의 당위성 설명을 위한 기초 자료 작성임..

(24) 4. 2. 선행 연구 검토. ○ 강창용·박기환·김태종(2001)은 중고농기계 발생과 구입, 유통실태와 문제 점, 중고농기계 거래 활성화 방안 등을 실태조사를 통해 제시하고 있으며, 활성화 방안 중의 하나로 수출확대 방안을 언급하고는 있으나, 수출의 당위 성 중심으로 전개되어 구체적 수출전략은 마련되어 있지 않은 상황임. ○ 강창용·박현태(2005)는 제1부에서 농기계 정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비 용절감, 유통 및 사후관리, 생산 및 기술개발, 투융자, 관련 제도 등으로 구 분하여 제시하였으며, 제2부에서 농기계산업의 수출확대 방안을 다루고 있 으나, 이 연구의 목적이 전체 농업기계화 정책 방향 설정에 있기 때문에 농 기계 수출은 일부분 정도로 언급되어 있어 상세한 전략을 제시하는 데는 다 소 한계가 있음. ○ 박기환·정은미·권회민(2010)은 농기계 생산 및 보급 현황 진단으로 현재 농 기계가 직면하고 있는 당면문제를 도출하고, 농기계 사고실태 파악과 함께 농기계 관리제도 도입에 따른 효과와 문제점을 구체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효율적인 관리제도 방안을 제시한 가장 최근에 이루어진 농기계 관련 연구 보고서이나, 농기계산업이 당면한 문제를 타개하기 위한 방안으로 수출확대 를 다루고 있지는 않음. ○ 김경욱(2011)은 국내 농기계산업 현황, 농기계 구입 지원 제도, 해외 농기계 시장 동향과 전망 등을 제시하고 있으나, 이 자료는 연구보고서 성격이 아 닌 현황 소개를 위한 특집 형태의 원고로 수출확대 방안의 제시까지는 언급 하고 있지 않음. ○ 이와 같이 농기계산업과 관련된 기존의 연구과제는 현황과 문제점 분석, 제.

(25) 5 도 개선, 해외 시장 동향 파악 등 농기계산업 전반의 정책 방향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 성격이 많으며, 농기계 수출확대 방안이나 수출지원을 위한 농기 계수출 종합유통지원센터 설립 등과 관련된 선행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임.. 3. 연구 범위·방법 및 연구내용. 3.1. 연구 범위와 방법 ○ 본 연구의 연구대상 지역은 충청남도 천안시 한국농기계공업협동조합의 농 기계수출 종합유통지원센터 건립용 부지이며, 연구내용 측면의 범위는 농기 계산업 및 농기계지원센터 후보지를 둘러싼 여건 및 환경 분석, 농기계수출 종합유통지원센터 기본계획 수립, 타당성 분석임. ○ 농기계 생산 및 보급 현황 등 기초 통계 파악을 위해 농림수산식품부, 농촌 진흥청, 통계청 등의 통계자료 및 선행 조사연구 등을 활용하였으며, 농기계 수출지원 종합유통지원센터 이용 의향 등을 파악하기 위해 농기계 업체 관 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음. - 농기계 제조업체 80개사를 대상으로 2012년 2월 우편 설문조사를 실시 하였으며, 이중 총 29개사가 응답하여 회수율은 36.3%로 나타남. 표 1-1. 농기계 제조업체 관계자 설문조사 실시 현황 단위: 개사. 농기계 관련 제조업체. 조사 대상. 응답 수. 회수율(%). 80. 29. 36.3.

(26) 6 ○ 농기계수출 종합유통지원센터 건립의 재무성 및 경제적 타당성 분석은 비 용·수익 분석법, 산업연관분석을 활용하였으며, 농기계 수출액 전망은 수출 함수를 설정하는 등 계량경제학적 방법을 이용하였음. ○ 또한, 농기계업체, 한국농기계공업협동조합, 학계, 정부(농림수산식품부, 농 촌진흥청 등) 등 관련 전문가로 자문단을 구성하여 「농기계 수출 촉진 정책 워크숍」을 개최함으로써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였음. 표 1-2. 농기계 수출 촉진 정책워크숍 개최 현황 개최일 및 장소 ∙ 2012. 3. 29(목) 15:00~18:00, 과천 그레이스호텔 회의장. 발표자. ∙ 강창용 박사(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위원) - 발표제목: 국내외 농기계시장 전망 ∙ 김기훈 과장(농림수산식품부) - 발표제목: 농기계수출활성화 지원정책 ∙ 김학태 본부장(동양물산기업(주)) - 발표제목: 동남아시아 농기계시장과 진출전략 ∙ 송영훈 팀장(LS엠트론(주)) - 발표제목: 중국 농기계시장과 진출전략. 토론자. ∙ ∙ ∙ ∙ ∙ ∙ ∙. 농림수산식품부: 이범섭 사무관 등 농촌진흥청: 강창호 부장, 신승엽 박사 한국농기계공업협동조합: 허인구 전무, 농기계수출협의회: 김병관 회장 등 한국농기계학회: 이중용 총괄이사 등 농기계회사: 김래경 상무, 이종하 상무 전문지 기자: 차재선 대표이사, 이남종. 등 이시민 부장 등. 등 차장 등. ○ 이탈리아의 농기계산업 동향 및 수출지원 실태를 파악하여 시사점을 도출하 고자 원고를 의뢰하여 정리하였음. 표 1-3. 이탈리아의 농기계산업 관련 외부 원고 의뢰 성 명 이운용. 소속 및 직위. 원고 의뢰 내용. 로비고 대학 조교과정 이탈리아의 농기계산업 동향 및 수출지원 실태.

(27) 7. 3.2. 연구내용 ○ 이상과 같은 연구 대상 범위와 방법을 기초로 본 연구보고서를 다음과 같이 구성하였음. - 제1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선행 연구 검토, 연구범위와 방법 등 을 제시하였음. - 제2장에서는 농기계 시장 동향 및 수출입 실태, 농기계 생산업체 현황, 농기계산업을 둘러싼 문제점 등을 기술하였음. - 제3장에서는 세계 농기계 시장 분석, 세계 농기계 시장 전망, 국내 농기 계 기업의 해외 수출확대 가능성 등을 정리하였음. - 제4장에서는 농기계수출 종합유통지원센터 건립의 필요성, 역할 및 활 용, 농기계수출 종합유통지원센터 입지 예정지 환경 분석 등을 구체적으 로 분석하였음. - 제5장에서는 농기계수출 종합유통지원센터와 관련된 국내외 유사사례를 검토한 후 시사점을 제시하였음. - 제6장에서는 2~5장의 분석 자료를 토대로 농기계수출 종합유통지원센 터 기본 구상과 사업 추진 계획을 상세히 마련하였음. - 제7장에서는 농기계수출 종합유통지원센터 건립의 재무성 분석, 경제적· 정책적 타당성을 분석하여 명기하였음. - 제8장에서는 앞장에서 정리된 내용을 요약하고, 향후 과제 등을 언급하 였음..

(28)

참조

관련 문서

이를 위해 자관 실정에 맞는 도서관자동화시스템을 선정·개발 하기 위한 전략 및 계획 수립, 도서관 업무 분석, 기능 설정 등 내부적인 조정, 타기관도서관자동화시스템

본인은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진흥사업단에 제출하는 연구지원사업 관련 계획 서 및 보고서 등 심사 ·평가와 관련된 모든 서류를 확인하였습니다..

더불어 구술자 료를 하나의 컬렉션으로 자체 생산하기 위해서는 구술자료가 국립중앙도서 관의 장서개발지침의 제작 범위에 포함될 수

2 동물장묘업의 규제합리화를 위한 법제분석 농림축산식품부 장은혜 3 법령상 단체에 대한 법적 규율의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여성가족부 이유봉 4 상품권의 발행

[r]

그 어린애를 치어 죽인 운전수도 바로 저구요 , 그 여인을 교살한 하수인도 바로 저구요 ,. 그 은행갱 도주범도

 이해관계자 관리 계획 수립 프로세스는 식별된 이해관계자의 프로젝트 에 대한 요구사항 및 관심사항, 프로젝트에 미치는 영향력 등의 분석 결 과를

계획의 목표에 맞게 선행되어진 분석 내용을 상대적 중요 성을 검토하는 개발 및 계획 여건이 가지는 문제점 종합분.. 관광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