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국내 농기계 기업의 해외 수출확대 가능성 진단

3.1. 해외 수출확대의 국내외 여건

○ 세계 농기계시장 규모는 향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우리나라 농기 계 기업들의 노력 여하에 따라 수출확대 가능성은 충분할 것으로 판단되나, 우리의 기술이나 가격, 인프라 등의 수준이 어느 정도인지 파악을 통해 수 출확대 가능성을 진단해야 함.

○ 우리나라의 주요 농기계 생산기술은 1990년대까지만 해도 대부분 선진국으 로부터 도입·활용해 왔으나, 이제는 상당부분의 생산관련 기술이 국산화되 었기 때문에 생산기술면에서 세계수준에 도달해 가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 고 있음.

- 그러나 국제적으로 환경규제가 강화되면서 관련기술 개발에서 어려움이 예상되는데, 디젤엔진의 미국 환경기준인 TIER3, 4의 적용에 따른 기술 을 개발하고 있음.

○ 우리나라는 농기계 전반적으로 과거에 비해 가격경쟁력을 여전히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품질 역시 선진국에 근접할 정도로 좋아지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음.

- 다만, 일부 기술적 측면에서 개선하고 개발해야할 부분들은 남아있어서 세계시장 진출 시에는 미흡한 분야에 대한 기술개발투자가 필요함.

○ 농기계 원천기술 수준은 여전히 상대적으로 낮은 상황이며, 만족할 만한 기 술개발과 투자가 미흡한 것은 이를 지지할 수 있는 규모의 시장이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임.

- 우리나라의 IT기술은 세계 최강이기 때문에 농기계에 접목 시 강력한 경

48

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세계 굴지의 기업들과 어깨를 나 란히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므로 이를 보완할 경우 해외 수출확대 가 능성이 높음.

그림 3-3. 국내외 농기계 기술개발 동향(트랙터)

자료: 최낙우, “농기계산업의 당면과제”, 「KREI 2011 농기계워크숍」, 한국농촌경제 연구원, 2011. 3.

○ 세계 농기계시장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관련된 정보를 우선 확보 해야 하나, 우리나라의 경우 보다 체계적인 채널이 구축되어 있지 않아 가 장 원시적인 기업출장, 거래처 부탁, 전시회 정도에서 정보를 얻고 있는 실 정임.

- 농기계 기업 단독으로 정보를 수집하는 데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집단적 인 조직을 만들거나, 기존의 조직을 활용하여 해외 농기계시장에 관련된 정보를 수집, 가공, 분산함과 동시에 바이어들을 연계해 줄 경우 빠른 시 일 내에 세계 농기계시장 점유율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보임.

- 농기계 기업들의 홍보와 기획력 수준은 2005년 50~70% 수준에서 2011 년에는 70~80% 수준으로 현격히 증가한 것은 사실이지만, 여전히 ① 관

련인력 부족, ② 현지 정보수집능력 부족, ③ 예산의 부족, ④ 현지화 전 략 부족 등 장벽에 막혀 있어 이를 해소하는 것이 시급함.

표 3-12. 우리나라의 농기계 해외정보 수집원별 비중

단위: %

2005 2011

현지 판매망이나 출장 21.1 26.5

KOTRA 26.3 9.0

신문, 인쇄물, 인터넷 21.1 16.2

거래처 10.5 29.9

전시회, 기타 21.0 18.4

계 100.0 100.0

자료: 조사결과.

○ 종합적으로 우리나라 농기계 기업의 해외시장 진출 확대 가능성은 세계 시 장규모 확대와 함께 특히 고성장이 예상되는 아시아 국가와 지리적으로 인 접하고 있어 물류비 부담이 적고, 최근 한류 열풍 등의 영향으로 시장 공략 이 보다 용이하기 때문에 매우 높을 것으로 판단됨.

○ 그럼에도 불구하고 각 분야별로는 세계시장에서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대 응책 마련이 요구되며, 이를 극복할 경우 농기계 수출확대 가능성은 더욱 커질 것으로 보임.

- 선진국 농기계 산업과 비교할 때 세계시장에서 우리 농기계산업은 품질 과 가격경쟁력이 어느 정도는 확보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있으며, 이는 적극적인 해외시장 진출에 도움이 되는 부분임.

- 그러나 문제는 해외 마케팅 소프트웨어인 정보와 전략 구사능력이 상대 적으로 떨어진다는 점인데, 이는 농기계업계에서도 수긍하고 있으므로 결국 이 부분을 어떻게 지원, 확립하느냐가 장차 국내 농기계의 수출산 업화와 연계된다고 할 수 있음.

50

표 3-13. 우리나라 농기계산업의 해외시장 공략을 위한 대응방안 대응 방안

품질경쟁력 ① 지속적인 신기술개발, ② 생산라인 자동화, ③ 품질관리 역량 강 화, ④ 협력업체 질적 수준 향상

가격경쟁력 ① 꾸준한 원가절감, ② 제품고급화, ③ 부품공용화, 파생기종 최소화,

④ 적절한 환율방어

정보경쟁력 ① 해외 정보수집 능력 제고, ② 전문인력 확충, ③ 해외시장 개척 인 프라 구축, ④ 현지 전시회 참여 등 교류 증대

관리경쟁력 ① 전문인력 확충, ② 정보의 전산화 시스템 구축, ③ 업무표준화·메 뉴얼화, ④ 해외수출과 기획 관련 교육 강화

자료: 조사결과.

3.2. 해외시장 확대 기본 전략

3.2.1. 기본방향

○ 해외 농기계시장에 진입하여 국내 농기계기업들의 지분을 확대하기 위해서 는 중장기적이면서 현실적인 기본방향을 정립하고 구체적인 전략과 전술로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함.

- 본 연구의 목적이 이러한 구체적인 상황분석과 예측을 바탕으로 수출확 대 방안을 강구하는 것은 아니지만, 어느 정도 이 부분에 대한 인식과 검토가 이뤄져 왔기 때문에 이를 기초로 기본적인 전략을 세우고자 함.

○ 농기계 해외시장 확대의 기본방향으로는14 첫째, 국가수출산업으로 농기계 산업 인식임.

- 해외 농기계시장의 규모와 성장, 지역적 성장을 특징의 등을 고려할 경

14 기본적으로 해외시장 확대 방향은 앞에서 제시한 국내외 농기계시장과 관련된 환경 변화, 업계의 의견을 반영하여 작성함.

우 충분히 우리 농기계산업의 세계시장 접근이 가능하고 장차 국가 수출 산업으로 위상을 제고, 확립할 수 있다고 보기 때문임.15

- 아울러 국내 농기계시장은 상당히 침체되어 있으며, 농업부문의 위축 상 황으로 인해 1990년대와 같은 내수 확대를 경험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기 때문에 조속히 농기계를 수출산업으로 인식 전환하는 것이 중요 함.16

○ 둘째, 국내 농업발전과 농기계 산업의 발전을 동시에 추구해야 함. 농업발전 의 근간은 고품질, 저가의 농자재공급과 활용인데 그 가운데 농기계의 역할 은 재론의 여지가 없음.17

- 또한, 미래 농업에서 농기계는 더욱 다양한 기능과 발전을 도모하여 농 업발전에 기여할 것이며, 특히 고성능 농기계를 안정적으로 생산, 공급 하고 가격 역시 안정화된다면 농업소득 증대에 도움을 줄 것임.

○ 셋째, 아시아·태평양 연안 개발도상국을 중심으로 한 권역별·국가별로 전략 적인 기종을 선정·집중 공략해야 함.

- 아시아·태평양 지역은 지리적으로 우리와 가까운 지역이면서 개발도상 국 혹은 저개발국이 집중되어 장차 농기계시장의 성장이 상대적으로 빠 를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이 지역과 국가에 집중하는 것이 중요함.

- 구매력 측면에서 불리한 점이 없지 않지만 ODA 혹은 현물 차관의 형태 를 취할 경우, 아울러 경제개발 지원이라는 프로젝트와 연계할 경우 어 렵지 않게 농기계와 다른 기자재의 수출로 이어질 수 있음.

○ 넷째, 해외개발과 협력사업의 연계성을 제고하는 방향을 설정해야 함.

15 농림수산식품부, 󰡔농업기계화 기본계획(’12~16)󰡕, 2011.12. P.65.

16 강창용·박현태(2005), P.235.

17 김병갑 외(2011), 농림수산식품부(2012), P.63.

52

- 현재 다양한 모습으로 이뤄지고 있는 공적지원사업(ODA)나 개발도상국 혹은 저개발국에 대한 지원형태18로 농기계를 강력하게 활용하게 됨으로 써 국가의 경제적 이익과 동시에 협력관계의 공고화를 통한 간접적인 수 혜를 창출할 수 있다고 판단하기 때문임.

3.2.2. 세부 전략

○ 상기와 같은 기본방향 하에서 농기계 해외시장 공략을 위한 세부 전략은 구 체적(Specific), 측정 가능한(Measurable), 실현 가능한(Attainable), 현실적 (Realistic), 시한설정(Time-Based)의 이른바 SMART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최선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