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Study on the Movements of Birds among Patches in Seongnam Urban Ecosystem

문서에서 생태환경논집--제2권-제1호 (페이지 144-159)

Lee, Jangho*⋅Park, ChanRyul**

*Natural Environment Research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Forest Ecology Division,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In order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as related to green space network in Seongnam City, censuses of bird movement were conducted at 20 sites in four landuse patch types (apartment-road-apartment type (A-R-A type), rowhouse-road-apartment type (H-R-A type), forest-road-

apartment type (F-R-A type), forest-rowhouse type (F-H type)). In path types isolated by roads, the F-R-A type had higher number of bird species moving across the roads compared to the A-R-A type and H-R

-A type. This means that patches including forest could have high bird diversity by movement of various birds. Medium-size birds such as Feral Pigeon (Columba livia), Magpie (Pica pica), and Brown-eared Bulbul (Hypsipetes amaurotis) had over 94% frequencies of the movement over 3 m height across the roads. However, small-size birds as Tree Sparrow (Passer montanus) and Tits (Parus spp.) had about 66% and 67%

frequencies of the movement over 3 m height, respectively. Moreover, in case of movements below 3 m height, Tree Sparrow and Tits had about 34% and 33% frequencies, respectively. Therefore, small birds moving across roads could collide with vehicles. Bird using street trees as a nest was no more than Magpie and there was only 10 nest trees of 2,372 surveyed trees. Our findings showed that it is important to maintain green

space such as forest near urban area in order to increase bird diversity in Seongnam urban ecosystem.

Keywords Bird movement, Landuse patch, Isolation, Green space.

오충현*⋅박은하**

서울과 같은 대도시는 건물의 밀도 증가, 도로 포장, 산업 활동, 인구 집중 등 으로 도시열섬 현상을 겪고 있다. 본 연구는 도시 지역의 열섬문제에 대한 해결대 안으로 도시녹지의 기능에 대한 검증을 연구 목적으로 하였다.

2009년 6월 24일부터 8월 24일까지 두달 동안 서울시를 대상으로 냉섬(공원, 산림) 7개지역과 열섬(상업 및 업무지역, 주거지) 9개 지역의 온도를 측정하였다.

산림지역에 비해 공원지역은 3~7℃, 주거지는 2~8℃ 높게 나타났다. 상업업무지 역의 경우 산림지역에 비해 7~12℃ 높게 나타났다. 토지이용별 평균온도는 상업 업무지역이 32.45℃, 주거지가 29.89℃, 냉섬지역인 공원과 산림지역이 각각 29.34℃, 26.11℃로 토지이용 특성에 따라 온도차이가 구분되어 나타났다.

이와 같은 기온차이는 토지이용특성 및 이에 따른 녹지량의 차이에 근거한다.

하지만 도시는 주거지 및 상업지역과 같은 시가화 지역의 경우 높은 지가 등으로 인해 대규모 녹지를 확보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소규모 녹지를 생 활권 주변에 집중적으로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주제어 토지이용, 냉섬지역, 평균온도, 녹지 확보 8)

* 동국대학교 바오이환경과학과.

** 동국대학교 대학원 바이오환경과학과.

Ⅰ. 서 론

오늘날 우리는 우리나라 전체 인구의 약 90%가 도시에 거주하는 시대 에 살고 있다. 우리 사회는 광복 이후 급속한 산업화 과정을 거치면서 세 계에서 유래를 찾아보기 힘든 급격한 도시화 과정을 겪었다. 그 속도는 많이 둔화되었지만 지금도 여전히 도시화는 진행중이다.

우리나라의 도시현황을 살펴보면, 2009년 말 현재 우리나라의 전체면 적은 99,852㎢이며 도시면적(도시계획구역 면적)은 16.085㎢로 전체 국 토면적의 15%가 도시지역이다. 2009년 말 현재의 우리나라 전체인구는 49,773,145명이며, 이중 도시인구(도시계획구역 인구)는 42,805,434명으 로 전체인구 대비 88.7%가 도시에 거주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인구밀도가 조밀한 서울의 경우를 살펴보면 서울은 2009년 말 현재 전체면적이 605.7㎢로서 국토면적의 0.6%에 해당한다.

인구는 10,208,302명으로 전체인구의 20.5%가 서울에 살고 있다. 수도권 (서울시, 경기도, 인천시)의 경우를 살펴보면 수도권의 도시면적은 3.021

㎢로서 국토면적의 3%이며, 수도권 지역의 인구는 24,379,491명으로 전 체인구의 49.0%에 해당한다.1)

서울의 토지이용현황을 살펴보면 서울은 약 60%가 시가지로 조성되어 있고 나머지 40%가 산림이나 하천, 공원, 경작지 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토지이용의 특성상 서울은 60%에 해당하는 시가화 지역의 물순환 환경을 잘 유지하는 것이 도시생태계 관리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하지만 서울은 전체면적의 48%가 빗물이 스며들 수 없는 지역으로 되어 있어 토양의 불투수 정도가 매우 심각한 실정이다. 토양의 포장 유형은

1) 자료 : 행정안전부, 2010, 주민등록인구 홈페이지 자료

건축물이 들어선 공간, 포장도로, 주차장, 광장 등으로 구분해 볼 수 있다.

1. 연구 대상지 및 연구 방법

각 지역의 온습도 변화는 자동온습도 데이터 로거인 MicroLog Compact Data Logger를 이용하여 20분 간격으로 온습도 데이터(최저온도, 최고온 도, 평균온도, 습도)를 수집하였다. 데이터 로거는 사람의 간섭에 의한 오 류를 피하기 위해 통풍이 되는 나무상자를 보호 장치로 사용하여 지상으 로부터 2.5m 높이에 설치하였다.

3. 결과 및 고찰

(1) 지역별 열섬 특성

토지이용특성을 고려하여 서울시내 총 16개소를 대상으로 여름철 2달 동안의 온도변화를 측정한 결과 일 최저온도는 산림지역인 관악산이 16.67℃로 가장 낮게 측정되었고 일 최대온도는 도심지역인 왕십리역 주 변이 38.34℃로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각 대상지별 최대온도와 최저온도 의 차이는 도심지역인 왕십리역 주변이 19.34℃로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산림지역인 수락산이 12℃로 가장 온도차가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2달 동안 각 대상지별 평균온도는 산림지역인 수락산이 22.64℃로 가장 낮게 나타났고 도심지역인 테헤란로가 26.6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냉섬지역의 경우 공원과 산림으로 구분하였는데 그 중 공원지역은 서 울숲이 최저온도가 18℃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최대온도는 청계천이 33.67℃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산림은 관악산이 16.67℃로 최저온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고 최대온도 또한 31.3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열섬지역의 경우에는 도심지와 주거지로 구분하였는데 도심지역중 청 량리역 주변이 최저온도가 18.67℃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왕십리역 주 변이 38.34℃로 최대온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주거지의 경우 상계 주 공아파트 주변이 18.34℃로 최저온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고 서초동 무지

개아파트 주변이 36.34℃로 최대온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왕십리역 주변으로 38.34℃를 나타났다. 반면 동일 시간대에 가장 시원한 곳은 수락산으로 왕십리에 비해 12℃가 낮은 26.34℃로 나타났다. 전체 적으로 산림지역에 비해 공원지역은 3~7℃가 높게 나타났으며 주거지는 2~8℃ 높게 나타났다. 상업업무지역의 경우 산림지역에 비해 7~12℃ 높 게 나타났다. 토지이용별 평균온도는 상업업무지역이 32.45℃, 주거지가 29.89℃, 냉섬지역인 공원과 산림지역이 각각 29.34℃, 26.11℃로 토지이 용 특성에 따라 온도차이가 구분되어 나타났다.

비교 결과 당일 동일시간대에 가장 온도가 높은 곳은 왕십리역과 서울 시청 주변으로 33℃를 나타냈다. 반면 당일 동일 시간대에 가장 시원한 곳은 관악산 23.34℃로 나타났으며 왕십리와 서울시청 주변에 비해 9.6 6℃가 낮았다. 전체적으로 산림지역에 비해 공원지역은 4~7℃가 높게 나 타났고 주거지는 4~8℃ 높게 나타났다. 반면 상업업무지역의 경우 산림 지역에 비해 8~10℃ 높게 나타났다. 토지이용별 평균온도는 상업업무지 역이 32.35℃, 주거지가 29.89℃ 공원지역이 29.34℃, 산림지역이 26.1 1℃로 상업업무지역과 산림지역이 6.34℃로 야간시간에도 토지이용 특성 에 따른 도시열섬 현상이 명확하게 타나났다.

구 분 장 소 최고온도(℃) 온도차(℃)

구 분 장 소 최저온도(℃) 온도차(℃)

도 도심지(왕십리역)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산림지역(수락산)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일 최저온도는 산림지역 < 공원 < 주거지 < 도심지 순의 분포 를 보여 산림지의 기온이 가장 낮고 도심지가 가장 높은 온도를 나타냈다.

<그림 1> 서울시 토지이용별 여름철 평균온도 (2009.6.24-8.24)

<그림 2> 서울시 토지이용별 여름철 최고ㆍ최저온도 (2009.6.24-8.24)

3. 결 론

우리나라의 대표 도시인 서울을 대상으로 도시열섬 저감을 위한 녹지 의 기능을 검증하기 위해 하절기 2개월 동안 기온을 측정하여 분석한 결 과 녹지의 열섬 저감 효과는 탁월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특히 산업혁명기

도심지역과 도시외곽의 녹지지역의 최고 기온의 편차가 약 10℃에 해당 하였던 기록과 유사하게 서울의 경우에도 주간 최고 12℃의 온도차가 있 는 것으로 규명되었다.

이와 같은 기온차이는 토지이용특성 및 이에 따른 녹지량의 차이에 근 거한다. 하지만 도시는 주거지 및 상업지역과 같은 시가화 지역의 경우 높은 지가 등으로 인해 대규모 녹지를 확보하는데는 상당한 어려움이 있 다. 따라서 소규모 녹지를 생활권 주변에 집중적으로 조성하는 것이 필요 하다.

생활권 녹지의 온도 저감효과를 보기 위해 공원지역의 온도를 측정한 결과 열섬현상이 발생하는 시간대에 상업지역에 비해 공원지역이 평균 4.28℃ 온도가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결과는 주거지 및 상업지역과 같은 시가화 지역의 경우에도 공원이나 가로수 등의 도시녹지를 확보할 경우 에어콘과 같은 냉각수단을 활용하지 않고도 자연적으로 냉각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이와 같은 녹지들은 냉각효과 이외에도 동식물의 서식공간을 제공하는 도시생물다양성 증진을 위한 중요한 수단 이 될 수 있으므로, 적극적으로 확충 및 보호하는 것이 필요하다.

투고 2014년 6월 5일, 심사 2014년 6월 5일, 게재확정 2014년 6월 13일.

참고문헌

건설교통부ㆍ한국건설기술연구원, 생태도시조성 핵심기술 개발연구, 2002 구해정, 서울시 도시 열섬 구조의 변화에 관한 연구. 기후연구2(2):67-78,

2007

서울그린트러스트, 도시열섬현상과 도시숲의 역할, 2009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서울시 도시생태현황도, 2005

오충현, 도시열섬 대책 추진지역의 지정과 도시개발의 체계적 관리, 서울그 린트러스트, 2010.

이재준, 기후변화대응 저탄소 녹색도시 조성전략 워크샵 자료, 2009.

이현영, 서울의 도시기온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 문, 1986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 현황, 2010.

환경부, 친환경적 도시계획수립방안 연구, 2000.

Breust, Urban Ecology, SpringerC. A. Federer(1976) Trees Modify the Urban Microclimate, 1997.

Gene W. Grey, Frederick J. Deneke, Urban Forestry. Krieger Publishing Company, 1986.

R. W. Miller, Urban Forestry, Prentice Hall, 1997.

╷Abstract╷

문서에서 생태환경논집--제2권-제1호 (페이지 144-1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