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결과 및 고찰

문서에서 생태환경논집--제2권-제1호 (페이지 88-98)

Urban forest and Bio-diversity’s crisis

Ⅲ. 결과 및 고찰

1. 한강밤섬의 식물상 및 생활형

한강밤섬의 식물상은 42과 97속 112종 22변종 4품종으로 총 138분류 군이 확인되었다. 이 중 아랫밤섬에서 37과 82속 92종 15변종 1품종 총 108분류군이 확인되었고, 윗밤섬에서 33과 75속 80종 19변종 4품종 총 103분류군이 확인되었다.

분류군별 출현비율을 보면, 국화과(Compositae)가 23분류군(16.67%) 으로 가장 많은 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그 다음으로 벼과(Gramineae) 14 분류군(10.14%), 사초과(Cyperaceae) 10분류군(7.25%) 순으로 나타났다.

<표 1> 한강밤섬의 식물상 현황

종류 과 속 종 아종 변종 품종 합계

양치식물 1 1 1 - - - 1

나자식물 - - - - - - -

피자 식물

단자엽식물 8 21 22 - 8 - 30

쌍자엽식물 33 75 89 - 14 4 107

소계 41 96 111 - 22 4 137

합계 42 97 112 - 22 4 138

조사지역의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은 환경부에서 지정하고 있는 멸종위 기야생식물은 발견되지 않았으며,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 중 약관심종 (LC)에 해당하는 낙지다리 1분류군이 확인되었다. 법정보호종으로 서울 시 보호종 긴병꽃풀 1분류군이 확인되었고 특산식물은 능수버들, 키버들 2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10과 26종이 조사되었으며 국화과가 13분류군으로 출현비 율이 가장 높았다. 귀화율은 18.8%로 2010년 기준 서울시 하천지역 귀화 율인 32.3%에 비해 낮은 값을 보이고 있다(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10).

이는 밤섬이 교란에 의한 외래식물 유입이 빈번한 하천지역이기는 하지 만 한강의 가운데 고립되어 있고, 사람들의 출입이 엄격하게 통제되어 인 간에 의한 간섭이 다른 하천변에 비하여 현저히 적게 일어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표 2> 한강밤섬의 귀화식물 목록

좀명아주 Chenopodium ficifolium Smith 비름과 Amaranthaceae

족제비싸리 Amorpha fruticosa L.

토끼풀 Trifolium repens L.

소태나무과 Simaroubaceae

가죽나무 Ailanthus altissima (Mill.) Swingle for. altissima

박과 Cucurbitaceae

가시박 Sicyos angulatus L. 생태계교란식물

바늘꽃과 Onagraceae

달맞이꽃 Oenothera biennis L.

큰달맞이꽃 Oenothera erythrosepala Borbas 국화과 Compositae

가시상추 Lactuca scariola L.

망초 Conyza canadensis (L.) Cronquist 기생초 Coreopsis tinctoria Nutt.

미국쑥부쟁이 Aster pilosus Willd. 생태계교란식물 지느러미엉겅퀴Carduus crispus L.

개망초 Erigeron annuus (L.) Pers.

미국가막사리 Bidens frondosa L.

단풍잎돼지풀 Ambrosia trifida L. var. trifida 생태계교란식물 도꼬마리 Xanthium strumarium L.

비짜루국화 Aster subulatus Michx.

서양등골나물 Eupatorium rugosum Houtt. 생태계교란식물 털별꽃아재비 Galinsoga ciliata (Raf.) S.F.Blake

큰비짜루국화 Aster subulatus var. sandwicensis A.G.Jones

벼과 Gramineae

미국개기장 Panicum dichotomiflorum Michx.

Raunkiaer의 생활형 분석을 통해 본 밤섬 식물상은 1년생 식물(Th),

로 가장 많은 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장미과(Rosaceae) 18분류군(9.6%), 벼과 14분류군(7.4%), 마디풀과(Polygonaceae)와 콩과(Leguminosae)가 각각 7분류군(6.5%) 순으로 나타났다.

<표 4> 진관동 습지의 식물상 현황

종류 과 속 종 아종 변종 품종 합계

양치식물 1 1 1 -  - - 1

나자식물 4 5 6 -  -  1 7

피자 식물

단자엽식물 8 22 25 -  5 - 30

쌍자엽식물 50 112 120 - 22 8 150

소계 58 134 145 - 27 8 180

합계 63 140 152 - 27 9 188

조사지역의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 서울시 보호종은 확인되지 않았다.

특산식물로 개나리, 벌개미취, 키버들, 회양목 4분류군이 확인되었으나 벌개미취, 키버들을 제외한 나머지 분류군은 식재된 종으로 특산식물의 의미를 부여하기 어렵다.

귀화식물은 10과 26종이 조사되었으며 국화과가 11분류군, 마디풀과 가 3분류군으로 출현비율이 높았다. 귀화율은 13.8%로 2010년 기준 서 울시 산림지역 귀화율인 13.3%에 비해 약간 높은 값을 보이고 있다(서울 시정개발연구원, 2010). 이는 진관동 습지가 생태⋅경관보전지역으로서 관리되고는 있으나 대상지 내부 사유지로 인해 지속적으로 교란이 이루 어져 왔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표 5> 진관동 습지의 귀화식물 목록

과명 식물명 비고

마디풀과 Polygonaceae

닭의덩굴 Fallopia dumetorum (L.) Holub 소리쟁이 Rumex crispus L.

애기수영 Rumex acetosella L. 생태계교란식물

명아주과 Chenopodiaceae

개망초 Erigeron annuus (L.) Pers.

단풍잎돼지풀 Ambrosia trifida L. 생태계교란식물

돼지풀 Ambrosia artemisiifolia L. 생태계교란식물

망초 Conyza canadensis (L.) Cronquist 미국가막사리 Bidens frondosa L.

미국쑥부쟁이 Aster pilosus Willd. 생태계교란식물 비짜루국화 Aster subulatus Michx.

서양민들레 Taraxacum officinale Weber 주걱개망초 Erigeron strigosus Muhl.

큰금계국 Coreopsis lanceolata L.

털별꽃아재비 Galinsoga ciliata (Raf.) S.F.Blake 벼과 Gramineae

미국개기장 Panicum dichotomiflorum Michx.

오리새 Dactylis glomerata L.

Raunkiaer의 생활형(휴면형) 분석을 통해 본 진관동 생태⋅경관보전지

결과로 나타난 속성을 도시습지의 일반적인 특성으로 고려하기에는 무리 가 따른다. 따라서 추후 보다 다양한 대상지에 대한 추가조사를 통해 유 형별 특성을 비교⋅분석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투고 2014년 4월 15일, 심사 2014년 5월 9일, 게재확정 2014년 5월 16일

참고문헌

Lim. Y. J. and Jung. Eui. Sik, Distribution of Naturalized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J. Ecol. 23(3-4): pp.69~83, 1980.

Melchior, H. A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band Ⅱ.

Gebruder Bornteaeger, Berlin, 1964.

Muller-Dombois and Ellenberg, Aims and Methods of Vegetation Ecology, Newyork, p.547, 1974.

Numata. Naturalized plant, Environmental science library-13, Japan publisher, 1975.

Raunkier, C. Life Forms of Plansts and Statistical Plant Geography, Charendon Press, Oxford, p.682, 1934.

Yim, Y.J., G.H. Park and J.K. Shim. Geographical significance of Raunkiaer's life form spectra in South Korea. Institute of Technology and Science 9: pp.5-2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82.

Yim, Y.J., G.H.⋅Park, J.K. Shim, Geographical Significance of RaunKiaer's Life Form Spectra in South Korea. Publication Committee for Retirement C. 1991.

spellberg, I.F. monitoring ecological chan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p.334, 1991.

╷Abstract╷

문서에서 생태환경논집--제2권-제1호 (페이지 88-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