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맺는 말 : 도시묘지의 새로운 역할

문서에서 생태환경논집--제2권-제1호 (페이지 54-57)

서울시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도시이자, 가장 빠른 사회적 변화를 안 고 발전해 가는 도시이다. 서울시의 세대 구성은 단독세대가 약 24%를 차지하고 있다. 도시 인구 증가로 인한 에너지 사용량의 증가와 도시열섬 의 영향 등에 관심이 많고, 따라서 친환경적이고, 자연친화적 생활양식을 추구하고자 하는 움직임도 활발하다. 그만큼 국가와 지자체가 신경 써야 할 복지서비스의 대상이 되는 인구도 많고 복지서비스의 요구도가 매우 높은 지역이다.

그렇기 때문에 도시묘지는 이러한 이용자의 요구와 변화하는 사회문화 적, 경제적인 환경에 맞춰 생태계서비스에 대한 유형별 요구가 변화할 수 있다. 묘지는 시신의 처리를 위한 목적이 가장 본질적인 것이지만, 현대 의 도시묘지는 그것을 어떻게 조성하고 유지하는가에 따라 묘지가 제공 할 수 있는 생태계서비스는 달라질 수 있다. 도시묘지가 갖고 있는 잠재 적인 생태계서비스에 대한 평가와 이를 최대한 이용하되 지속가능할 수 있도록 생물다양성을 증가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제 서울시 도시묘지는 과거 가장 근본적이고 기본적인 위생의 목적 을 위한 묘지에서 벗어나 현대 서울시민의 문화적, 사회적, 경제적 수준 에 맞는 법의 제정 취지와 목적이 개선되어야 한다. 관련 법규에서 정하 고 있는 이러한 규정은 묘지의 경관과 영속성에 영향을 주게 되며, 아름 다운 경관으로 인해 인증을 받고 이를 자랑스럽게 여길 수 있는 문화적 환경을 만드는데 큰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묘지의 자연환경이 오랜 세월이 흐르면서 크고 울창한 숲을 이루 어 생태적으로도 건강한 환경이 만들어지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묘지 를 정성 들여 가꾸면서 추모하는 방법적인 새로운 대안도 찾아보아야 한 다. 예를 들어 분해되는데 수 백 년 이상 걸리는 플라스틱 조화사용을 금 지하고, 작고 아담한 꽃밭을 만들고 가꾸는 등의 묘지 가드닝 또는 내 가 족 꽃밭 만들기 등으로 전환하는 방법이 그 하나가 될 수 있다.

또 한 가지 중요한 것은 서울시립묘지의 이용대상에 대한 규정이다. 서 울시립묘지의 봉안(납골)시설은 현재 자연장을 제외하고는 ‘국가보훈기본 법’에 따른 희생 공헌자(또는 그의 배우자) 또는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따른 수급자로 제한하고 있다. 자연장과 산골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서울 시민들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지만, 이러한 제한 규정은 일반인의 관심 을 멀게 하고 지자체가 제공해 주는 복지서비스라는 인식을 갖지 못하게 하는 결과를 낳았다.

자랑스러운 서울시민을 위한 특별묘역을 지정하여, 서울시의 발전을 위해 노력한 사람들에 대한 노고를 치하할 수 있다면, 선산이 있어도 국 립묘지에 묻히는 것을 영예롭게 여기듯 자랑스러운 서울시민 묘역에 묻 히는 것 또한 영예롭고 자랑스럽게 여길 것이다.

투고 2014년 5월 12일, 심사 2014년 5월 23일, 게재확정 2014년 5월 30일.

참고문헌

김시덕, 도시 장례식장에서 지속되는 상례의 문화적 전통, 실천민속학연구 9: 107-135쪽, 2007.

박태호, 장례의 역사, 서해문집, 2006.

이숙미 외, 일제강점기 서울지역 장묘시설 연구, 동국대학교 산업기술논문 집, 2008.

장철수, 옛무덤의 사회사, 서울: 웅진출판주식회사, 277쪽, 1995.

탁지부, 토지조사참고서, 1, 3호, 1909.

한만수, 「만세전」과 공동묘지령, 선산과 북망산- 염상섭의 「만세전」에 대 한 신역사주의적 해석, 한국문학연구 제39집: 95-137쪽, 2010.

Ehrlich, P. R., A. H. Ehrlich, and J. Holdren, Ecoscience: Population, resources, environment. San Francisco: W. H. Freeman. p.1051, 1977.

Lee, S. M. and C. H. Oh, Changes of Public Cemetery Patterns for Use of Open Space in Seoul. 3rd International Congress on Environmental Planning and Management. Climate Change

&Environmental Planning. pp.128-131, 2009.

Martín-López, B., E⋅Gómez-Baggethun⋅J. A. González, P. L.

Lomas, C. Montes, Chapter 9 The Assessment of Ecosystem Services Provided by Biodiversity: Re-Thinking Concepts and Research Needs. In Handbook of Nature Conservation, 2009.

http://www.berlin.de

http://www.dos.ny.gov/cmty/cemlaw.html

http://www.legislation.gov.uk/ukpga/Vict/10-11/65

╷Abstract╷

문서에서 생태환경논집--제2권-제1호 (페이지 54-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