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연구대상 및 방법

문서에서 생태환경논집--제2권-제1호 (페이지 85-88)

Urban forest and Bio-diversity’s crisis

Ⅱ. 연구대상 및 방법

1. 연구대상지

본 연구는 서울시 생태⋅경관보전지역 중 하천형습지인 한강밤섬과 내

륙습지인 진관동 습지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한강밤섬은 서울시 여의도동 당인동 일대 위치한 하중도로서 윗밤섬과 아랫밤섬 두 개의 섬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총 면적은 241,490㎡이다.

1968년 한강종합개발의 일환으로 폭파된 이후 남아있던 섬의 잔해들을 기반으로 조금씩 모래 퇴적이 일어나 현재의 밤섬 모습을 갖추게 되었으 며 한강개발이 완료된 이후로 지속적인 지형변화를 겪고 있다. 2차에 걸 친 한강종합개발로 인해 한강 서울구간에서 밤섬은 유일하게 자연 상태 의 강변을 유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밤섬에는 해마다 겨울철이 되면 수 많은 새들이 찾아오고, 산란철이 되면 수많은 물고기들이 찾아오는 서울 시 생태의 보고가 되었다. 서울시는 이러한 밤섬의 생태적 가치를 인정하 여 1999년 밤섬을 제1호 서울시 생태⋅경관보전지역으로 지정하여 관리 하고 있으며, 2012년 6월 21일 도시 내부 습지로는 드물게 람사르 습지 로 등록되었다.

진관동 습지는 서울시 은평구 북한산로 일대 북한산성 입구에서 500m 인근의 북한산국립공원 내 위치하고 있으며 총 면적은 16,639㎡이다. 과 거 논농사를 짓던 곳으로 1990년대 홍수로 인해 경작을 중단한 이후 묵 논습지로 발달하였다. 인접한 북한산과 연결되어 서울시 보호야생조류가 다수 출현하고 곤충류, 양서류 등 생물다양성이 풍부하여 서울 같은 대도 시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중요한 습지생태계로 평가되어 2002년 12월 30 일 서울시 생태⋅경관보전지역으로 지정되었다.

2.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도시습지에서 생육하는 식물의 식물상(Flora)과 생활형 (Life form)을 조사하여 도시습지의 다양한 환경조건과 식물의 생활방식 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식물상(Flora)은 어떤 지역의 인문사회환경의 영향은 물론 기후와 풍토 보를 제공해준다(Muller-Dombois and Ellenberg, 1974).

현장조사는 한강밤섬의 경우 2012년, 진관동 습지의 경우 2013년 진

통발 등 10분류군과 환경부 지정 생태계교란 야생생물의 생육여부와 분포 현황도 조사하였다. 귀화식물은 한국식물분류학회(2007)의 국가표준식물 목록의 321분류군을 기준으로 정리하였고, 귀화율(NR: Naturalization rate)은 본 조사지역에서 출현한 총 식물 종수에 대한 귀화식물 총 종수 의 비율(Numata, 1975)로 산정하였으며, 도시화지수(UI: Urbanization index)는 본 조사지역에서 출현한 총 귀화식물 종수에 대한 우리나라 귀 화식물 총 종수의 비율(Lim and Jung, 1980)로 산정하였다. 생활형분류 는 이우철(1996)의 한국식물명고에 따라 분류하였다.

문서에서 생태환경논집--제2권-제1호 (페이지 85-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