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도시묘지 현황

문서에서 생태환경논집--제2권-제1호 (페이지 38-47)

루이스 멈포드(Lewis Mumford) 그의 대표적인 저서 “역사 속의 도시”

에서 도시의 기원에 대해서 죽음의 신성성과 매우 밀접한 연관이 있음을 수차례 언급하고 있다. 사자(死者)의 도시는 생자의 도시의 선구이며, 핵 심을 이루었다고까지 말한다. 식량의 채집과 사냥이 사람들을 일정한 장

소를 주거지역으로 유도하지 못했지만 사자는 적어도 그런 역할을 했다. 선조의 영혼을 달래고 교류하기 위한 목적이 사람들로 하여금 고정된 만 남의 장소를 찾고 결국 지속적인 정주의 장소를 찾도록 하는데 큰 역할을 했던 것이다.

각 나라마다 지형과 기후의 환경적 요인과 더불어 역사적인 시간의 흐 름 속에서 죽음을 대하는 태도와 형식이 변화하게 되었다. 장사를 지내는 방법은 크게 매장과 화장으로 나누고 있지만, 그 외에도 천장, 수장과 같 은 독특한 방법이 사용되기도 한다.

1. 우리나라의 묘지

우리나라도 선사시대의 동굴장, 고인돌에서부터 오늘날 가장 흔한 봉 분형 무덤과 최근 화장률의 증가에 따른 수목장, 자연장에 이르기까지 다 양한 형태의 무덤 형식을 사용해 왔다.

오늘날과 같은 근대적 공동묘지제는 일제강점기에 시작되었다. 이는 도시화와도 연관이 있다. 일제강점기 이전에는 도시나 마을 부근에 북망 산 또는 무주공산으로 불리는 국유림의 일부에 선산을 가질 수 없던 서민 층이 매장을 시작해 자연스럽게 집단적인 묘지를 형성되었다(탁지부, 1909). 그러나 묘지규칙에 의해 공동묘지 이외에는 분묘를 설치할 수 없 게 되었다. 개인 소유의 땅이 있는 자는 선산을 이용하지 못하게 되어 반 발이 있었고, 무주공산에 허가 없이 묘지를 써 왔던 서민들에게는 묘지 사용료의 부담으로 암매장 등 불법 행위가 심했다. 이와 같이 전통적인 장례제도에 대한 급격한 파괴가 가져오는 정서적 반감으로 인해 1918년 묘지규칙이 개정되어 신고만으로 선산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김시덕, 2007; 이숙미, 2007; 한만수, 2010).

서울의 경우 일제 강점기에 설치된 공동묘지의 대부분은 현재는 주택지 가 되거나 본래의 산림으로 돌아가 생태경관보전지역으로 관리되는 경우 도 있다. 공동묘지의 명맥을 이어가고 있는 묘지는 망우리묘지공원이 유일 하다. 그러나 망우리 공동묘지도 이미 1970년대에 매장이 금지되었으며, 도시공원인 묘지공원으로 도시계획시설이 변경되어 현재는 역사적 인물의 학습장과 인근 주민들의 산책과 운동공간으로 이용되고 있다<표 1>.

묘지명 현재의 토지이용

신사리묘지 생태경관보전지역

남가좌묘지, 연희묘지, 동교제 1, 2묘지, 구로리묘지, 신길 묘지, 번대방묘지, 수철리묘지, 이문묘지, 미아리묘지 주택지

홍제묘지, 흑석묘지, 이태원 제2묘지 산림, 주택지

동면묘지 공원

* 출처: Lee, S. M. and C. H. Oh (2009) Changes of Public Cemetery Patterns for Use of Open Space in Seoul. 3rd International Congress on Environmental Planning and Management. Climate Change &Environmental Planning. pp 128

131

<표 1> 일제강점기묘지의 토지이용변화

오늘날 서울시의 묘지는 국가유공자를 위한 국립묘지인 국립서울현충 원, 국립 4.19 민주묘지와 외국인선교사를 위한 서울외국인묘지공원을 제 외하고는 일반인을 위한 매장 가능한 묘지는 존재하지 않는다. 사설묘지 이외에 분묘 설치가 가능한 묘지는 서울시의 행정구역 안팎으로 찾아 볼 수 없지만, 2008년 “장사 등에 관한 법률”이 개정되면서 시행된 자연장이 가능한 시립묘지가 행정구역 밖인 경기도 파주 용미리에 설치되어 있다.

2. 미국의 묘지

미대륙의 원주민들은 매우 다양한 매장관습이 있었다. 지리적으로나 시간적으로 다른 환경, 사회적 구조, 영적 믿음에 따라 다른 형태로 나타 났다. 식민지시대를 거쳐 교회와 가까운 곳의 교회묘지를 이용해 시신을 매장해왔다. 그러다가 대규모 담배농장과 같은 농장을 운영하게 되면서 교회묘지와 농장의 거리가 멀어지게 되었고 농장에 가족묘지를 조성하게 되었다.

1831년 미국도 프랑스 파리의 페르라쉐즈 묘지의 영향을 받아 보스턴 근교 캠브리지에 매사추세츠 원예협회에 의해 Mount Auburn Cemetery 가 조성되었다. 이 묘지를 모델로 하여 미국에서는 “전원묘지운동”(Rural Cemetery Movement)이 시작되었다. 세계 각국이 산업화로 인한 도시의 인구집중으로 매장부지가 부족하게 되고 과밀한 교회묘지의 비위생적인 환경을 개선하고자 하는 노력에서 도시 외곽에 묘지를 조성하게 되었다. 전원묘지운동은 영국의 “정원운동”에서 디자인의 영감을 받아 19세기 영국에서 대중적인 가정적인 풍경으로 개발되었으며, 수많은 나무를 심어 성숙한 숲과 같은 자연적인 기능을 유지하도록 하였다. 현재 700 종에 가 까운 식물이 있고 조류관찰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Mount Auburn Cemetery는 지역주민 뿐만 아니라 전국적으로 나아가 유럽 전역에서 관 광객을 유치하여 매장지로서만이 아닌 대중의 레크리에이션 장소로도 활 용되었다.

전원묘지는 최초 계획할 때부터 대중의 이용을 염두에 두고 조성하였 다. 현재 Mount Auburn Cemetery는 국립공원관리청에서 관리하는 묘지 이며, 묘지에서 주민들과 유족들을 대상으로 가드닝, 생태, 문학, 역사교 육을 진행하고 있다.

심지어는 보통 장례식이 치러지는 예식홀인 Chapel에서 결혼식을 진행 하기도 한다.

3. 영국의 묘지

18세기 후반 교회묘지는 도시의 폭발적인 인구 증가로 인해 비위생적 인 환경의 위협을 느끼기 되었다. 19세기 초 도시묘지는 겨우 60cm 아래 시신을 묻을 만큼 포화상태가 되었고 교회묘지와 교회 지하에 매장하던 관습에 변화가 오기 시작했다. 프랑스 파리에 1804년 페르라쉐즈 묘지가 문을 열었는데 이것은 영국묘지의 영향을 받은 최초의 공동묘지였다. 정 형적이지 않은 픽처레스크(picturesque) 양식이었다.

1850년 대도시 매장법은 런던에서 정부지원의 묘지를 허용했고 이것 은 1863년 법률에 의해 전국각지로 확장되었다. 1850년대에서 1860년대 까지 수많은 묘지들이 설립되었다. 대개의 경우 장례식홀과 기타 건축물 을 설계한 건축가에게 묘지 설계도 위임했는데, 어떤 묘지에서는 전국적 으로 유명한 조경가에게 설계를 의뢰했다. 그리하여 매우 보기 좋은 경관 을 선보이게 되었다.

1900년대 대부분의 마을은 마을 공동묘지를 갖고 있었다. 공동묘지는 시신 안치소일 뿐만 아니라 유족을 위한 휴식장소였으며, 도시가 팽창함 에 따라 녹지로 남아 있는 묘지는 더욱 중요한 기능을 하게 되었다. 이를 인식한 영국 정부는 도시묘지를 대상으로 생물다양성 증진 계획을 수립 하게 되었다.

영국은 화장이 발달한 나라이지만, 오늘날 환경 친화적인 장묘문화에서 가장 앞서가는 나라이다. 1993년 최초의 자연매장지인 "Natural Burial Ground"가 조성되면서, 현재는 전국에 260개소의 자연매장지가 조성되 어있다. 지방자치단체가 운영하는 묘지가 절반이고 나머지는 농장주, 신

탁회사 및 비영리단체 등 지주에 의해 운영되고 있다. 영국에서 시작한 자연매장운동은 1998년 미국에서 “Green Burial” 운동으로 번졌고, 뉴질 랜드, 캐나다, 호주 등지에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2000년 영국 내에는 2,047개의 교회묘지와 공동묘지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들 중 83%는 여전히 매장을 하고 있으며 대부분 문화유산 으로 남아 있다. 묘지유산의 보존은 분묘에 대한 권리가 침해받지 않고 영원히 보장받는 것을 말한다. 하지만 시간이 흘러 자손들이 멀리 떠나고 가족들이 죽게 되면, 가족묘지를 개인적으로 보존하는 것은 어렵게 될 것 이다. 1960년대에는 최대 위기를 맞게 되어 묘지를 운영관리하던 회사가 부도가 나고 영국의 대표적 유적지인 Highgate Cemetery와 Nunhead Cemetery는 일시적으로 사용을 중단하기도 했다. 그러나 지역사회에서는 잡초 투성이의 지역묘지가 야생동물의 서식과 낭만적인 경관에 대해 가 치가 있음을 인식했다.

20세기 말 지방자치단체 예산이 감소하여 묘지 조경을 더 이상 유지할 수 없었지만 방치하지 않았다. 나무는 그 스스로 가치가 있을 뿐만 아니 라 다른 생물들의 서식처를 제공해주었기 때문에 묘지는 역사적, 건축적 가치와 중요성뿐만 아니라 야생동물의 서식처로서의 가치와 어메니티의 가치에 대해 인정받게 되었다.

묘지 보전관리 계획수립은 두 단계로 진행되었는데 첫 번째 단계는 묘 지의 특징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한 단계이다. 장소에 대한 이해와 많은 혜택, 중요성, 이용 가능한 자원, 규제를 파악하는 것이다. 두 번째 단계 는 목표를 달성에 필요한 요소와 수행방법에 대해 결정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노력으로 영국의 묘지와 화장장의 추억의 정원2)은 Green

2) 많은 나라의 묘지나 화장장에서 유골을 화장하여 뿌리거나 묻는 산골장소를

Flag Award3)를 받은 대상지가 2003년 3개소에서 2007년 14개소로 늘 어나게 되었다.

4. 독일의 묘지

독일의 수도 베를린 묘지법 제2조에서는 시립묘지에서 종교나 사상에 관계없이 고인을 존경하는 추도와 추모행위가 가능한 문화시설이라고 규 정하고 있다.

묘지법에서 묘지는 특수한 목적의 도시녹지이고, 그것을 넘어서 주민 들의 명상과 휴식을 위한 중요한 의미가 있는 공간이라고 정의한다. 묘지

묘지법에서 묘지는 특수한 목적의 도시녹지이고, 그것을 넘어서 주민 들의 명상과 휴식을 위한 중요한 의미가 있는 공간이라고 정의한다. 묘지

문서에서 생태환경논집--제2권-제1호 (페이지 38-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