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도시숲의 생물다양성 – 마포구 성미산을 중심으로 2)

문서에서 생태환경논집--제2권-제1호 (페이지 70-76)

Urban Cemeteries and Biodiversity

Ⅲ. 도시숲의 생물다양성 – 마포구 성미산을 중심으로 2)

1. 조사 배경 및 취지

• 마포구 성산동 주민들에게 생활문화 공간으로서 성미산의 중요성 증가

• 성미산을 둘러싼 갈등조정의 과정으로서 생태공원화 사업 추진

• 생태적으로 지속가능한 성미산 가꾸기를 위한 성미산에 대한 기본적 인 이해 및 공동체적 관리 체계 구축

2) 본 장은 2013년 (사)생명의숲이 지역주민들과 함께 구상한 “성미산 100년의 꿈”이라는 계획서를 작성하기 위해 조사한 것을 요약 정리하였다.

2. 조사의 범위 및 방법

• 산림조사 : 10*10m 방형구 조사, 27개 조사 방형구 설치

• 하층 식물상조사 : 리니어 방식, 3개 노선 설정

3. 조사결과

① 성미산의 지리적 특성

성미산은 과거 지리적으로 백두대간 ~ 북한산 ~ 백련산 ~ 성미산 ~ 한 강으로 이어져 있었다. 하지만, 도시확장과 개발때문에 지리적으로 연결 되어 있던 백련산이나 한강과 단절되었다. 주변은 주택지가 조성되면서 성미산을 압박해 들어갔다. 그 결과 현재의 성미산은 궁동공원과 1km, 월드컵공원과 1km, 와우공원과 2km 격리되고 고립된 숲섬으로 도심 공 간에 놓여있다. 때문에, 식물의 종자가 자연적으로 유입되어 다양한 식물 이 서식하는 공간으로 변화될 가능성이 현저히 낮은 상태에 놓였다.

<그림 6> 성미산의 지리적 위치

② 성미산의 식생도 분석

<그림 7> 성미산 현존식생도

<그림 8> 성미산 현존식생도 분석결과(%) 현존식생 면적(m2) 비율(%) A1(시가화) 10,639.9 7.7

A2(도로) 34.3 0.0

B3(조경, 외래종) 2,278.2 1.6 B6(조경식재) 831.5 0.6 C8(나지) 4,812.6 3.5 D2(밭) 2,423.9 1.8 F0(아까시) 1,791.5 1.3 F03(아까시) 8,269.4 6.0 F13(아까시) 98,196.1 71.0 G03(물오리) 1,171.5 0.8 H13(현사시) 3,400.2 2.5 L0(잣나무) 3,487.6 2.5 L03(잣나무) 951.5 0.7 총계 138,288.2 100.0

성미산의 식생도를 분석한 결과, 아까시나무가 78.3%로 절대적으로 높

<그림 9> 성미산 산림조사 결과 출현종 분포비율(%)

④ 하층식물상 조사결과

조사결과, 총 140종이 발견되었다. 주요 초본식물은 서양등골나물, 개 여뀌, 강아지풀, 주름조개풀 등 이었으며, 주요 목본식물로는 아까시, 국 수나무, 담쟁이, 찔레, 화살나무, 벚나무 등이었다. 그리고, 서양등골나물, 미국자리공, 미국쑥부쟁이, 미국가막살이, 미국개기장, 단풍잎돼지풀, 미 국망초, 그라스, 미국나팔꽃 등 외래종이 발견되었다. 교목성 수종의 어린 나무는 아까시, 벚나무, 향나무, 상수리, 소나무, 아그배나무, 가죽나무, 갈참나무, 느티나무 등이었다.

하층식물상 분석결과를 종합하면, 외래종 식물 다수 서식하고 있으며, 하층의 교목성 수종으로 아까시의 출현빈도가 제일 높고, 상수리와 소나 무 등 토착 수종의 출현빈도는 매우 낮아서, 장기적으로 인공적인 관리가 없다면 오랜기간 동안 아까시 우점의 숲으로 잔존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고 정리할 수 있다.

4. 소결

성미산 조사결과, 도시확장과 개발로 지리적으로 주변 산림지역과 격 리되고 고립되어 있어 주변 생태계로부터 종자의 자연적인 유입에 의한 다양한 식생을 가진 건강한 생태계로 천이할 가능성이 매우 낮다. 식생도 분석결과, 아까시림이 78.3%로 우점하고 있으며, 토착수종인 소나무와 참나무림은 통계에 조차 잡히지 않고 있다. 산림조사 결과, 아까시가 70% 이상 우점하고 있으며, 산벚과 현사시, 물오리 등 사방수종이 주를 이루고 있고 참나무와 소나무 분포비율은 매우 낮게 나타났다. 하층식물 상 조사결과 서양등골나물과 아까시가 우점하고 있어 외래종에 의한 생 태계 교란이 매우 심하며, 참나무나 소나무 등 토착수종의 어린나무 분포 비율이 매우 낮아 후계림으로 아까시림이 형성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때 문에 토착수종 중심의 적극적인 생태계 관리를 통해 인위적으로 식생 천 이를 유도할 필요가 있다.

문서에서 생태환경논집--제2권-제1호 (페이지 70-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