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도시생물 다양성 보전방안

문서에서 생태환경논집--제2권-제1호 (페이지 99-115)

반수홍*⋅오충현**

비오톱은 공간적 경계를 가지는 특정생물군집의 서식지이다. 이를 지도화한 비 오톱 지도는 2012년 기준으로 국내 37개 시군에서 구축을 완료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시 비오톱을 분석하여 도시생물 다양성 보전 방안을 마련하였다. 그 결과 서 울시내에는 보전가치가 높은 식생과 보호종인 조류 및 양서⋅파충류의 서식이 확 인되었다. 이를 보전하기 위해서는 보호구역, 녹지축 설정, 물 순환 환경 개선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주제어 비오톱지도, 생물다양성, 보호지역, 서식처 1)

<목 차>

Ⅰ. 서론

Ⅱ. 연구대상 및 방법

Ⅲ. 결과 및 고찰

Ⅳ. 결론

* 동국대학교 바이오환경과학과 박사과정.

** 동국대학교 바이오환경과학과.

Ⅰ. 서론

모든 생물은 그들의 생존에 필요한 조건을 만족시키는 특정공간에 서 식한다. 생물군집은 비오톱1)이라는 적당한 서식공간을 필요로 하며, 비오 톱은 생물군집과 함께 생태계를 구성한다. 비오톱(biotope)은 그리스 어 원의 bios(생활, 생명이라는 의미)와 topos(장소, 공간이라는 의미)가 결 합된 용어이다. 즉, 공간적 경계를 가지는 특정생물군집의 서식지를 비오 톱이라고 하는데 이는 고유한 속성을 나타내며, 이것으로 다른 환경과 구 분될 수 있다.2)

이러한 특정 생물군집의 서식공간을 지도화 한 것이 비오톱 지도이다. 국내에 도입된 비오톱 지도는 1:25,000으로 작성된 녹지자연도와 생태자 연도는 국토단위의 계획시 적용가능하나 도시개발 및 관리계획의 기본 축척인 1:5000 축척에 연계되지 못하는 한계를 극복하고자 독일의 비오 톱 지도화 방법을 도입하여 적용하였다.

비오톱 지도 작성을 위해 기본주제도로 토지이용현황도, 토지피복현황 도, 지형주제도, 식생도, 동⋅식물상주제도를 작성해야한다. 기타 주제도 로 유역권 분석도, 큰나무 분포도, 대경목 군락지 분포도, 대표비오톱 현 황도, 우수비오톱 현황도, 철새류 주요 도래지 및 이동현황 분석도, CO2 배출 및 흡수 분석도 등 지역의 특성 및 향후 활용을 고려한 주제도를 작 성할 수 있다. 기본 주제도의 속성자료를 종합하여 유형화한 비오톱유형 도, 비오톱에 대한 가치평가를 한 비오톱평가도를 작성한다.3)

1) 비오톱(biotope): 그리스 어원의 bios(생활, 생명이라는 의미)와 topos(장소, 공간이라는 의미)가 결합된 용어

2) 오충현, 서울의 도시생태계 관리를 위한 비오톱 지도 활용방안, 서울시립대학 교 대학원 조경학과 박사학위 논문, 2001.

비오톱 지도화는 3가지 방법으로 구분될 수 있다. 자연보전의 가치를

작성한 생태⋅자연도를 기초로 하여 관할 도시지역의 상세한 생태⋅자연

최근에는 환경부에서 국가환경지도 구축 시범사업을 추진하였으며 1/5,000수준으로 구축된 비오톱지도(도시생태현황지도)를 활용하여 국토 환경성평가지도를 고도화 하고자 한다.

한편, 서울시에서는 생태적인 도시관리의 토대를 마련하고 개발위주의 도시계획에서 보존 및 복원 위주로 도시관리의 방향을 전환하여 인간과 자연이 공존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고자 각종 도시계획의 입안⋅결정시 도시생태 보전을 고려하기 위해 도시생태현황도를 작성하였다.8)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도시생태현황도를 분석하여 서울의 생물다양성 증진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Ⅱ. 연구대상 및 방법

1. 연구대상지

본 연구는 서울시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서울시는 2000년에 비오톱 지도를 작성하여 5년마다 정비를 실시하고 있다. 2000년 제작, 2005년 1 차 정비, 2010년 2차 정비를 수행하였으며 2015년 3차 정비를 실시하고 있다. 서울시 비오톱지도는 도시생태현황도라는 명칭으로 현장조사에 의 해 구축된 현존식생도, 불투수포장도, 토지이용도, 조류 및 양서⋅파충류 분포도와 현장조사 결과에 따라 비오톱 유형을 유형화한 비오톱유형도와 도시생태계 보전을 위한 평가를 적용한 비오톱 유형평가, 개별비오톱평가 로 구성되어 있다. 조류 및 양서파충류 분포도의 경우 2010년에 신규제 작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에 제공되는 2010년 도시생태현황도를 분

8) 서울특별시, 서울 2000 도시생태현황도 제작 및 활용 심포지움 자료, 2000.

석하였다.

2. 연구방법

식생은 현존식생유형별 분포, 보호가치에 따른 군집의 분포를 분석하 였다. 식생의 생물다양성을 파악하기 위해 층위구조, 귀화식물 출현 등을 살펴보았다. 서울시 도시생태현황도에서 층위구조는 비오톱 유형평가항 목을 활용하고, 귀화식물 출현 여부는 개별 비오톱 평가항목을 활용하였 다. 종다양성은 동⋅식물상을 모두 파악하여야 하지만 도시생태현황도에 서 제공하는 종목록은 식물의 경우 상관식생의 우점종만 기재되어 있으 므로 현존식생유형에 따른 종분포를 대체하며, 동물의 경우 도시생태현황 도에서 제공하는 조류 및 양서파충류만을 대상으로 한다. 조류 및 양서⋅

파충류의 종 다양성을 파악하기 위해 조류 및 양서파충류 분포도에서 종 목록과 지점별 종수를 활용하였다. 또한 물순환 환경 분석을 위해 토지이 용별 불투수포장도를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서울시 생물 다양성 보 전방안을 위해 보호지역, 녹지축, 귀화식물 관리, 불투수포장 개선방안을 검토하였다.

Ⅲ. 결과 및 고찰

1. 식생현황

<그림 1> 보호가치에 따른 식생 분포도

서울시 비오톱지도의 현존식생은 크게 5개로 구분된다. 시가화지역 50.55%, 도로 8.29%로 도시화지역이 서울시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며, 산림 24.96%, 초지 및 수역 8.60%, 경작지 4.03%, 조경수목식재지 3.57%로 나타났다. 산림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낸 것은 신갈나무림 (5.83%)이며 다음으로 아까시나무림(5.57%), 소나무림(3.21%), 리기다소 나무림(2.26%), 상수리나무림(1.63%) 순으로 나타났다. 아까시나무림, 리 기다소나무림과 같이 인공림이 상당부분을 차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현 존식생유형은 식생의 종조성이나 동식물을 서식을 확인하는데 한계가 있 다. 서울시 비오톱 평가항목 중 양호한 식생을 구분하는 기준을 활용하였 다. 비오톱유형 평가기준에서 자연성의 평가내용 중 보호가치에 따라 군

집을 구분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구분하면 보호가치가 있는 군집(서어나무 림, 물푸레나무림, 느티나무림, 물박달나무군집, 오리나무군집), 일반보통 군집(참나무군집, 소나무군집, 산벚나무군집, 팥배나무군집, 버드나무), 낮 은가치의 식물군집(아까시나무림, 물오리나무림, 현사시나무림, 일본잎갈 나무림, 밤나무림, 리기다소나무림, 잣나무림, 가죽나무림, 참오동나무림, 관목식생지, 낙엽활엽수 혼효림, 기타조림지)으로 구분된다. 보호가치가 있는 군집은 서울시 전역에 산발적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주로 한강 이남 의 청계산, 구룡산, 대모산 부근에 집중적으로 나타났다.

<그림 2> 층위구조

층위구조 3개 층위(교목층, 아교목층, 관목층)는 대부분의 산림과 조경 녹지, 고층 공동주택지에서 나타났다. 2개 층위는 고궁, 국립 서울현충원, 난지도 등에서 넓게 나타났고, 과수원, 묘포장, 조경지, 하천변 등에서 나

타났다. 논, 밭, 조경녹지, 시가화 지역 등에서는 1개 층위만 나타났다. 층 위구조의 발달은 자연스러운 식생천이를 유도하며 다양한 동식물이 서식 할 수 있다. 이에 조경녹지에 다층식재를 적용하는 사례가 고층 공동주택 지에서 나타난다.

<그림 3> 귀화식물 분포도

귀화식물 분포는 남산, 밤섬, 하늘공원, 도곡공원에서 집중적으로 나타 났고, 우면산, 안산, 인왕산 등 주요 산림의 외곽에서 산발적 나타났다.

개별비오톱 평가는 자연형, 근자연형 비오톱에 대해서만 평가되어 비자연 형 비오톱, 기타 비오톱은 제외된다. 그러므로 도시화지역, 하천 및 도로 에 대해서는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음으로 귀화식물의 특성상 도시화지역 에서 잠재적으로 귀화식물의 출현한다고 가정하여야 한다.

2. 조류 및 양서⋅파충류 분포

<그림 4> 조류 분포도

서울시 비오톱지도에서 특이 조류는 69종이었으며, 천연기념물 22종, 멸종위기종 I급 3종, 멸종위기종 II급 23종, 환경부 지정 특정종 40종, 서 울시보호종 11종이 발견되었다. 주요 산림과 하천에서 출현종수가 높게 나타난 반면 시가화지역에서 출현종수가 낮게 나타났다. 소규모 산림보다 는 대규모 산림의 출현종수가 높게 나타났다.

<그림 5> 양서⋅파충류 분포도

양서파충류는 천연기념물 2종, 멸종위기종 I급 1종, 멸종위기종 II급 3 종, 고유종 1종, 서울시보호종 6종이 발견되었다. 한강을 중심으로 상류 부, 하류부의 말단부에서 양서⋅파충류 출현종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특 히 북한산자락에서 양서⋅파충류 출현종수가 높게 나타났다.

3. 불투수포장도

불투수포장율은 0%이상-10%미만이 43.58%, 10%이상-30%미만 1.60%, 30%이상-50%미만 3.13%, 50%이상-70%미만 3.41%, 70%이 상-90%미만 11.11%, 90%미상 37.17%로 나타나 시가화지역과 산림지 역의 불투수포장의 정도가 극명하게 나타난다. 상업 및 업무시설지, 주거 및 상업혼합지, 공업지, 교통시설지, 하천 및 호소는 불투수포장율 90%

이상 대부분 차지하고 있어 도시화지역은 불투수포장율이 높게 나타난다. 주택지는 불투수포장율 70%이상으로 나타나 도시화지역 중 불투수포장

율이 낮게 나타났다. 공공용도지와 도시부양시설지는 도시화지역에 비해 주택지 254,629 137,627 1,140,130 11,997,729 45,900,887 59,422,765 118,853,767 상업 및

업무시설지 135,180 238,858 520,275 691,134 3,945,616 30,397,545 35,928,608 주거 및

상업혼합지 33,317 6,791 16,058 172,505 7,904,328 69,619,591 77,752,590 공업지 105,739 118,177 251,146 460,986 5,137,957 6,074,006 공공용도지 988,843 4,526,979 12,739,353 5,832,650 5,311,895 3,387,191 32,786,912 교통시설지 9,239,934 1,685,993 887,426 432,769 2,242,790 51,567,509 66,056,422

도시부양

시설지 1,246,586 374,594 731,198 426,547 1,002,979 2,957,686 6,739,591 나지 8,638,347 1,022,154 1,933,954 386,080 125,552 134,109 12,240,195

특수지역 14,064,663 63,700 96,472 265,899 14,490,734

녹지 및

오픈스페이스 185,574,970 1,009,452 507,977 469,598 288,216 328,962 188,179,176 하천 및

호소 44,900,007 598,973 397,908 99,159 313,518 2,907,194 49,216,759 합계 265,076,476 9,707,161 19,056,157 20,759,318 67,593,238 226,126,409 608,318,759

4. 생물다양성 보전방안

4. 생물다양성 보전방안

문서에서 생태환경논집--제2권-제1호 (페이지 99-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