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LED 산업

문서에서 기후변화 재앙인가 (페이지 121-137)

제2절 신성장동력산업의 추진 현황과 비전

4) LED 산업

러에서

2015

1

5,433

억 달러의 대규모 시장을 형성하게 될 전망이다

.

이 산업은 대규모 플랜트산업으로서 관련 산업 파급 효과가 크고

,

특히

2013

년까지 약

8

3

천 명의 일자리 창출을 기대할 수 있다

.

더 나아가 해수담수화 분야는 이미 세계

1

위의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

상하수도 플랜트 등 국내 기술력은 단기간에 선진국 수준에 도달 가능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

선 진국의 수준과 비교해 보았을 때 선진국의 수준을

100

으로 둔 다면 댐은

73,

상하수도는

76,

플랜트는

81

정도의 수준이다

.

<표 3-6> 2018년 물산업 육성 계획

구 분 2008년 2013년 2018년

국내 생산액(천억 원) 145 217 325

수출액(억 달러) 11 154 257

물시장에 있어 우리나라 정부가 가지고 있는 비전 및 목표는

‘2018

년 수출

250

억 달러 달성

이다

.

이를 위한 주요 추진전략은 응용 기술개발과 예산의 확보이다

.

핵심기술로 평가되는 해수담 수화

,

상하수도 처리기술 등은 해외진출 활성화의 대상이 될 전 망이다

.

물산업의 해외진출은 민・관 협력체제 구축 등을 통해 추진될 전망이다

.

야가 확대되면서

2015

년 약

1

천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

국내

LED

업체는

2004

174

개 기업에서

8,700

명을 고용하고 있으며

, 2006

400

개 기업이

1

200

, 2007

453

개 기업이

1

800

명을 고용하고 있어 기업체 수와 고용인원 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

이 기술은 반도체·

IT

등 우리나라가 경쟁력을 가지고 있는 기 술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에 고급인력 비중이 높은 산업이다

. LED

분야의 인력분포(2007)를 살펴보면 석・박사(15.9%)

,

학사(12.1%)

,

기타(72.0%)로 다른 산업에 비해 고급인력의 비중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

<표 3-7> 세계 TOP 3의 LED산업 강국 실현 계획

구 분 2008 2013 2018

국내 생산액(천억 원) 24 130 180

수출액(억 달러) 12 65 90

LED

산업에서 우리나라가 가지고 있는 비전과 목표는

세계

TOP3

LED

산업 강국 실현

에 있다

.

응용기술의 개발과 시장 형성을 위한 시범사업 등과 같은 전략을 통해 목표를 달성할 계 획이다

. LED

3

대 핵심기술(에피・칩・패키징, 소재・모듈, 어플리케이 )에 대한

R&D

투자뿐만 아니라 새로운 핵심 원천기술을 개발 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

또한 새로운 시장개척을 위해 공 공기관의 고효율

LED

조명 사용 확대 및 공공기관에 대한

LED

조명 시범사업 추진 등을 계획하고 있다

.

5)

그린수송 시스템

그린수송 시스템은 기존 자동차・선박에 비해 상대적으로 효 율이 높고 연비가 좋으며

,

배출 가스나

CO

2 배출량이 적은 미 래형 친환경 수송 시스템을 의미한다

.

이러한 종류의 시스템에 는 하이브리드카

,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카

,

클린 디젤차

,

연료전 지차

,

전기자동차

,

미래형 친환경 선박

,

지능형 선박

,

해양플랜 트

,

첨단 철도차량

,

철도 시스템 등이 포함된다

.

현재 고유가와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글로벌 환경규제 강화로 인하여 고효율・

친환경차・선박 및 첨단 철도 시스템에 대한 수요는 증가 추세 에 있다

.

세계적인 환경규제 강화 및 에너지비용 절감 추세에 따라서 기존 화석연료를 사용하던 제품을 그린수송 시스템이 급속도로 대체할 것으로 예상된다

.

특히 전・후방 연관효과가 높은 자동 차・조선・철도산업의 경쟁력 강화는 경제 전반의 성장을 촉진시 킬 것으로 예상된다

.

이 산업 분야는 경제활동인구의

7.2%,

사 업체 총 취업자의

11.2%

173

만 명(2006년 기준)을 직・간접 고 용하고 있는 대표적 일자리 창출산업이다

.

이들 산업은 경제 전반에 많은 영향을 줄 수 있는 대표적인 산업이며

,

우리나라는 생산기술

,

인력 등 우수한 산업 기반을 보유하고 있다

.

그린수송 시스템 계획에 대한 정부의 비전 및 목표는

2013

년 그린카

4

대 강국

,

선박해양 시스템 세계

1

위( )

,

철도

7

대 강국이 되는 것이다

.

이를 위한 주요 추진전략으 로는 응용 기술개발과 세제지원을 계획하고 있다

.

기술개발 측면에서는 핵심 원천기술개발 및 고부가 부품소재

국산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

그 예로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카 (PHEV)

, EURO-6

CO

2 규제 대응 클린디젤 기술

,

해양플랜트

,

한국형 고속열차

,

자기부상열차(120km/h) 등의 핵심기술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

<표 3-8> 그린수송 시스템 발전 계획

구 분 2008 2013 2018

국내 생산액(천억 원) 450 875 1,271

수출액(억 달러) 430 757 1,052

부가가치(천억 원) 120 221 358

또한

IMO

(국제해사기구) 등 국제기구의 환경

,

안전기준 강화 추세에 대응한 친환경 신개념 선박해양 시스템의 기술개발 지 원을 계획하고 있다

.

세제지원 측면에서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카 등 그린카 및 첨단 철도사업 기반구축

,

그린카 안전기준 제 정

,

하이브리드카에 대한 각종 세제지원을 계획하고 있다

.

그린 수송 시스템은 향후 세계 경제를 이끌어 갈 성장동력 중 하나이 다

.

특히 거대 기업들이 포진해 있는 자동차산업이나 조선산업 의 경우 기업 자체적으로 미래의 환경에 대응하기 위한 기술개 발을 활발히 추진하고 있다

.

6)

첨단 그린도시산업

첨단 그린도시는 기존 도시에

IT

기술과 생태기술을 융・복합 한 도시로써

U-City

건설

,

공간정보산업

,

지능형 교통 시스템 등 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

현재 해외에서도 경쟁적으로 첨단도시를 건설하는 추세이며

,

여러 분야가 융합된 고부가가치의 신산업임

을 감안한다면 앞으로 성장 가능성이 높은 산업이 될 것이다

. U-City

건설의 경우 두바이

,

핀란드 헬싱키 등에서 첨단 도시를 조성하고 있으며

,

공간정보산업에 있어서는 노키아가 이 산업에 진출하고 있다

.

2018

년 세계 첨단 그린도시 관련 시장의 규모는

2,400

억 달 러

,

국내 시장규모는

1

2

천억 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

그 리고

2015

년경 국내

U-City

생활인구는

230

만 명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

국내에서 추진・계획 중인

U-City

(51개 지구)의 건 설 총사업비는

3

6

천억 원이며

,

이에 따라 약

6

2

천 명의 일 자리 창출이 예상되고 있다

.

우리나라의 세계 최고 수준의 정보통신 기술과 국가 인프라 는 첨단 그린도시산업이 성장하는데 우호적인 환경을 제공할 것이다

.

따라서 우리나라는 첨단 그린도시의

Test-Bed

로 활용될 수 있으며

,

이미 앞선

U-City

건설 경험을 바탕으로 해외 진출 을 추진하고 있다

.

이 산업에 대한 정부의 비전 및 목표는

‘2018

년 세계시장 (2,400억 달러)의

18%

선점

, 10

만 명 고용 창출

이다

.

이를 달성하 기 위한 주요 추진전략은 기술개발보다는 시범사업을 통한 시 장의 창출과 법령정비를 통한 기업활동의 용이성을 보장해 주 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

구체적으로는

U-City

및 하이그린홈 시범도시 조성과 공간정보기본법 제정 및

U-City

종합계획 수립 등 관련 제도의 정비를 추진하고 있다

.

나. 첨단 융합산업의 비전

1)

방송통신 융합산업

방송통신 융합산업은 방송통신 콘텐츠

,

서비스

,

네트워크

,

단 말기를 포괄하는 산업으로서

IPTV

등 융합서비스

,

방송통신 콘 텐츠

,

차세대 이동통신 등은 유비쿼터스 시대의 핵심 융・복합기 반 신산업이 될 것이다

.

이 중

IPTV, DTV, WiBro

등은 본격적 으로 시장이 확대될 전망이다

.

세계시장은

2008

5,437

억 달러 규모에서

2013

7,718

억 달러

, 2018

1

1,075

억 달러로 급성 장할 전망이며

,

세계 디지털방송 수신가구는 연

18%

증가

,

국내

IPTV

가입자는 연

41%

증가(2013289만 명)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

일자리 창출과 관련하여 전후방산업 파급효과를 고려해 볼 때 방송통신산업과 관련하여 향후

5

년간

6

1,000

개의 일자 리 창출이 가능한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

<표 3-9> 융합산업 성장 계획

구 분 2008 2013 2018

세계시장 규모(억 달러) 25,910 33,062 42,805 국내 생산액(천억 원) 1,211 2,108 3,373

수출액(억 달러) 518 1,233 2,255

부가가치(천억 원) 556 989 1,605

이 산업에 대한 정부의 비전 및 목표는

융합산업의

Global

Leader

로서 위상 확보

이다

.

주요 추진전략은 이 산업의 제도개 선과 응용 기술개발에 집중하는 것이다

.

제도개선과 관련하여

IPTV

WiBro

등 융합서비스 활성화

,

방송통신 통합법제 및 규제

체계 선진화

,

방송통신 콘텐츠 성장 인프라의 구축을 계획하고 있다

.

기술적 측면에서는 차세대 방송통신 원천기술 확보

,

고부 가 장비 및 핵심부품 기술개발

,

방송통신 콘텐츠 기술개발 및 제작 지원 등을 계획하고 있다

.

2) IT

융합 시스템산업

IT

융합 시스템은

IT

를 전 산업에 융합하여 타산업의 고부가가 치화 및

IT

신산업을 창출하려는 개념이다

.

이 분야의 예로서 물류산업의

RFID/USN,

차량용 반도체 등 타 산업과 융합되는

IT

융합 부품 및 소재 등을 들 수 있다

.

현재 선진국들은

IT

융합 의 성장 가능성과 파급효과를 인식하고

,

전 산업에

IT

융합을 적 극 추진 중이며

, IT

산업의 새로운 영역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

실질적으로 자동차

,

조선

,

건설 등에서

IT

비중이 확대되고

,

부 가가치 제고 수단으로

IT

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

특히

RFID/USN

와 관련된 세계시장은

2018

년 약

1,275

억 달러 규모 로 성장할 전망이며

,

자동차의 경우 전장 비중이

2005

년 약

20%

에서

2015

40%

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

이러한 산업의 융합은 친환경성을 높일 수 있으며 새로운 일자리 창출 에도 일조할 것으로 판단된다

. RFID/USN

분야의 경우 고용효 과가

2018

년까지

12

만 명 수준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며

,

차세대 디스플레이는 에너지 효율이

20

30%

증가하여

IT

융합 을 통해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을 것이다

.

이 산업에 대한 정부의 비전 및 목표는

세계 최고수준의

IT

융합 시스템산업

10

개 창출

이다

.

이와 관련된 정부의 추진 전 략은 이 분야 응용 기술개발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

,

이미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IT

기술을 다른 산업에 접 목시킬 수 있는 응용기술을 개발함으로써 새로운 산업을 창출 하고 해외시장도 동시에 개척한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

IT

융합 원천 및 핵심요소 기술개발의 측면에서 볼 때

IT

융합

,

시스템반도체

, RFID/USN,

차세대 디스플레이 등에 집중할 것이 며

,

이를 기반으로 수요창출 및 확산 그리고 세계시장을 대상으 로 표준화하는 수준까지 발전시키려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 IT

기술 분야에 있어 우리나라는 이미 해외에서도 인정하는 기술 선도국이다

.

이 기술은 다른 산업 분야에 적용될 여지가 많으 며

,

따라서 우리나라가 가지고 있는 기술적 강점을 충분히 활용 하여 세계에 알릴 필요가 있다

.

3)

지능형 로봇산업

지능형 로봇산업은 제품 및 관련 부품・소재의 제조・유통

,

로 봇

SW

및 서비스 콘텐츠산업과 타 분야의 로봇화로 융합되는 산업을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이다

.

이에 속하는 제품으로는 개 인서비스용 로봇

,

전문 서비스용 로봇

,

제조업용 로봇 등이 있 으며

,

용도는 국방(무인정찰)

,

교통(무인자동차)

,

복지(재활, 간호, )

,

해양(심해탐사) 등이다

.

세계시장의

2007

년 세계 로봇시장 규 모는 전년 대비

18.9%

성장한

81

3

천만 달러로 추산되고 있다 (2008. 10, IFR)

.

국내 로봇시장은 약

9,032

억 원으로 세계

5

위 수 준이며

,

지속적인 성장을 이루고 있는 추세이다

.

문서에서 기후변화 재앙인가 (페이지 121-1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