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신성장동력산업 선정기준 및 지원 계획

문서에서 기후변화 재앙인가 (페이지 109-114)

제2절 신성장동력산업의 추진 현황과 비전

1. 신성장동력산업 선정기준 및 지원 계획

매우 중요한 판단기준으로 작용하고 있다

.

새로운 기술 또는 산업이 성장동력화되는 시기는 시장성숙도에 따라 차별화되고 있다

.

시기의 분류는 단기・중기・장기로 구분되는데 그 기준은

<

3-1>

에 나타난 바와 같다

.

<표 3-1> 시기별 신성장동력산업 분류기준

시기별 분류 기준

단기(35년) 신성장동력 시장성숙도가 높아 단기적 부가가치 창출 가능 분야

고용창출 효과가 큰 분야

중기(58년 이내) 신성장동력

핵심 원천기술 등 기술력이 있어 신규시장 창출 가 능성이 큰 분야

융합 등을 통해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창출이 가능 한 분야

장기(10년 내외) 신성장동력

시장 형성은 초기이나 미래 잠재력이 높은 분야

핵심 원천기술 확보를 통해 녹색성장의 미래 원동 력이 되는 분야

나. 지원 계획

신성장동력산업을 발굴하고 이를 지원하는 데 있어서 정부는 선택과 집중의 원칙에 따라 시장조성자(market facilitator) 역할이 기대되는 분야에 집중적으로 투자하고 지원하고 있다

.

이미 민 간부문의 자체 발전역량이 성숙된 분야보다는 정부가 시장조성 자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는 분야에 집중함으로써 희소한 자원 을 효율적으로 배분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

정부의 신성장 동력 발굴

,

추진 계획에 있어서 정부와 민간의 역할을 구분하여 추진전략을 마련하고 있다

.

정부는 시장 활성화를 위한 공공수 요・제도개선 등 초기시장 창출

,

고위험 원천기술개발 등

민간 부문의 투자환경 조성

에 역점을 두는 반면 민간은 상용화

,

기술

개발 및 설비투자 활성화

,

신규 고용창출

,

글로벌 경쟁력 확보 에 주력한다는 원칙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

2. 3대 분야 17개 산업

정부에 의해 발굴된 신성장동력산업은

<

3-2>

와 같이

3

대 분야

17

개 산업이다

. 3

대 분야는 녹색기술산업

,

첨단융합산업

,

그리고 고부가 서비스산업으로 구분하고 있다

.

<표 3-2> 3대 분야 17개 신성장동력

3대 분야 17개 신성장동력

녹색기술산업(6) 신재생에너지, 탄소저감에너지, 고도 물 처리, LED 응용, 그린수송 시스템, 첨단 그린도시

첨단융합산업(6) 방송통신융합산업, IT융합 시스템, 로봇응용, 신소재나노 융합, 바이오제약(자원)의료기기, 고부가 식품산업 고부가

서비스산업(5) 글로벌 헬스케어, 글로벌 교육서비스, 녹색 금융, 콘텐츠소프트웨어, MICE관광

3

대 분야

17

개 신성장동력산업의 특징을 다음

3

가지로 요약 할 수 있다

.

첫째

, 6

개의 녹색기술산업에서는 단순한 에너지 절 감 분야가 아닌 미래 성장의 바탕이 되고 기후변화・자원위기에 대한 해결능력이 큰 분야를 그 대상으로 하고 있다는 점이다

.

둘째

, 6

개의 첨단융합산업에서는 세계시장 규모와 우리나라 기 술역량(IT 분야)이 높고

,

융합을 통해 기존 산업고도화와 신산업 창출이 가능한 분야를 그 대상으로 하고 있다

.

셋째

, 5

개의 고 부가 서비스산업에서는 일자리 창출 잠재력이 크고

,

서비스산업

에 경제성을 보완하여 고부가가치 창출이 가능한 분야로 정하 고 있다

.

정부는 또한 신성장동력산업의 가시적 결과를 기준으로

<

3-3>

과 같이 차별화된 발전전략 제시하고 있다

.

<표 3-3> 성장동력화 시기별 분류

단기 (35년 성장동력화)

중기 (58년 성장동력화)

장기 (10년 내외 성장동력화)

신재생(조력폐자원)

방송통신융합산업

IT융합 시스템

글로벌 헬스케어

MICE관광

첨단 그린도시

신재생(태양연료전지)

고도 물 처리

탄소저감 에너지(원전플랜트)

고부가 식품산업

LED 응용

글로벌 교육서비스

녹색금융

콘텐츠SW

신재생(해양바이오연료)

탄소저감 에너지(CO2 수활용)

그린수송 시스템

로봇응용

신소재나노

바이오제약(자원)의료기기

응용기술개발

제도개선투자환경 조성

핵심기술 선점

시장창출 등

기초 원천기술 확보

인력양성 등

정부에서 발굴한 단기 성장동력화 사업으로는 신재생(조력・폐 자원)

,

방송통신융합산업

, IT

융합 시스템

,

글로벌 헬스케어

, MICE

(Meeting, Incentive, Convention and Exhibition)・관광

,

첨단 그린도시 등이 포함된다

.

중기 성장동력화 사업에는 신재생(태양・연료전 )

,

고도 물 처리

,

탄소저감 에너지(원전플랜트)

,

고부가 식품산 업

, LED

응용

,

글로벌 교육서비스

,

녹색금융

,

콘텐츠・

SW

등이 포 함된다

.

마지막으로 장기 성장동력화 사업에는 신재생(해양바이오 연료)

,

탄소저감에너지(CO2회수활용)

,

그린수송 시스템

,

로봇응용

,

신소재・나노

,

바이오제약(자원)・의료기기 등이 포함된다

.

가. 녹색기술산업

녹색기술산업 분야에 포함되는 신재생에너지산업은 단기

,

중 기

,

장기적으로 추진되는 사업이다

.

신재생에너지산업이 신성장 동력산업으로 선정된 이유는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자원위기를 해결하는 능력뿐만 아니라 미래의 시장잠재력이 매우 크기 때 문이다

.

한편 탄소저감 에너지 사업은 중기

,

장기적으로 추진되 고 있다

.

이는 신재생에너지 사업과 마찬가지로 기후변화

,

자원 위기에 대응하고 우리나라의 기술 잠재력도 유망한 산업이기 때문이다

.

고도 물 처리 사업은 중기적으로 추진되는데

,

우리나라의 기 술이 뛰어나며 향후 기후변화로 인하여 수자원 부족 문제가 등 장할 것으로 예상되어 미래의 시장잠재력이 큰 사업이다

. LED

조명사업은 상대적으로 효율성이 낮은 백열전구를 대체하는 조 명을 확대 보급하는 것으로 에너지 절약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 이 기대되는 사업이다

.

그린수송 시스템 사업은 산업의 발달에 따라 전후방 연관효과가 크게 나타나며 세계시장의 잠재력도 큰 사업이다

.

그린도시 건설은 삶의 질을 개선시키고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는 사업이다

.

나. 첨단융합산업

방송통신융합산업은 국내

IT

경쟁력을 기반으로 국내외적으로 신시장을 창출하는 사업으로 단기적으로 효과를 기대할 수 있 는 사업이다

. IT

융합 시스템 구축은 우리나라 수출 및 경제성장

의 주력산업인 조선산업 등의 경쟁력을

IT

를 활용하여 지속적 으로 확보하기 위한 사업이다

.

로봇응용산업은 전후방 연관효과 가 크고 세계시장이 유망한 사업이다

.

신소재

,

나노융합사업은 다른 산업발전의 기반이 되는 사업이고 세계시장의 잠재력도 높은 사업이다

.

바이오제약

,

의료기기 사업은 세계시장의 가능 성이 크고 신산업 창출에도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

그리고 미 래의 식량자원 문제를 해결하고 고부가가치 산업화하기 위하여 고부가 식품산업도 집중적으로 육성될 것이다

.

다. 고부가 서비스산업

고부가 서비스산업에는 글로벌 헬스케어

,

글로벌 교육서비스

,

그리고 녹색금융의 활성화 등이 포함된다

.

이러한 사업은 일자 리 창출효과가 크고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할 수 있을 것 으로 기대된다

.

콘텐츠소프트웨어와

MICE

관광사업도 일자리 창출과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창출이 가능한 사업으로 평가되 고 있다

.

문서에서 기후변화 재앙인가 (페이지 109-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