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다. AIP에서 익숙한 사람과의 관계는 무엇일까?

AIP는 친숙한 사람들과 오래 함께 생활하는 것이 주요 요인이다. 단지 물리적 공간과 시간적 개념이 아닌 익숙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생활하는 것을 전문가는 중요한 차원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거 주하던 곳에서 오래 사는 것만이 바람직하고 이상적인 것이 아니라, 그 안에는 사람과의 관계가 유지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AIP는 시간과 공간 적 요인만이 달성되었을 때는 자칫 Stuck in aging이라는 고립으로 이어 질 수 있다는 우려의 의견이 제시되었다.

“공간에 대한 물리적 익숙함도 중요하겠지만, AIP는 그 공간에서 형성 된 관계를 지속하도록 하는 것이 핵심 개념이라고 봄.”

“저는 관계적 차원이 AIP의 매우 중요한 요인이라고 생각합니다. 특히

지역사회 내의 관계, 이웃 및 지역사회 내의 친구관계가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AIP가 성공적으로 되려면 관계적인 관계 설정이 필요하다고 봅니다.

특히 지역사회에서 노인이 생활한다는 것은 주위의 관심과 배려가 없이 는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사회적으로 고립, 단절되면 AIP의 의미가 별로 없을 것 같아요.”

관계에서 노인에게 중요한 타인은 누구인가에 대해 비공식적인 자녀, 친구, 이웃뿐 아니라 공식적 관계를 통한 친숙한 관계까지를 포함하는 등 다양한 의견이 제시되었다. 전문가의 의견에서는 AIP에서 자녀의 중요성 을 강조하며, 노인이 돌봄이 필요한 경우 시설입소를 늦추는 강력한 요인 이 될 수 있다는 의견이다.

“특히 우리나라 현재 노인세대의 경우 자녀와의 관계가 삶의 질에 있어 매우 중요한데, AIP에서도 역시 마찬가지일 것으로 생각됩니다. 자녀와 한 집에 거주하지 않더라도, 오히려 같이 거주하지 않으면서 자주 왕래할 수 있는 가까운 곳에 거주하는 것에서 노인이 심리적인 안정감을 갖기도 하고, 자녀로부터 받는 실질적인 도움이나 돌봄은 실제로 시설입소를 늦 추는 강력한 요인이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상당수의 전문가는 자녀를 통한 지원이 가능한 상황이 아니라 고 판단하여, 지역단위의 친구, 이웃, 공적 기관과의 관계를 더욱 강조하 는 경향도 나타났다.

“자녀와의 관계도 중요하나 자녀가 직장, 결혼 등으로 다른 도시, 다른 구에 살 확률이 매우 높은 시대이기 때문에 오히려 동네 복지관, 주민센 터의 각종 프로그램, 동네 친목회와 같은 곳에서 만나는 친구들과의 관계 가 노인의 삶에서 훨씬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생각합니다.”

“관계망에서 자녀, 이웃, 지역사회로 확장되어 가는 것인데 자녀가 같 은 지역에 있다는 보장이 없음으로 이웃과 지역사회 중심의 복지지원망 이 필요함.”

“자녀와의 관계는 오랫동안 익숙한 환경을 떠나 노년기에 주거이동을 하게 되는 중요한 계기임. 희망하지 않는 주거이동을 막고 노인의 현 거 주지에서 자녀와 상호지원 혹은 자녀지원이 가능한 주거 대안과 서비스 등이 지원되어야 함.”

일부 전문가는 노년기에 타인과의 관계를 갖는 것은 매우 중요하지만 과거와 같이 가족에 의한 네트워크 구축이 어렵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인위 적인 관계망 구성이 필요하며, 그 모형이 은퇴단지(continuous care retirement communities)임을 제시하였다.

“자녀와의 관계도 중요하지만 미래에는 어느 정도의 의미를 부여할 수 있을지 예측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인위적인 관계망 구성이 필요하지 않 을까요?”

AIP에서의 관계는 공식적 관계와 비공식적 관계로 구분되며, 관계의 AIP 실현 요인은 독립적 생활이 가능한 상태에서는 비공식적 관계 자원

이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음을 전문가들은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일상 생활에서 부분적으로 도움이 필요한 상태에서는 공식적 관계 자원이 매 우 중요함을 강조하였다.

“독립적 생활이 가능한 상태에서는 비공식적 관계 자원이 중요한 요인.

하지만 일상생활에서 도움이 부분적으로 필요한 상태에서는 공식적 관계 자원 중요.”

“지역사회/이웃의 관계를 사회구성원이 일상생활+교육/건강/돌봄/사 회참여 등의 활동을 하면서 맺게 되는 인간관계 모두를 가리킨다고 이해 합니다. 따라서 지역사회 복지관에서 방문 오는 사회복지사와 자원봉사 자, 동네 약국의 약사, 각종 점포의 주인들, 경로당 노인들과 같이 익숙한 모든 관계가 지역사회의 사회적 관계망이라고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