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향후 과제

문서에서 국민공감 국토정책 실현을 위한 (페이지 152-164)

이 연구는 국토체감지표 체계를 정립하고 향후 지속적으로 지표를 개발 및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중심으로 한 기초연구이다. 연구의 기간을 감안하여 내용적으로 국토체감

지표에 대한 개념적 정의와 방법론적 접근, 시범지역을 대상으로 일부 체감지표를 시범 구축하여 활용 방안을 모색·제안하는데 연구내용이 국한되어 있다. 향후 국민 수요에 맞는 다양한 국토체감지표를 발굴하고, 체계적으로 생산하기 위한 분석방법을 개발해야 하며, 지표의 신뢰성과 유용성에 대해 삶의 현장에서 주민들과 함께 검증 등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 국토체감지표를 국민 수요 관점에서 생산하고 공유하기 위해서는 지표를 발굴하고 생산하는 과정에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참여해야 한다. 이를 위해 각 부문별 국토체감 관련 자료생산 주체와 활용주체 간의 협력적 거버넌스를 구축과 역할 분담, 이를 통해 참여형 양방향 지표구축 및 활용체계를 마련하는 연구도 지속되어야 한다. 끝으로 국토체감지표로부터 정책을 발굴하고 모니터링하기 위한 지표의 표준 화, 시각화, 융합화를 위한 방법론에 대한 연구도 후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R | E | F | E | R | E | N | C | E

참고문헌

강신욱 외. 2005. 사회적 배제의 지표개발 및 적용방안 연구. 서울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국토교통부. 2012. 도시대상, 살고 싶은 도시 만들기.

김선희 외. 2005. 국책사업의 효과적 추진을 위한 사회합의형성 시스템 구축방안 연구.

경기 : 국토연구원.

김영수 외. 2006. 지역발전지수의 개발과 지역간 발전격차 분석. 서울 : 산업연구원.

김원배 외. 1997. 지방대도시 경쟁력 강화방안. 경기 : 국토개발연구원.

김재형. 2003. 예비타당성조사의 정책적 분석 수행을 위한 지역낙후도지수 산정 및 활용방안. 서울 : 한국개발연구원.

김제국. 2000. 경기도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지표설정에 관한 연구. 경기 : 경기개발연구원.

김창현 외. 2007. 농촌지역 특성의 진단지표 개발과 정책적 활용방안. 경기 : 국토연구원.

김태환 외. 2004. 자립적 지역발전을 위한 잠재력 분석연구(Ⅰ). 경기 : 국토연구원.

김홍배 외. 2008. “지역진단 지표개발과 지역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43(1) pp.183-196.

남윤우. 2012. “Lincoln Community SCAN” 국토연구원 발표자료.

노대명 외. 2009. 사회통합을 위한 과제 및 추진전략. 서울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대구광역시. 2012. 대구사회조사 2011.

대구광역시. 2013. 대구사회조사 2012.

대구광역시. 2014. 대구사회조사 2013.

대한민국정부. 1987. 제2차 국토종합개발계획 수정계획 1987~1991(대통령공고 제92호).

문정호 외. 2013. 경제발전경험 모듈화사업: 국토 및 지역개발정책 - 국토종합계획을 중심으로. 기획재정부.

박형서 외. 2007. 공공사업 갈등지표 설정과 활용방안 연구: 공공사업 입지관련 갈등유발 요인 분석 및 지표체계 구축. 경기 : 국토연구원.

박형수 외. 2012. 복지지표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서울 : 한국조세연구원.

사회통합위원회. 2009. 사회통합위원회 내부자료

서울특별시. 2013. “열린정부, 열린데이터 그리고 큰 데이터” 발표자료.

서울특별시. 2014. 2013 서울서베이 도시정책지표조사.

석현호 외. 2013. 국가주요지표 연구 I : 지표체계. 통계청

신완철 외. 2001.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지원 방향”, 21세기 정책․정보연구원.

신윤정. 2009. 저출산, 고령사회정책 국민체감도 및 우선순위조사. 서울 : 한국보건사회연 구원.

심수진 외. 2010. 삶의 질 지수 작성방안. 통계개발원.

유재윤 외. 2009. 지역정책 지원을 위한 기반 D/B 구축. 경기 : 국토해양부 이내찬. 2012. OECD 국가의 삶의 질의 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이성규. 2006. 시민행복지수 측정을 위한 지표개발에 관한 연구. 서울 :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이양재, 김선웅. 1997. 서울시 성장관리모니터링체계 구축. 서울 :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이용우 외. 2003. 지속가능한 국토개발지표 설정에 관한 연구. 경기 : 국토연구원.

이용우 외. 2007. 국토관리의 지속가능성지표 설정과 활용에 관한 연구. 경기 : 건설교통부.

이우성 외. 2007. “도시의 지속성 평가를 위한 통합지표의 가중치 결정”. 국토계획 42(3).

이원섭 외. 2002. 지방육성을 위한 국가자원의 차등화 방안. 경기 : 국토연구원.

이주일. 2006. 서울도시모니터링 리포트 작성을 위한 기초연구. 서울 :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이태진 외. 2008. 사회현황 및 사회정책 지표체계 개발에 관한 연구. 서울 : 한국보건사회연 구원․보건복지가족부.

이홍영, 이순자. 1995. 제3차 국토종합개발계획 추진실적 평가. 경기: 국토연구원.

이희연, 최재헌. 2001. “시스템-오리엔터 분석기능을 적용한 도시의 지속가능성 측정을 위한 지표설정 방안”, 국토계획 36(4).

일본 내각부. 2011. “행복도에 관한 연구회 보고 : 행복도 지표 개요”. 행복도에 관한 연구회 자료

임성근 외. 2012. 부처간 융합행정체계 구축을 위한 관리전략 연구. 서울 : 한국행정연구원 임성근, 조태준. 2012. 부처간 융합행정체제 구축을 위한 관리전략 연구. 서울 : 한국행정

연구원.

임은선 외. 2012. 국토지표를 활용한 국토모니터링체계 시행 방안 연구. 경기: 국토지리정 보원.

임은선 외. 2012. 공생발전을 위한 협력적 입지모형 개발과 활용방안. 경기: 국토연구원.

임은선 외. 2013. 국토지표를 활용한 국토모니터링체계 구축 연구. 경기: 국토지리정보원.

임은선 외. 2014. 국토정책 수요변화에 대응한 공간-통계 융합모델 개발 및 활용방안 연구. 경기: 국토연구원.

전상인. 2014. “행복에 대한 공간사회학적 성찰”. 문화와 사회 제16권. pp.11-44.

정기환 외. 2004. 사회자본 측정지표 개발 농촌 지역의 사회자본과 지역사회발전에 관한 연구. 서울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정영근 외. 2001. 국가 지속가능발전 지표 개발 및 활용방안 연구. 환경부

㈜SK텔레콤. 2014. SKT 지오비전(Big Data) 생성 프로세스., SKT 내부자료 지역발전위원회. 2013. 국민행복과 지역통합을 선도하는 새로운 지역발전 정책 방향

: 분야별 정책과제. 서울 : 지역발전위원회.

지역발전위원회. 2013. 지역행복도 지표 개발 및 시범적용. 서울 : 지역발전위원회.

지역발전위원회. 2014. 2014년 지역행복생활권 선도사업 가이드라인. 서울 : 지역발전위 원회.

차미숙 외. 2011. 사회통합을 위한 지역적 대응과제: 지역사회통합지수 개발 및 활용방안.

경기 : 국토연구원.

차미숙 외. 2014. 12. 미래국토 발전전략 수립연구. 국토정책위원회 보고 자료.

최 열 외. 2001. “대도시 삶의 질과 토지이용간의 상관분석”. 국토계획 36(4).

최진욱. 2008. “‘참여정부 정부혁신 체감도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학보 42(2).

충청남도. 2012. 충남 사회지표 조사 및 분석.

충청남도. 2013. 충남 사회지표 조사 및 분석.

통계청. 2014. 2013 한국의 사회지표.

통계청. 2014. 국민 삶의 질 지표.

하성규 외. 1997.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정책과제와 지표설정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32(5).

허재완 외. 2012. 국토발전 미래 어젠다와 정책 방향. pp.3-7.

홍준현. 2001. “지방분권화와 지역격차의 상관관계”. 한국지방자치학회보. 13(1) 통권 제33호.

Axelrod, R. 1973. “An Information Processing Model of Perception and Cognition”.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67(4).

Bossel, H. 1994. Modeling and Simulation. A. K. Peters, Vieweg.

Bossel, H. 1999. Indicators of Sustainable Development: Theory, Method, Applications, Manitoba. IISD, Winnipeg.

Hochberg, J. 1956. “Perception: Toward the Recovery of a Definition”. Psychological Review. 63(6).

John Helliwell, Richard Layard. and Jeffrey Sachs. World Happiness Report. UN Lalit Kumar Dashora. 2009. Visualization of Urban Quality of Life at Neighbourhood Level in Ensched. International Institute for Geo-Information Science and Earth Observation.

국민안전처. 생활안전지도 [www.safemap.go.kr]

국토교통부. 국토공간계획지원체계 [www.kopss.go.kr]

국토교통부. 한눈에 보는 국토교통부 [korealand.tistory.com/2957]

네이버 국어사전 [krdic.naver.com]

네이버 지식백과 행정학 사전 [terms.naver.com]

뉴시스. 2012. 서울시, 10분 동네 프로젝트 추진[ www.newsis.com/ar_detail/

view.html?ar_id=NISX20120322_0010846396&cID=10801&pID=10800]

인터넷 중앙일보 [joongang.joins.com]

조선일보 2014.1.30. “국민 행복도 측정하는 '국민행복체감지표' 개발된다”

[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4/01/29/2014012902540.html]

통계청. 2014. 국민 삶의 질 지표 [qol.kostat.go.kr]

헤럴드 경제. 2013.4.3. “통계청, 삶의 질 보여주는 ‘국민행복지수’ 만든다”.

[m.heraldbiz.com/view.php?ud=20130403000313&ntn=0]

OECD Your Better Life Index [www.oecdbetterlifeindex.org]

S U M M A R Y

SUMMARY

Keywords: Citizen-oriented Territorial Indicators, Quality of Life

Recently, the aim of territorial policy has switched from growth and development to the pursuit of people’s happiness, emphasizing the quality of life, happiness, locational welfare, cultural convergence, safety and security. Accordingly, the way of measuring policy performance needs to be changed following the shift in policy orientation. Some limitations of currently used territorial indicators have been pointed out. Firstly, most of them are macro indices measuring the degree of total economic growth. Secondly, many indicators have focused on the performance of the supply-side policies for providing public infrastructure and as such, actual demand for the infrastructure has not been properly considered. Thirdly, the production and utilization of indicators has been confined to administrative boundary.

This study is based on the consensus that new framework of building territorial indicators needs to be established in such as way that the actual demand for territorial policies be properly considered in the process of pursuing people’s happiness as one of the critical government goals. To this end, the methodological focus of building new, demand-side indicators is on reflecting place-based reality, convergence, and collaboration. In pursuit of place-based reality, individual, subjective and demand-oriented indicators are developed to supplement the weakness of the current supply-side indicators so that the relevant policy properly

target actual demand. In terms of convergence, territorial statistical data need to be combined to locational information and human behavioral aspects to promote multi-faceted utilization of the indicators. The indicator production framework emphasizing the collaboration among citizens, stakeholder, agencies providing statistical information are suggested in such a way that actual demand are properly incorporated by promoting public participation in the process of building indicators to supplement the problem of the current one-way framework where agencies exclusively lead the whole process of producing indicators.

The place-based and demand-side territorial indicators consist of five sub-categories: stability of community, convenience in using neighborhood infrastructure, efficiency of land use, safety, and amenity considering citizens’

daily demand towards securing living-place, working-place, and recreational-place.

Citizens, public officials, experts presented with the suggested indicators selected some key indicators in objective and subjective terms respectively by survey and advisory conference. For the demonstration purpose, some of the selected indicators representing the daily demands of citizens in the city of Daegu were measured in terms of the degree of satisfaction on accessibility to public transit service, convenient service provision of cultural and welfare public facilities, access to emergency medical services.

In this study, the methodological framework of producing and utilizing place-based, demand-side territorial indicators were presented. In addition, suggested were further works for institutionalizing the territorial monitoring system which cover the whole process of building additional indicators, standardizing data collection and transformation, establishing open collaborative network, constructing sustainable production and utilization system of the indicators, etc., so that the indicators be flexibly applied to citizens’ daily of living, working and recreating from the level of community to metropolitan regions.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the suggested indicators and associated methodological framework are empirically validated and put into institutional use and consequently, provide useful measures of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territorial policy in perspective of satisfying citizen’s actual demand.

A P P E N D I X

문서에서 국민공감 국토정책 실현을 위한 (페이지 152-1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