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국토체감도의 개념

문서에서 국민공감 국토정책 실현을 위한 (페이지 72-75)

(1) 체감도의 개념

사전적으로 체감(體感)이란 몸으로 어떤 감각을 느끼는 것을 말한다. 일차적으로는 느끼는 것 자체를 체감(feel)이라고 사용하지만 상황에 따라 체감의 정도가 달라지는 경우도 인지나 지각의 차이도 체감(perception)이라는 단어를 사용하고 있다. 인지심 리학적 관점에서 체감(perception)은 대상에 대하여 개인이 가지고 있는 기대치와 개인이 인식하는 실측치 간의 차이라고 정의하고 있다(Hochberg,1956, 최진욱, 2008, 신윤정 2009에서 재인용).

정책이나 사회 프로그램 등에 대한 체감도는 체감의 대상이 되는 현상이나 상황에

대한 개인의 인지도식(schema)에 따라 새로운 정보가 들어올 때 개인이 그 정보를 어떻게 해석하는가에 따라 결정된다(Axelrod, 1973)는 심리학적 접근을 주로 적용한 다. 정부 정책에 대한 개인적인 가치 및 중요성을 바탕으로 정책을 평가함으로써 개인은 정책체감도를 느끼며, 이때 개인에게 내재된 지식이나 기억이 인지도식이 되며, 새로운 정책은 새로운 정보로 역할을 한다. 새로운 정보가 기존의 인지도식과 부합하는 정도에 의해 개인의 인지도식과 체감도는 달라진다. 체감도와 관련한 선행연 구에서는 체감도가 개인의 주관적인 인지과정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조직화를 통해 실제로 정확하게 측정될 수 없다고 보며, 일반적으로 다차원적인 구성개념 (multidimentional construct)의 속성을 갖기 때문에 그 구성요인이나 결정요인을 파악하는 것도 어렵다(Axelrod, 1973, 최진욱, 2008, 신윤정, 2009에서 재인용).

일반적으로 정책에 대한 평가는 정책적 노력을 통하여 정책목표가 어느 정도 달성되었는지를 객관적인 수치로 파악하여, 정책을 추진하기 전후를 비교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때 객관적 지표와 국민들이 주관적으로 체감하는 수준 간에 차이가 있어, 그 정책의 효과를 국민의 체감도가 낮다면 정책이 성공적으로 수행되었다고 보기 어렵다. 정부가 제공하는 정책의 필요성과 성과에 대한 국민의 인식이 긍정적일 때 정부와 정책에 대한 지지와 신뢰가 확보되며, 정책에 대한 국민의 체감도가 높을수 록 정부는 정책에 대한 국민들의 순응을 기대할 수 있다(최진욱, 2008, 신윤정 2009에 서 재인용).

(2) 국토체감도의 의미와 특징

국토는 다양한 물리적 환경으로 구성된다. 산과 강, 도시와 농촌, 도로와 교량, 각종 공공시설과 주택 등 인간의 생활을 담아내는 그릇이다. 지금까지의 관심사가 국토자체에 대한 물리적 여건에 중점을 두었다면, 최근에는 개인이나 역사적으로 의미가 부여된 경험하는 장소로서의 공간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과거보다 지역의 문화자산, 역사, 사람에 대한 관심이 다양한 공간의 가치를 새롭게 정의하려는 노력은 국토체감도에 대한 관심과 유사한 맥락이다.

이 연구에서는 국토에 대한 체감형 지표를 개발하기에 앞서 국토체감도의 개념과 의미를 검토해 보았다. 국토체감도는 각 개인이 국토를 이용하고 경험하면서 느껴는 감각으로 정의할 수 있고, 때로는 국토공간에 대한 의미나 인식을 말한다. 국토에 대한 체감도는 개인의 성향과 상황에 따라 매우 다양할 수 있다(<그림 3-1> 참조).

간단한 예를 들면, 지역중심에서 5km 이내 지역을 자세하게 관찰해 보면, 공간의 입지적 특징에 따라 주민들이 공간에서 누리는 편리함, 안정성, 쾌적함 등의 서비스의 크기와 질에 차이나 난다. 교통여건이 좋은 지역과 주거환경이 좋은 지역이 있는가 하면 중심시가지에 가까워 편리하더라고 대기의 질이 나빠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이와 같이 생활 속에서 주민이 경험하는 공간은 지역에 대한 이미지를 형성하게 하고, 편리함과 불편함, 환경이 좋은 곳과 나쁜 곳이라는 인식의 차이까지 가질 수 있게 한다. 이때 개인의 성향과 능력을 고려하면 개개인이 국토를 체감하는 정도는 천차만별 이 될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동일한 대상에 대한 개인의 선호도차이를 제외하고 공간의 입지적 특징에 따라 국민이 느끼는 국토공간에 대한 체감도를 대상으로 한다.

<그림 3-1> 국토체감도와 국토체감지표의 개념과 특징

문서에서 국민공감 국토정책 실현을 위한 (페이지 72-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