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 제시문 (나)의 ㉠이 (가)에서 교씨의 합리화 경향을 통해 드러나고 있음을 충분히 설명하 고 있는가? (분석력, 추리력, 이해력)

- 제시문 (나)의 ㉡이 (가)에서 서술자의 직접 제시 방법(또는 말하기)을 통해 드러나고 있 음을 충분히 설명하고 있는가? (분석력, 추리력, 이해력)

- 제시문 (가)와 (나)의 관계 속에서 인간성, 윤리론, 사회적 존재로서의 인간에 대한 성찰 을 문학적 가치로 추론하는가? (추리력, 이해력)

- 분석 및 추론의 과정에서 직접 제시 방법(말하기), 간접 제시 방법(보여주기)의 특성, 합 리화 행위 기제의 특성을 반영하고 있는가?

- 주요 논점의 서술 분량 및 유기성은 적절한가?

- 어문 규정이 정해진 원고 분량을 잘 지켰는가?

제시문 에서 표현하고 있는 화자의 정서적 체험과 의지에 대하여 의 ㉠의 관점에서, 를 참조하여 논술하시오. (750 ± 50자)

(가) 죽는 날까지 하늘을 우러러 한 점 부끄럼이 없기를, 잎새에 이는 바람에도 나는 괴로워했다.

별을 노래하는 마음으로

모든 죽어 가는 것을 사랑해야지 그리고 나한테 주어진 길을 걸어가야겠다.

오늘 밤에도 별이 바람에 스치운다.

― 윤동주, <서시>, 뺷고등학교 문학뺸 ―

(나) 예술은 심미적 경험의 확충뿐만 아니라, 감성적・도덕적 교화의 역할도 한다. 시나 소설은 물 리・화학적 지식으로는 감당할 수 없는 진실성을 고양시켜 주고, 사회와 역사에 대한 의식을 넓혀 주며, 도덕적 감수성을 키워 준다. 예를 들어, 영웅의 생애를 그린 대하소설이나 웅장한 규모의 영화를 보았을 때 우리는 몰랐던 물리학의 법칙을 깨닫는 것 이상으로 큰 정신적인 충격을 경험 한다. 예술 작품과 조우하면서 세계를 보는 새로운 눈을 가지게 되고, 사물의 현상을 새로운 차 원에서 신선하게 느끼며, 우리 행위를 새로운 도덕적 기준으로 반성하게 된다.

예술 활동은 그것이 도덕적 반성 위에서 이루어질 때에 최고의 예술이 된다. 예술로부터 얻는 도덕적 자기 반성은 개인적인 차원에 머무르지 않고 도덕적인 사회로 진화하는 힘을 가진다. 투 철한 도덕적 자기 반성을 기초로 한 훌륭한 예술 작품은 그 시대의 강력한 사회 도덕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아름다운 대상도 우리에게 만족을 주지만, 착한 행위도 우리에게 즐거움을 줄 수 있다. 미의 쾌감은 자연에서, 도덕의 쾌감은 자유의 실천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미와 선의 만남 은 자연과 자유의 만남이요, 자연과 정신의 결합이다.

참된 예술 활동이나 도덕 행동은 모두 인간의 순수한 자유 의지에 근거하고 있음을 볼 때 예술과 도덕은 그 기원을 같이한다. 달리 말해, 예술적 주관이 자유롭게 자연과 예술을 관조하는 것과, 윤 리적 행위의 주관이 양심의 자유로운 행위를 실천하는 것은 같은 것이며, 이 모두가 인간적 행위의 가치이다. 따라서, ㉠미와 선은 불가분의 관계에 놓여 있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칸트는 “예술이 도덕과 결합되지 않는다면 그것은 단지 오락을 위한 활동에 불과하다.”라고 경고하였던 것이다.

― 뺷고등학교 시민윤리뺸 ― [인문 2]

❏ 논제 및 제시문

(다) 어느 가을날 오후 나는 학교 뒷산으로 올라가 나무 사이에 앉아 있었다. 그러다가 무심결에 돌 하나를 주워서 저쪽 아래로 던졌다. 아래에서 돌 떨어지는 소리가 났다. 그런데 그 돌 떨어지 는 소리를 듣는 순간 아주 깊은 한 줄기 느낌이, 느낌이라기보다도 전율이 지나갔다. 즉 내가 던 진 돌이 여기서 저기로 옮겨지는 순간, 다시 말해서 여기 있던 돌이 나에 의해 저쪽으로 옮겨지 는 순간 우주의 균형이 바뀌었다는 느낌이 그것이다. 내가 여기서 저기로 던진 작은 돌에 의해 우주의 균형이 바뀐다!

내가 던진 돌 하나의 무게와 뜻이 그렇다면, 어떤 철학자 식으로 말해서 이 세상에 던져진 나

― 나를 누가, 무엇이 여기에 던졌든지간에 ― 의 무게와 뜻은 어떨 것인가. 말하자면 우리들 각 자가 각자로서 거기에 있다는 사실이 바로 이 사회의 균형을 이룬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중략) 그러나 나의 이 체험을 다만 도덕적 자각으로만 여기는 일은 물론 아주 답답한 노릇이다. 그것 은 답답한 도덕의 범위를 훨씬 넘어서는 뜻을 지니기 때문이다. 거의 신비로울 정도로 깊은 느낌 을 느꼈다는 얘기는 바로 그것이 또 다른 차원을 넘나들도록 하기 때문인데, 이것은 마음을 우주 적 감동이라고 할 만한 무슨 고요한 소용돌이 속에 있게 하면서, 그 돌과 내 육체 및 이 지구를 연결하여 하나의 성좌(星座)를 만들고 있다.

― 정현종, <태어나고 있는 도덕>, 뺷숨과 꿈뺸 ―

▣ 출제 의도

- 이 문제는 제시문 나)와 다)를 참고하여 가) 시의 화자의 정서적 체험과 의지에 대해 설 명하는 것이다.

- 설명의 방향은 제시문 나)와 다)에서 말하고 있는바, 미와 선 혹은 미적 체험과 도덕적 체험은 동일한 것이며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는 것을 실마리로 하여, 가)의 시에서 화자 가 노래하고 있는 미적 정서와 도덕적 의지의 내용, 그리고 그것이 하나의 동일한 서정 적 체험에서 발생하는 것이라는 사실을 설명하는 것이다.

▣ 제시문 해설

구분 내용

(가) (가)시는 화자가 밤하늘의 별을 바라보면서 나와 모든 우주적 존재들과의 일체감, 다시 말해 그것들과 나와의 상호동일성을 미적으로 체험하면서 우주의 모든 생명들의 아픔을 자신의 것으로 떠안는 이른 바 우주적 자아를 노래하고 있다.

(나) 제시문 (나)는 일반적인 예술론의 한 대목으로, 예술이라고 하는 것은 미적이면서 동시에 도덕적인 체 험의 산물이라는 것이다. 특히 예술 창조의 과정에서 이 양자가 불가분의 관계에 있으며, 훌륭한 예술 작품은 이 양자를 동시에 성취하고 있다는 취지를 담고 있다.

(다) 제시문 (다)는 수필의 한 대목으로, 우리의 미적 정서와 도덕적 정서가 하나의 동일한 정서적 체험이 라는 사실을 경험적으로 잘 보여주고 있다.

▣ 논제 해설

제시문 [가]에서 표현하고 있는 화자의 정서적 체험과 의지에 대하여 [나]의 ㉠의 관점에서, [다]를 참조하여 논술하시오. (750 ± 50자)

논제분석

what how

[나]의 ㉠의 관점 [가]에서 표현하고 있는 화자의 정서적 체험과 의지에 대하여 논술하시오.

요구사항(Requirement) - 750 ± 50자로 답하라.

- 이 논제 역시 기준제시 설명형에 해당한다.

- 이 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제시문 나)와 다)를 참고하여 가) 시의 화자의 정서적 체험 과 의지에 대해 설명해야 한다.

- 그리고 미와 선 혹은 미적 체험과 도덕적 체험은 동일한 것이며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는 것을 논리로 삼아 가)의 시에서 화자가 노래하고 있는 미적 정서와 도덕적 의지의 내용, 그리고 그것이 하나의 동일한 서정적 체험에서 발생하는 것이라는 사실을 이야기해야 한다.

- 제시문 (나)의 미적 체험과 도덕적 체험은 동일한 것이라는 사실을 실마리로 하여 제시 문 (다)의 구체적인 사례를 참조하면서, 제시문 (가) 시에 나타난 화자의 정서적 체험과 의지 즉, 화자의 미적 체험과 도덕적 체험이 별개의 것이 아니라 동일한 서정적 체험에 서 발생하는 것이라는 사실을 서술하는 방향으로 답안을 구성하면 된다.

- 다시 말해, 시적 화자가 밤하늘의 별을 바라보면서 어떠한 미적 체험을 하였으며, 또 그 것으로부터 어떻게 생명 있는 모든 것들의 아픔을 자기 것으로 떠안는 도덕적 자아로 성 장하게 되었는지에 대한 과정이 시 속에서 어떻게 표현되고 있는지를 서술하면 되는 것 이다.

▣ 평가 항목

- 가) 시에서 시적 화자가 별을 바라보면서 우주와의 하나된 체험을 통해 생명 있는 모든 것 들의 아픔을 자기 것으로 떠안는 도덕적 자아로 성장하게 되는 과정을 잘 서술하고 있다.

제시문 의 환경에서 사람들이 의 ㉠에 의존하게 될 때, 어떤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지를 , 를 참조하여 논술하시오. (750 ± 50자)

(가) 일정 지역 내의 사람들이 다른 지역 사람들과 구분되는 자신들만의 문화적 고유성을 인식하 게 될 때, 그들은 상호간에 친밀감과 소속감을 느끼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공동체 의식을 통해 그들은 사회를 지지하고 발전시키려는 집단적 의지를 갖게 되므로, 사회는 하나의 정신적 통일체 라고 할 수 있다. (중략)

오늘날에는 정보 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종래 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였던 지역성이 상당히 약화되고 있다. 인터넷 등의 발전에 따라 ‘제2의 도시’라고 할 수 있는 가상 공간이 탄생하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가상 공간 내에서 사람들의 상호 작용이 급증하고 있고, 가상 공간에서 공유 된 삶을 통해 공통된 문화 및 소속 의식을 발전시키고 있으며, 시간적ㆍ공간적 제약을 초월한 가 상 공동체가 현실화되고 있다.

― 뺷고등학교 윤리와 사상뺸 ―

(나) 제임스 서로위키는 “인간은 제한적 합리성 속에서 살고 있지만, 이러한 한계에도 우리의 불 완전한 판단을 적절한 방법으로 합치면 집단의 지적 능력은 놀라운 결과를 만들어낼 때가 많다.”

고 말한다. 그는 집단의 지적 능력이란 집단을 하나의 개체로 볼 때 그 집단이 갖고 있는 지적 능력이며, 최종적으로 한 가지의 결과를 내놓기 때문에 개별적 기능의 합과 다르다고 본다. 그의 입장에서 집단지성은 ㉠‘군중의 지혜’와 같다. 군중의 지혜에 관해서 서로위키는 올바른 자료가 사용되고 판단에 참여하는 이들이 그 영역에 대한 경험을 축적하고 있다면 대중 또한 얼마든지 현명한 집단적 판단을 내릴 수 있다고 주장한 바 있다. 하나의 예로, 대중은 기지와의 접촉이 끊 어진 한 잠수함이 어디쯤에 있을지를 놀라울 정도로 정확하게 예측했다. 잠수함에 대해서 어느 정도의 관심을 갖고 있는 이들을 대상으로 조사했는데, 답변의 범위는 물론 전문가가 한 답변의

고 말한다. 그는 집단의 지적 능력이란 집단을 하나의 개체로 볼 때 그 집단이 갖고 있는 지적 능력이며, 최종적으로 한 가지의 결과를 내놓기 때문에 개별적 기능의 합과 다르다고 본다. 그의 입장에서 집단지성은 ㉠‘군중의 지혜’와 같다. 군중의 지혜에 관해서 서로위키는 올바른 자료가 사용되고 판단에 참여하는 이들이 그 영역에 대한 경험을 축적하고 있다면 대중 또한 얼마든지 현명한 집단적 판단을 내릴 수 있다고 주장한 바 있다. 하나의 예로, 대중은 기지와의 접촉이 끊 어진 한 잠수함이 어디쯤에 있을지를 놀라울 정도로 정확하게 예측했다. 잠수함에 대해서 어느 정도의 관심을 갖고 있는 이들을 대상으로 조사했는데, 답변의 범위는 물론 전문가가 한 답변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