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 논제 및 제시문

사회에서의 삶은 개인이 사회화된다는 것을 전제한다. 사회화는 개인이 인간들 사이의 사회적 관계를 익히고 한 사회 혹은 집단의 규범과 가치, 신앙에 동화되어 가는 메커니즘에 상응한다.

부르디외에게서 사회화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설명되는 아비투스(habitus)의 형성에 의해 특 징지워진다.

각각의 계층이 생존 환경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영구적이면서 동시에 변동 가능한 성향체계인 아비투스가 만들어진다. 그것은 의식적으로 목표를 겨냥하거나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 필요한 조 작을 명시적으로 통제하지 않는다. 그러면서도 목표를 달성하는 실천과 표상을 조직하고 발생시 키는 원칙으로서 기능하는 구조이다. 이 실천과 표상들은 결코 규칙에 복종한 결과로 생겨난 것 이 아니면서도 엄연한 규율의 자격으로 사회적 실천을 규제한다.

개인에게 내면화된 지각과 행동의 도식은 또한 구도라 불리기도 한다. 따라서 우리는 아비투 스를 이루는 두 개의 구성 요소를 구분해 볼 수 있다. 하나는 실천적 상황에서의 원칙이나 가치 를 가리키는 에토스(ethos)이다. 그것은 일상의 행위를 결정하는 도덕의 내면화된 형식으로 무의 식적으로 작용한다. 다른 하나인 신체적 엑시스(hexis)는 신체의 성향으로서 개인의 역사 속에서 무의식적으로 개인에게 각인된 습관을 일컫는다.

그러므로 아비투스는 우리가 현실을 지각하고 판단할 수 있게 해주는 해석틀인 동시에, 우리 의 실천을 만들어 내는 장본인이다. 그것은 일상적인 의미에서 개인의 인성을 규정하는 토대가 된다. 우리는 자신이 이미 이러저러한 성향과 감수성을 지니고 있으며, 이러저러하게 행동하고 반응하는 태도와 스타일을 가지고 태어났다고 느낀다. 포도주보다 맥주를 좋아하고 정치 영화보 다 액션 영화를 좋아하는 것, 또 좌익보다 우익에 표를 던지는 것은 아비투스의 산물이다. 우리 의 표상은 우리가 차지한 위치(그리고 거기에 결부된 이해관계)와 지각・판단 구도의 체계이자, 우리가 사회 내의 어떤 위치를 지속적으로 경험함으로써 습득하는 인식과 평가구조인 아비투스 에 따라 달라진다.

- 파트리스 보네위츠 저, 문경자 역, 뺷부르디외 사회학 입문뺸

[나]

최근 한 연구는 명품 브랜드A를 구매한 소비자들과 그것의 복제품을 구매한 소비자들을 대상

2. 문항 분석

▣ 논제 및 제시문

으로 실험을 했다. 그리고 각 집단을 해당 상품을 구매한 동기에 따라 2개 집단으로 다시 나누었

[라]

“뭣이 어쩌구 어째?”

“왜유?”

“왜애유? 이런 잔인무도한 것들 같으니…….”

총수는 분기탱천하여 부쩌지를 못하였다. 보아하니 아는 문자는 다 동원하여 호통을 쳤으면 하나 혈압을 생각하여 참는 눈치였다.

“달리 처리헐 방법두 웂잖은감유.”

총수의 성깔을 덧들이려고 한 말이 아니었다. 그가 할 수 있는 것이 그 방법말고는 없었기 때 문에 그렇게 뒷동을 단 거였다.

총수는 우악스럽고 무식하기 짝이 없는 아랫것들하고 따따부따해 봤자 공연히 위신이나 흠이 가고 득 될 것이 없다고 판단했는지, 숨결이 웬만큼 고루 잡힌 어조로,

“그 불쌍한 것들을 저쪽 잔디밭에다 고이 묻어 주지 않고, 그래 그걸 술안주해서 처먹어 버려?

에이……에이……피두 눈물두 없는 독종들…….”

하고 혼잣말처럼 중얼거리면서 들어가 버리는 것이었다.

- 이문구, 뺷유자소전뺸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

※ 지문의 일부 문장은 수정되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