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평가체계 구축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110-114)

제4장 밈적 디자인 평가지표 구축

4.2 평가체계 구축

⦁ 평가 개요

본 논문에서의 평가대상은 도시공간 내에 존재하는 모든 건축공간을 대상으로 하며 공 공성을 포함하는 모든 공간을 다루어 공공공간의 질적 향상을 목표로 한다. 본 평가체계를

통해 공공공간이 밈적 특성에 대한 기준을 얼마나 만족시키는가에 대해 분석 및 평가하고 이를 통해 향후의 계획적 공간 디자인과 정책 반영을 기대할 수 있다. 평가는 지역민과 공간 계획 관련 담당자가 주체가 되어 평가관리자에 의해 분석되며 위 결과를 통해서 문 제점을 도출하고 더 나은 공간을 만들기 위한 과정을 유도한다.

⦁ 평가지표

두 차례에 걸친 설문조사 및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도출된 평가항목은 연속성, 다양성, 접근성, 지속성, 지역성, 경제성, 참여성, 사회성으로 총 8개의 평가항목과 31개의 세부지 표로 나타났다.

표4-17 밈적 공공공간의 디자인평가지표

평가유형 평가항목 세부 지표 내용

공 간 적 평 가

연속성

- 대상지의 장소성을 고려하였는가 - 컨텍스트에 잘 맞는 계획인가 - 기존의 역사 및 문화를 보존하는가 - 공간이 환경과 상호작용하는가 - 도시의 이미지를 생성하는가 다양성

- 공적 공간과 사적 공간이 조화를 이루는가 - 공간의 기능이 가변적으로 운영되는가

- 기능이 다른 공간이 다양하게 형성되어 있는가

접근성

- 다양한 교통으로의 접근이 좋은가

- 대중교통 정류장이 가까운 곳에 연계되어 있는가 - 주요보행로 및 도시 공공공간과 연계 되어 있는가

- 모든 장소와 건물에 장애인을 포함하여 누구나 접근하기 쉬운가 - 공간의 동선과 배치는 인지하기 쉬운가

지속성

- 주변 지역의 개발계획을 고려하여 계획되었는가 - 공간 요소가 순환적 구성을 갖추었는가

- 건물이용자의 요구에 맞게 적용하기 쉬운가 - 생애주기비용이 고려되었는가

- 유지․관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가 사

회 적 평 가

지역성

- 지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있는가 - 도시 정체성에 맞는가

- 도시특성에 맞는 공간 프로그램이 있는가 - 공간이 지역시설과의 관계를 맺고있는가 경제성

- 시가지의 확장에 대응 가능한가

- 주변의 사회적, 경제적가치가 상승하였는가

- 젠틀리피케이션과 같이 기존 상권 및 주민이 피해받을 우려는 없는가 행

태 적 평 가

참여성

- 다수의 이용자로 인해 공간이 활성화되었는가 - 지역민의 적극적인 참여가 행해지고 있는가 - 공간이 주기적으로 이용되는가 (이벤트성X) 사회성

- 방문하고 싶은 공간인가 - 다양한 커뮤니티를 제공하는가

- 공간이 이용자들의 활동과 이미지를 긍정적으로 강화시키는가

⦁ 평가결과 표현

평가의 결과는 평가항목별 결과를 그래프화하여 DQI의 디자인 평가 분석 결과 표현111) 을 기반으로 본 연구의 평가항목에 맞춰 재구성하였다. 분석 결과의 내용을 직관적으로 파 악할 수 있으며 결과를 통한 비교분석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의 평가지표 표현결과는 총 세 가지 그래프를 포함하고 있으며 첫 번째 스파이 더 다이어그램의 경우 총 5단계의 팔각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중앙에 가까울수록 공간의 인식이 부정적임을 나타내고 중앙에서 멀어질수록 긍정적 평가임을 나타낸다. 색상이 칠해 진 면적이 클수록 공간의 전체적인 평가 점수가 높고 긍정적 결과임을 알 수 있다. 두 번째 백분율 누적 막대그래프는 0%에서 100%까지의 전체 평가지표에서의 우선순위를 나 타내며 전체 결과의 가중치와 얼마나 높은 점수를 주었는지 동시에 나타낸다. 세 번째 비 교그래프는 최고점수와 평균점수를 파악하기 용이하도록 동시에 표현한 것으로 최고점수 의 면적에 따라 편차의 정도를 알 수 있다.

그림4-7 평가 결과 스파이더 다이어그램

111) DQI. DQI for education: Guidance. DQI, 2018, p.9.

그림4-8 평가결과 항목별 백분율 누적 막대 그래프

그림4-8의 예시를 보면 연속성이 가장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으며 평가 공간의 여러 속 성 중 연속성 항목의 점수가 가장 높다는 뜻으로 공간에서의 연속성에 대한 지표의 내용 이 잘 나타나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의미로 볼 수 있다. 접근성의 경우 가장 낮은 2점으로 평가 공간이 접근성이 낮고 부정적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백분율 누적 그래프는 공간의 밈적 강점과 약점을 판단할 수 있어 결과에 대한 대안을 도출하는데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림4-9 평가자 최고점수와 평균점수 비교 그래프

그림 4-9의 점수비교 그래프는 최고점수와 평균점수를 비교해 놓은 것으로 연속성의 항 목은 점수의 차이가 없지만 접근성의 항목은 점수의 차이가 큰 것을 알 수 있으며, 이와 같이 편차가 큰 항목의 경우 편차가 큰 이유를 분석하여 이용자에 따른 공간 계획 대안까 지 추론할 수 있는 등, 분석의 방법에 따라 다양한 결과를 유추할 수 있다.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110-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