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밈적 공간의 유형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2-43)

제2장 밈(Meme)과 공공공간

2.1 밈의 이해

2.1.4 밈적 공간의 유형

앞서 살펴본 밈의 개념을 토대로 밈적 공간에 관한 선행연구를 통해 밈적 공간의 유형 을 구분하였다. 밈을 중심으로 한 연구는 사회학 분야 및 신경과학 분야 등에서 행해져 왔으나 주로 과학적 연구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공간 분야의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비한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밈이 공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미래지향적 특성을 지녔다는 점을 도출한 것에 의의가 있다. 선행연구에서 분석한 밈적 유형과 특성을 조사한 결과, 밈의 세부적인 특성 도출과 관련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었는데 밈의 특성은 연구자들 의 개인적 기준에 따라 다르게 표현되었으나 그 내용적 의미는 변이와 확장을 통해 새로 운 무언가를 만들어 내는 것으로 지속적인 변화를 보인다는 점에서 유사한 것을 알 수 있 다. 이는 변화를 넘어서 진화하는 공공공간의 유의미함을 나타내며, 이를 위해 기존 선행

연구에서의 특성을 유형화하기 위한 재분류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의 특성 을 종합하여 더 명확한 밈적 공간유형을 구분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선행연구에서 추출한 특성을 의미적으로 종합하여 빈도순으로 정리하면 7가지 특성으로 분류할 수 있다. 분류된 특성은 변이성, 확장성, 다양성, 복합성, 공공성, 조직성, 지속성으 로 구분할 수 있다.

표2-4 선행연구의 밈적 공간 특성

특성 선행연구자

빈도수

남선영 외 이현진 윤일 외 Salingaros 외

공공성 ● ● ● 3

변이성 ● ● 2

확장성 ● ● 2

다양성 ● ● 2

복합성 ● ● 2

조직성 ● ● 2

지속성 ● ● 2

단순성 ● 1

장소성 ● 1

독창성 ● 1

유용성 ● 1

적합성 ● 1

보호성 ● 1

사회성 ● 1

상호작용성 ● 1

잠재성 ● 1

본 연구에서는 기존 선행연구에서 빈도순으로 정리된 7가지 특성을 의미적으로 재분류 하여 유형화하고 조직형을 공공형으로, 다양형을 복합형으로 귀속시키고자 한다. 중복되는 의미의 유형을 제거하고 명확한 유형화를 하기 위함이다.

표2-5 밈적 공간의 유형 도출

구분 내용

변이형 공간 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상호작용하여 건축 및 공간 구조의 형태적 변형

확장형 공간을 둘러싼 환경과 상호작용하여

지역적 맥락을 지키며 공생하고 도시 이미지 생성

복합형 공간의 재해석 및 변이‧복제로 인해 기능 및 형태가 다양하게 표현하고 공간 요소의 융합과 변형으로 순환적 구성과 요소의 상호작용을 연출

공공형 사회활동을 통해 소통과 향유하는 공간으로서 열린 체계

지속형 공간이 끊임없는 변화를 통해 지속적으로 진화하며 발전

밈적 공간의 유형에 따른 내용은 다음과 같다.

⦁ 변이형

변이형은 시간에 따라 공간 환경이 변화함으로 인해서 공간과 환경이 상호작용을 하며 건축 혹은 공간의 변형을 보이는 것이다. 각각의 요소들이 융합하고 대립, 변형되어 새로 운 공간을 형성하게 되고 기존의 구조나 형태적인 구분이 재구성됨으로 인해 통합적인 결 과로 나타나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각 요소들이 결합하여 혼성적인 특성을 보이며 대비 혹은 조화의 방식으로 표현된다. 또한 장소성을 공간 형성의 매개체적 역할로 삼아 형태의 변이를 야기한다.29) 인간은 복잡한 방식을 통해 공간과 장소에 대응한다. 여기서 공간과 장소는 같은 의미로 해석기도 하지만 공간은 장소보다 더 추상적인 개념이다. 인간은 장소 생성 체험을 통해 어떤 공간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그것에 가치를 부여함으로써 생성한다.

우리의 심상에 체험을 통해 기억되는 장소는 형성과정에 있어 논리적인 질서를 가지게 되 고, 그 중 하나는 시간적 질서이다. 기본적인 장소의 의미를 위해서는 이동으로부터 정지 를 해야 한다는 조건을 가진다는 관점에서 장소는 ‘경과적 의미의 시간’과 ‘때’의 의미의 시간 두 가지 의미와 밀접하게 연관된다. 일반적으로 친숙한 장소의 느낌을 위해서는 시간 의 경과에 따른 일상의 행위가 장소와 반복되어 결합하는 것이 필요로 하는데 이것을 경 과적 의미의 시간이라 보며, 시간에 따라 변하는 빛과 그림자, 일출이나 일몰, 계절의 변 화, 전망을 통해 알 수 있는 시간, 때에 따라 변하는 거리의 소음 등이 때의 의미로서 시

29) 이현진. opcit., p.63.

간이다. 장소에 의한 경험은 연속성과 끊임없는 변화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장소에 있어 시간은 체험의 중요한 요소가 된다. 공간은 움직임이 가능하다면 하나의 공간에서 다른 공 간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방향감을 얻게 되고 시간적 요소가 개입된다. 즉, 시간과 공간이 서로 중요 요소로 파악될 때 공간의 장(場)개념이 생성된다. 공간에 시간적 개념이 도입되 면 그 공간을 느끼는 주체인 인간이 관여함으로써 실존적 의미를 지니고 있던 공간이 구 체적인 형상을 띄고 더 나아가 공간을 감각으로 인지 및 인식하는 과정을 통해 환경적인 특성을 부여하면서 장소화되는 것이다.

공간이란 3차원의 것으로 바라본다. 이 개념에 시간이 결합되면 4차원의 공간으로 볼 수 있는데 이것은 움직임의 의미를 지닌 동적인 공간을 의미한다. 여기에 인간이 관여하면 현실성을 가진 실존공간이 되고, 시각적인 효과를 동반하여 최종적으로는 환경이 결합됨으 로써 지각과 인식까지 이룬다. 이러한 과정이 공간과 장소로까지 변환되는 과정으로 이해 할 수 있는데, 과정을 통해 추상의 개념에서 실존적이고 구체적인 개념의 장소로 발전하는 것이다. 따라서 장소는 과거의 체험과 현재의 사건들, 미래의 희망들이 현재적 표현을 지 니고 있을 때이다.30) 공간구성에 있어서 특히 중요한 것은, 각 복합공간들의 연계성 강화 를 위한 가변적 공간구성이다. 공간의 가변성을 부각시키는 것은, 시설의 관계자나 체험생 산자가 불필요한 공간적 경계를 허물 수 있고, 시대적 흐름과 요구에 민첩하게 반응할 수 있는 문화체험과 교류의 장을 조성하는데 유리한 유연성을 갖추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개별성의 자기독립성과 자기완성도를 높이면서, 개별성을 통한 복합성을 이루기 위해서 개 별성이 갖춰야 할 요소인 유연성은 자기 완결적인 개별공간 내부에서 확보되기는 어렵다.

따라서 개별성과 개별성을 이어줄 수 있는 중간적 매개공간을 삽입하여 개별적 기능단위 가 타 기능단위에 대한 연결고리를 확보하여야 한다.31) 즉, 가변적 오픈스페이스를 확보할 경우, 다양한 문화적 성격을 내포한 프로그램 및 공간들 간의 접목이나 새로운 기획에 유 연성을 강화함으로써 시설 각 공간 간의 연계성 강화와 예측치 못한 체험의 확장을 실현 할 수 있다.32)

⦁ 확장형

확장형은 공간을 둘러싼 환경과 공간이 상호작용하며 지역적인 맥락을 지켜서 서로 공 생하고, 이를 통해 도시의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을 지칭한다. 밈이 변이, 결합, 복합, 복제

30) 이영주. 장소성 형성을 위한 공간디자인 방법에 관한 연구. 1998.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 pp.13-14.

31) 이영범. "어린이 복합문화공간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건축대학원 논문집, vol.10, 2006, p.30.

32) 김지예. 대학 뮤지엄의 복합문화커뮤니티공간 조성을 위한 지표 개발. 2020.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p.74.

의 과정을 통해 영향력의 범위를 넓혀가면서 지속적으로 확장하는 것을 의미하며 미래에 관련한 지향적 의미가 강하다고 볼 수 있다. 밈의 생명력이 강하고 번식력이 우수한 공간 은 점차적으로 영역을 확장하게 되며, 반대의 경우 공간의 축소가 일어난다.33) 밈의 공간 적 확장은 경계성, 통합성, 방향성으로 특성 세 가지를 지닌다. 경계성은 영역별 구분을 뜻하기도 하지만 밈의 특성상 생존을 위해 배제되는 밈과 밈의 경계를 말하기도 한다. 통 합성은 변이과정부터 이어져온 것으로 밈적 특성에 따라 결합하지만 이 때 결합하지 못한 밈적 공간은 생존하지 못하고 소멸되기 때문에 공간은 같은 영역과의 통합성을 가진다고 본다. 마지막 방향성은 규정된 공식에 따라 움직이는 것으로 밈의 알고리즘에 따른 과정 중에 변형 밈이 생겨나기도 하고 각 단계별로 밈복합적 공간을 보이기도 하기때문에 방향 성을 지닌다 볼 수 있다.34)

미스반데로에(Ludwig Mies van der Rohe, 1886~1969)의 작품인 유니버설 스페이스는 공간의 무한한 확장을 암시하였고 관념적 평면구획에서 벗어나 자유로운 공간으로부터 작 은 개체공간까지 다양하게 구성 가능한 개방형 평면으로 어떠한 용도에도 대응 가능한 융 통성을 가져왔다.35) 신 국립미술관(Berlin, Germany)은 기둥이 8개로 되어 있어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고 전시의 개념에 따라서 다양한 분할 방식을 소화할 수 있는 공간 구성 을 보여준다. 연속성을 보여주는 다른 작품으로는 바르셀로나 파빌리온이 있다. 유리벽과 패널이 방향성을 가지며 내‧외부 공간이 상호관입되는데 단일한 공간에 변화를 주기 때문 에 연속성의 효과를 만들어내는 유동적 공간이 되었다. 공간과 공간이 상호 침투하여 내‧

외부의 뚜렷한 구분이 존재하지 않는 유동성은 중심을 없애고 비위계적 공간을 위한 수단 으로 균질공간의 개념과도 맥락이 같다.36)

공간에서의 벽은 여러 가지 변형을 통하여 공간의 복합적이고 다양한 공간을 만들 수가 있으며, 벽의 구조적 조작으로 인해 공간 확장이 이루어지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공간의 확장성은 크게 3가지로 형태적 확장·시각적 확장·체험적 확장으로 나눌 수 있다.

첫째, 형태적인 확장성. 조작을 통한 벽의 형태를 다양한 모습으로 변형시킬 수 있게 만 드는 것으로, 특히 가변적인 벽은 공간 간의 경계를 없애므로 공간의 경계성과 상징성을 허물어 확장시키려는 특징을 지닌다. 또한 중첩공간의 벽은 공간에서 복잡하게 나타나는 것 때문에 공간을 모호하게 만들어 확장시키려는 성질도 지닌다.

33) 이은정. 디지털 패러다임에 의한 유기체적 공간에 대한 연구. 2003.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p.147.

34) 윤일, 조벽호. "밈(meme)의 현상이 문화에 수용되는 공간적 구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ol.4, no.3, 2009, pp.7-8.

35) 강태욱. 리좀(Rhizome)의 건축적 구현에 관한 연구. 2010.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p.18.

36) ibid., p.19.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2-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