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예비평가항목 1차 선정 및 중요도 평가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102-109)

제4장 밈적 디자인 평가지표 구축

4.1 평가항목 선정

4.1.2 예비평가항목 1차 선정 및 중요도 평가

⦁ 중요도 평가

앞서 예비항목으로 추출된 35개 세부 지표에 대한 검증과 보완을 통해 밈적 공공공간의 디자인평가를 개발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예비평가항목의 객관성과 타당성을 부여하기 위 해 본 연구의 논제와 관련 분야에 있는 전문가를 선정하여 예비평가지표를 통한 설문조사 를 실시하였다.

1차 예비평가항목을 검증하기 위해 중요도 평가조사를 면접과 함께 실시하였다. 2020년 9월 21일부터 10월 2일까지 약 2주 동안 총 8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100% 회수하였으 며 면접 이후 세부적인 추가 내용은 이메일을 통해 진행하였다. 기본 조사방법은 면접조사 이나, 부득이한 경우 개별 면담을 통해 대상자에게 연구목적과 내용에 대한 충분한 설명 후에 진행하였다. 설문조사 대상자는 공공디자인, 공간디자인 관련 전문가와 석,박사 대학 원생으로 구성하였다.

설문조사의 정확성과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표본은 크게 전문가 그룹과 예비전문가 그 룹 총 2개 그룹으로 설정하였다. 전문가 그룹은 40명으로 평가항목에 대해 기본 이해도를 갖추고 있는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경력 10년 이상의 전문가와 대학교수, 공공디자인 관 련 석‧박사이다. 예비전문가의 경우 공공공간을 이용하는 이용자를 파악하기 위함이나 설 문 내용에 대해 단시간 이해가 어렵다고 판단하여 대학과 대학원에서 공공, 공간디자인을 전공하고 있는 학‧석사과정 및 관련 디자이너 40명을 예비전문가 그룹으로 선정하였다.

중요도 평가를 위한 설문 내용은 사회인구학적 조사를 위한 일반사항인 명목척도와 중 요도평가를 위한 리커트 5점 등간척도 방식으로 구성하였다. 중요도 평가 전의 설문은 공 공공간의 이용횟수, 이용목적, 공공공간에서 지속가능한 환경이 되기 위한 요소 등의 내용 으로 공공공간에 대한 설문자의 이용현황과 밈의 공간적 특성에 대한 기본 인지 정도를 파악하는 것에 의미가 있다. 자료의 분석은 SPSS 26.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설 문 내용과 설문대상자의 일반사항은 표4-5, 표4-6과 같다.

표4-5 설문 내용

분류 내용

일반 사항 성별, 연령, 전공분야, 경력, 학력, 이용빈도, 이용목적 평가 항목 중요도 평가 밈적 공공공간 평가에 대한 중요도 판단

표4-6 설문 응답자 일반사항

분류 전문가 그룹 예비전문가 그룹

빈도(비율) 빈도(비율)

성별 남자 22(55) 10(25)

여자 18(45) 30(75)

연령

20대 5(12.5) 26(65)

30대 16(40) 14(35)

40대 15(37.5)

-50대 4(10)

-학력

석사미만 3(7.5) 37(92.5)

석사재학 2(5)

-석사 13(32.5) 3(7.5)

박사재학 8(20)

-박사수료 8(20)

-박사 6(15)

-전공 및 직무 분야

공간디자인 22(55) 28(70)

공공디자인 11(27.5) 2(5)

산업디자인 5(12.5) 5(12.5)

시각디자인 2(5) 5(12.5)

경력

3년 미만 5(12.5) 25(62.5)

3~5년 4(10) 6(15)

6~10년 8(20) 6(15)

11년~20년 19(47.5) 3(7.5)

20년 이상 4(10)

-- 40(100) 40(100)

F(%)

설문지에는 각 평가지표에 따른 내용으로 설문 대상자에게 기본적인 평가항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였으며, 밈적 공공공간의 중요도에 대해 대상자가 직관적 판단에 의해 응답 할 수 있도록 리커트 5점척도를 제시하였다.

중요도 평가 전 공공공간의 이용 현황에 관한 질문 중 이용 빈도에 관한 응답으로 전문 가 그룹은 주 1~2회(60%)가 가장 높았던 반면, 예비전문가그룹은 주 1~2회(40%)와 한달 1~2회(40%)항목이 동등한 빈도수로 높은 분포를 보이며 전문가 그룹에 비해 예비전문가 그룹의 이용빈도가 높은 것을 나타냈다. 이용 목적에 대한 응답으로는 전문가그룹과 예비 전문가그룹 모두 여가 활동을 위한 방문(65%, 75%)이 빈도수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 으며 그 뒤를 이어 전문가그룹은 커뮤니티 활동을 위한 방문(12.5%), 예비전문가그룹은 만남의 장소로 활용하기 위한 방문(12.5%)으로 두 번째 높은 빈도수를 나타냈다.

표4-7 설문 응답자 공공공간 이용현황

분류 전문가 그룹 예비전문가 그룹

빈도(비율) 빈도(비율)

이용 빈도

거의 없음 2(5) 5(12.5)

주1~2회 24(60) 16(40)

주3~4회 3(7.5) 2(5)

매일 - 1(2.5)

한달1~2회 11(27.5) 16(40)

이용 목적

여가활동 26(65) 30(75)

커뮤니티활동 5(12.5) 2(5)

만남의 장소 3(7.5) 5(12.5)

업무 6(15) 3(7.5)

- 40(100) 40(100)

F(%)

평가항목에 관한 설문 내용은 중요도 검증 이전에 신뢰도 분석을 통해 신뢰도를 검증하 고 타당성 검증을 위한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평가지표의 중요도 분석을 진행하였다.

⦁ 신뢰도 분석

신뢰도는 설문에 응하는 사람이 정확하고 일관되게 임했는가를 분석할 때 사용하는 것 으로 측청 척도의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해 크론바흐의 알파(Cronbach’s Alpha)에 의하여 산출된 신뢰도 계수를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이 계수는 0과 1사이의 값을 가지며, 값이 높 을수록 신뢰도를 보인다고 볼 수 있으며 일반적인 사회과학 분야의 연구에서는 0.6 이상 의 경우 신뢰성이 적절하다고 판단한다.107) 본 설문의 신뢰도를 분석한 결과 모든 항목의 신뢰도가 0.6 이상으로 신뢰성이 있음을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표4-8 측정도구 신뢰도 분석

전체 평가항목 0.905

공간적 평가 사회적 평가 행태적 평가

0.861 0.730 0.728

(Cronbach’s Alpha)

107) 우수명. SPSS 26.0(마우스로 잡는). 양서원, 2019, p.419.

⦁ 요인 분석

요인 분석(Factor Analyze)은 다수의 변수 간 상호 관련성을 상관관계에 기초하여 분석 한 후 공통 요인을 설명하는 통계 방법이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평가지표의 타당성 을 평가하기위해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자 하는 변수와 공통의 요인에 속하는 변수가 동일하면 변수 측정이 타당하다고 통계적 검증으로 판단가능하다.108)

중요도 척도 문항 35개의 구성 타당도를 파악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EFA)을 실시 하여 잠재요인을 추출하였다. 그 결과 표본적합도는 0.714로, 본 설문 자료가 요인분석에 적합하다고 할 수 있으며, Bartlett의 구형성 검정 결과, =1329.538, p=0.000으로 유의 수준 0.05를 기준으로 척도 변수 간에 상관성이 인정되는 것으로 인해 전반적인 요인분석 이 가능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설명된 총분산의 누적 비율이 60% 이상으로 설명력 이 있어 유의미하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10개의 하위요인이 추출되었으며, 내용은 표 와 같다.

***p<.001

표4-10 설명된 총분산

요인 초기 고유값 추출 제곱합 적재량 회전 제곱합 적재량

전체 % 분산 누적 % 전체 % 분산 누적 % 전체 % 분산 누적 %

1 8.866 25.333 25.333 8.866 25.333 25.333 4.026 11.503 11.503 2 2.747 7.847 33.180 2.747 7.847 33.180 3.080 8.801 20.304 3 2.333 6.664 39.844 2.333 6.664 39.844 2.924 8.355 28.659 4 1.852 5.292 45.136 1.852 5.292 45.136 2.389 6.826 35.485 5 1.702 4.862 49.998 1.702 4.862 49.998 2.334 6.669 42.154 6 1.520 4.344 54.342 1.520 4.344 54.342 1.989 5.683 47.837 7 1.331 3.803 58.145 1.331 3.803 58.145 1.953 5.581 53.418 8 1.262 3.607 61.751 1.262 3.607 61.751 1.793 5.124 58.542 9 1.229 3.512 65.263 1.229 3.512 65.263 1.760 5.028 63.570 10 1.143 3.266 68.529 1.143 3.266 68.529 1.736 4.959 68.529

108) ibid., p.80.

109) KMO(Kaiser-Meyer-Olkin)측도: 요인분석 시 수치가 높을수록 설명력이 높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0.5 이상 의 수치를 보이면 요인분석에 사용할 수 있다고 본다.

표본적절성의 KMO109)측도 0.714

Bartlett의 구형성 검정

근사 카이제곱 1329.538

자유도(df) 595

유의확률(p) .000***

표4-9 만족도 척도 탐색적 요인분석

⦁ 중요도 분석

설문조사 결과는 중요도 5점 척도를 수치화하여 그 평균을 산정하였으며 밈적 공공공간 에 대한 중요도는 사회성(4.525), 접근성(4.225) 참여성(4.162), 연속성(4.150), 가변성 (4.130), 지속성(3.975), 지역성(3.937), 다양성(3.862), 공공성(3.825), 경제성3.695) 순으 로 나타났다. 대분류 별 결과를 보자면 공간적 평가에서는 접근성이 가장 높았고 사회적 평가에서는 지역성, 행태적 평가에서는 사회성이 비교적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점 이상인 항목은 사회성, 접근성, 참여성, 연속성, 가변성으로 나타났으며, 지속성, 지역 성, 다양성, 공공성, 경제성 또한 평균 점수가 3.5 이상으로 대체적으로 전체 항목이 중요 함을 알 수 있다. 하지만 평균에 비해 표준편차가 0.5이상으로 다소 높게 측정되어 확인해 본 결과 세부지표에서 소수의 표본이 1점에 해당하는 낮은 점수를 부여하여 편차가 높은 것으로 판단하였다. 이와 같은 내용은 표4-11, 표4-12로 정리하였다.

표4-11 분류별 중요도 분석 결과

분류 공간적 평가 사회적 평가 행태적 평가 점수

연속성 다양성 가변성 접근성 지속성 지역성 경제성 공공성 참여성 사회성 평균 그룹평균

(표준편차)

4.150 (0.618)

3.862 (0.762)

4.130 (0.862)

4.225 (0.601)

3.975 (0.678)

3.937 (0.675)

3.695 (0.697)

3.825 (0.625)

4.162 (0.631)

4.525

(0.521) 4.048 전문가 4.100 3.825 4.150 4.160 3.940 4.062 3.633 3.881 4.133 4.525 4.0410 예비전문가 4.200 3.900 4.100 4.290 4.010 3.812 3.758 3.768 4.191 4.525 4.0556 n=80

표4-12 세부지표별 중요도 분석 결과

세부항목 1 2 3 4 5 6 7 8 9 10 11 12

평균 4.39 4.21 3.96 4.14 4.10 3.71 4.01 4.13 4.15 3.99 4.18 4.48 표준편차 0.703 0.807 0.934 0.838 1.026 0.944 0.934 0.862 0.781 0.879 0.839 0.811

세부항목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평균 4.34 3.88 3.98 4.06 3.63 4.34 4.03 4.01 3.94 3.78 3.60 3.85 표준편차 0.913 0.986 0.842 0.919 1.060 0.779 0.900 0.893 0.946 0.900 0.894 0.956

세부항목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평균 3.64 4.26 3.70 3.00 4.34 4.21 4.00 4.28 4.69 4.43 4.46 표준편차 1.105 0.853 0.973 1.055 0.856 0.822 0.827 0.811 0.542 0.742 0.728

n=80

⦁ 독립표본 T-검증

전문가와 예비전문가 간의 중요도 점수에 대한 평균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아래의 표4-13과 같이 각 항목의 유의확률이 0.05이상으로 통계적 으로 유의하지 않음을 뜻하기 때문에 그룹에 따라 중요도 점수에 차이가 없다고 할 수 있 다. 즉 대분류와 중분류 항목에서는 전문가와 예비전문가 모두 동일한 중요도를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유의확률이 음의 수로 나온 경우는 예비전문가의 중요도 인식이 더 높은 것으로 볼 수 있다.

표4-13 대분류_그룹에 따른 중요도 점수 평균 차이

그림4-5 대분류_그룹별 중요도 점수 평균 그래프

대분류 구 분 N 평균(M) 표준편차(SD) t(p)

공간적 평가 그룹 전문가 40 4.035 0.623

-0.559(0.578)

예비전문가 40 4.100 0.390

사회적 평가 그룹 전문가 40 3.859 0.542

0.722(0.472)

예비전문가 40 3.779 0.431

행태적 평가 그룹 전문가 40 4.329 0.527

-0.265(0.792)

예비전문가 40 4.358 0.453

n=80

표4-14 중분류_그룹에 따른 중요도 점수 평균 차이

그림4-6 중분류_그룹별 중요도 점수 평균 그래프

항목 구 분 N 평균(M) 표준편차(SD) t(p)

연속성 그룹 전문가 40 4.100 0.708

-0.721(0.473)

예비전문가 40 4.200 0.516

다양성 그룹 전문가 40 3.825 0.836

-0.437(0.663)

예비전문가 40 3.900 0.690

가변성 그룹 전문가 40 4.150 0.893

0.258(0.797)

예비전문가 40 4.100 0.841

접근성 그룹 전문가 40 4.160 0.690

-0.966(0.337)

예비전문가 40 4.290 0.498

지속성 그룹 전문가 40 3.940 0.830

-0.459(0.647)

예비전문가 40 4.010 0.489

지역성 그룹 전문가 40 4.062 0.690

1.674(0.098)

예비전문가 40 3.812 0.644

경제성 그룹 전문가 40 3.633 0.757

-0.799(0.427)

예비전문가 40 3.758 0.635

공공성 그룹 전문가 40 3.881 0.667

0.802(0.425)

예비전문가 40 3.768 0.583

참여성 그룹 전문가 40 4.133 0.691

-0.411(0.682)

예비전문가 40 4.191 0.574

사회성 그룹 전문가 40 4.525 0.574

0.000(1.000)

예비전문가 40 4.525 0.470

n=80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102-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