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공공공간의 기능 및 유형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6-49)

제2장 밈(Meme)과 공공공간

2.2 공공공간

2.2.2 공공공간의 기능 및 유형

변화에 따라 공공공간에 사람들의 행위변화가 반영되고, 또 다시 더 많은 사람들에게 이러 한 변화를 공공공간을 통해 확산시켜주는 역할을 한다.62)

이는 사회 변화가 공공공간의 행위, 활동에 영향을 미치고, 또한 공간에서의 활동이 다 시 사회의 변화에 영향을 준다고 해석할 수 있다. 공공공간에서 사람들은 상호작용하면서 관계를 형성한다. 따라서 사회적 변화를 반영하는 공공공간을 통해 사람들은 현재의 사회 적 현상을 인지할 수 있으며, 또한 이를 다른 사람과 공유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럼으로써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에 대처하는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데, 이러한 유연성이 다시 사 회의 변화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이다. 또한 공공공간은 다양한 계층의 불특정 다수가 다양한 도시적 요소들과 연결되는 기능을 가진다.63)

따라서 다양성과 복합성을 적극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매개 공간으로서의 역할을 수행 한다. 현대사회는 모든 영역에 다양성을 요구하는데 공공공간 또한 포함된다. 그러다 다양 성은 단순히 혼돈의 상태로 방치되는 것이 아닌, 공공공간의 범위 내에서 체계적으로 구성 되어야 한다. 이는 공공공간에서의 사회적 기능이 인간을 통제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다양한 욕구를 공간에 반영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시 공공공간은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접근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이 이용한다는 특징을 지닌다. 이는 공간에서의 활동이 특정 계층의 사람만을 위한 일부 활동이 아닌, 체계를 지니되 여러 계층을 위한 다양하고 복합적인 활동이어야 함을 의미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공공공간은 사람들이 모이는 단순한 매개 공간을 넘어, 사람들 이 모여 소통함으로써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기능적 공간이라 할 수 있다.

앞의 내용을 종합해보면 공공공간의 기능은 공공공간이라는 공간을 매개로, 다양한 활동 을 통해 다른 사람과 관계를 맺음으로써 커뮤니티의 활성화라는 사회적 기능의 역할이 강 조되고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에 적응하는 유연성 과, 다양하고 복잡한 사회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시키는 것임을 인지할 수 있다.

⦁ 공공공간의 유형

매튜 카모나(Mattew Carmona)외에 따르면, 공공공간은 넓은 의미로 외부 공공공간 (External Public Space)과 내부 공공공간(Internal Public Space), 그리고 외부/내부 공공 공간(External and Internal Public Space)으로 구분된다. 외부 공공공간은 개인 토지소유 주들 사이의 땅으로 볼 수 있다. 이를 도시공간에서는 도로 · 고속도로 · 광장 · 공공주차

62) 어정연. op.cit., p.21.

63) 서동진, 임종훈. “장소 정체성을 위한 도시 공공공간 유형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1, no.1, 2016, p.95.

장 등을, 시골에서는 호수 · 숲 · 해안선 등으로 보고 있다. 내부 공공공간은 박물관 · 시 청 · 도서관과 같은 공공기관, 버스정류장 · 공항 · 기차역 등의 공공교통시설을 들 수 있 다. 외부/내부 공공공간은 대학 캠퍼스, 운동 경기장, 쇼핑몰, 식당, 극장 등과 같이 법으 로는 사적 공간이지만 공공영역의 일부분을 차지하는 시설이다. 이러한 공간은 완전한 외 부적 공공공간은 아니지만 일반적으로 공공공간이 개인화되었다 보기도 한다.64)

일반적인 구분으로는 누구나 자유롭게 이용 가능한 오픈스페이스를 지칭하며 크게 공원, 광장, 가로 공간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시에서의 공원(Square)은 일종의 녹지 공간으로써 넓은 면적의 오픈스페이스이며, 도 시 내에 자연물 속에 있는 최소한의 구조물로 되어 있다. 도시 차원에서의 공원은 중요한 의미를 지닌 오픈된 스페이스로서, 보통 도시 중심부에 위치해 도시민의 접근을 용이하게 한다. 과거에는 물리적 형태 중심의 보는 공간이었다면, 최근에는 도시와 인간의 상생 관 계를 경험하는 체험의 장으로써의 역할을 한다. 그리고 최근에는 소규모 공원, 포켓 공원 등 오픈스페이스가 제한되어 있는 도시 내에서도 그 공간의 조건에 어울리는 형태로 나타 나고 있다.65)

그리스·로마 때부터 오랜 역사를 이어온 광장(Park)은 비교적 좁은 공공의 땅으로 집회, 유식, 교통, 기념 등의 목적으로 가로의 교차, 가로의 일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면적은 넓 지 않아도 도시공간으로 매우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할 수 있다. 광장은 커뮤니티역할을 하며, 만남으로서 사람들의 상호교류를 활성화하는 도시 공공공간의 일부이다. 도시 공간 에서 광장은 도시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그 역할은 문화·경제적인 의미를 넘어 대중과의 사회, 정치적 삶과 더불어 증대되어왔는데 특히 서구 사회에서 역사 속의 광장은 대중의 욕구에 대한 표현의 무대였다.66)

가로는 도보로 이동하는 도시 내 공간이며, 특정 공간과 공간 사이를 연결하는 길 (Street), 통로(Paths)의 의미를 지닌다. 즉 도시의 각 구성요소를 연결하는 매개 공간으로 서 보행자들에게 만남·대화·휴식 등의 다양한 활동을 제공하는 ‘생활의 장’으로서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케빈 린치(Lynch, 1960)는『도시 이미지(the Image of City)』에서

“통로는 도시라는 복합체 속에서 습관적으로 지나다니는 또는 언젠가 지날지 모르는 동선 의 네트워크이다. 이것은 전체에 질서를 주는 가장 유력한 수단이다.”라며, 통로의 중요성 을 언급하였다.67)

64) Carmona, Mattew. 도시설계 : 장소 만들기의 여섯 차원. 대가, 2009, pp.210-211.

65) 강초이. 다공성 개념을 적용한 도심 공공공간 활성화에 관한 연구. 2016. 홍익대학교 디자인콘텐츠대학원, 석사학위, p.11.

66) 이창훈. 건축물의 오픈 스페이스를 통한 ‘공공성’ 증진에 관한 연구:건축물 주변 공개공지와 내부 공개공간을 중심으로.

2005.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p.19.

제인 제이콥스(Jacobs, 1961) 역시 “어느 도시이미지를 생각할 때 최초로 떠올리는 것 이 가로이며, 도시의 주요 공공공간인 가로는 도시가 생명을 유지하는데 절대적으로 필요 한 장기”임을 강조하고, 가로는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이 소통하고 교류하는 공간임을 주장 했다.68) 이는 가로가 단순히 물리적 매개 공간일 뿐만 아니라, 사람들이 활동과 행위가 일 어나는 기능적 공간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6-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