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이 연구의 잠재변인인 진로적응성, 사회적 지지, 자아존중감, 자기주도학습에 대한 측정 모형의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는 다음 [그림 Ⅳ-1]과 같다.

주1) 자아존중감은 단일 요인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분석 시 관찰변인의 오차분산을 직접 지정했음.

이 연구에서는 불편추정치로써의 오차분산을 산출하기 위해 신뢰도와 측정오차의 관계를 이용한 공 식인 ‘오차분산=(1-신뢰도)×관찰변인의 분산’을 활용하여 오차분산을 추정하였음

주2) 지표변인으로 통계적 검정 불가 주3) *p<.05, **p<.01, ***p<.001

주4) 계수는 표준화계수(비표준화계수)로 표기함

[그림 Ⅳ-1] 측정모형의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가. 측정모형의 적합도 분석

확인적요인분석(CFA) 모형은 측정도구의 구인타당도에 대한 경험적 증거를 얻기 위해 설정되는 측정모형의 중의 하나로, 측정모형이 표본자료에 얼마나 잘 부합하고 있는지 확 인하기 위해서는 확인적요인분석모형의 적합도 지수를 확인한다.

본 연구에서 선정한 적합도 지수는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결과를 보고할 때 제시할 수 있 는 최소한의 적합도지수로 제시된 절대적합지수, 증분적합지수, 간명적합지수와 기타지수까 지 총 11개로, 적합도지수별 측정결과는 다음 <표 Ⅳ-6>과 같다.

적합도지수를 통해 확인한 결과, 절대적합지수 값이 GFI가 .936, AGFI가 .898, S-RMR이 .042로 모두 적합도 판단기준을 충족시켰으며, 증분적합지수 값이 NFl가 .941, IFI가 .957, TLI가 .941, CFI가 .956 모두 적합도 판단기준을 충족시켰다. 또한 간 명적합지수 PRATIO가 742와 PNFI .699, PCFI.710으로 모두 적합도 판단기준을 충족시 켰으며, 기타지수인 RMSEA도 .079로 좋은 편으로 나타나, 모형이 자료에 잘 부합되는 것 으로 판단하였다.

구분 적합도 판단 기준 분석 결과 적합 여부

절대적합지수(absolut fit index)

적합지수(GFI) ≥ .90 .936 적합

조정적합지수(AGFI) ≥ .85 .898 적합

표준잔차평균자승이중근(S-RMR) ≤ .08 .042 적합

증분적합지수(incremental fit index)

표준적합지수(NFI) ≥ .90 .941 적합

증분적합지수(IFI) ≥ .90 .957 적합

터커-루이스지수(TLI) ≥ .90 .941 적합

비죠적합지수(CFI) ≥ .90 .956 적합

간명접합지수(parsimonious fit index)

PRATIO(parsimony ratio) ≥ .50, .60 .742 적합

간명표준적합지수(PNFI) ≥ .50, .60 .699 적합

간명비교적합지수(PCFI) ≥ .50, .60 .710 적합

기타지수

근사오차평균자승의 이중근(RMSEA)

≤ .05: 매우 좋음

≤ .08: 좋은 편임

≤ .10: 적합

.079 적합

<표 Ⅳ-6> 측정모형의 모형적합도

나. 측정모형의 타당도 및 신뢰도 분석

앞서 살펴본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연구모형의 적합도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나 측정모형 의 신뢰성이 어느 정도 인정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나(김대업, 2008), 보다 엄격한 타당 도와 신뢰도를 평가하기 위해 요인부하량과 이에 대한 통계적 검정을 통한 수렴타당도와, 잠재변인 간 상관을 통한 변별타당도를 판단하였다.

수렴타당로란 각 관찰변인이 해당 잠재변인을 잘 측정하고 있는가를 의미하는 것으로 요 인부하량(factor loading)을 통해 판단할 수 있다. Bagozzi와 Yi(1991)에 따르면 확인적요 인분석에서 표준화계수가 .50이상 이면 관찰변인들이 강한 수렴 타당도를 갖는 것으로 판 단한다.

변인 비표준화계수 표준화계수 S.E. C.R.

진로적응성 관심 ← 진로적응성 0.747 .600 0.064 11.583***

통제 ← 진로적응성 0.950 .748 0.064 14.926***

호기심 ← 진로적응성 0.909 .716 0.066 13.832***

자신감1)← 진로적응성 1 .758 -

-사회적 지지 정서적 지지1)← 사회적 지지 1.234 .923 0.042 29.347***

정보적 지지 ← 사회적 지지 1.052 .873 0.041 25.642***

물질적 지지 ← 사회적 지지 0.951 .813 0.043 22.216***

평가적 지지 ← 사회적 지지 1 .891 -

-자아존중감 자아존중감 ← 자아존중감 - - -

-자기주도학습 학습계획 ← 자기주도학습 1.537 .783 0.107 14.332***

학습실행 ← 자기주도학습 1.219 .746 0.086 14.243***

학습평가1)← 자기주도학습 1 .752 -

-주1) 지표변인으로 통계적 검증 불가 주2) *p<.05, **p<.01, ***p<.001

<표 Ⅳ-7> 측정모형의 요인부하량

본 연구의 경우는 모든 관찰변인의 요인적재량이 .600~.923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 로 유의한 결과로 위에 제시한 기준에 부합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측정모형에서 모든 C.R. 값이 11.583~29.347로 2.58보다 크게 나타나, 모든 요인부하량이 유의수준 .001에 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관찰변인을 추가 또는 삭제하지 않았다.

이와 함께 각 관찰변인이 해당 잠재변인을 타 잠재변인과 적절하게 구분하여 측정하고 있는가를 의미하는 변별타당도를 확인하였다. 변별타당도는 각 잠재변인 간 상관을 통해 알 수 있다. 확인적 요인분석결과를 통해 각 추정된 각 잠재변인 간 상관 분석 결과는 다 음 <표 Ⅳ-8>과 같다.

구분 추정된 상관계수

진로적응성 자기주도학습 .796

자기주도학습 자아존중감 .475

진로적응성 자아존중감 .643

자아존중감 사회적 지지 .590

자기주도학습 사회적 지지 .449

진로적응성 사회적 지지 .555

<표 Ⅳ-8> 측정모형의 잠재변인 간 추정된 상관계수

상관계수가 .80~1.00인 경우 강한 상관관계로 판단되는데(Rea, Parker, 2005), 분석 결과 잠재변인 간 추정된 상관 계수는 .590~.796으로 나타나 강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변 인은 없어서 변별타당도를 지니고 있다고 판단하였다. 그러나 진로적응성과 자기주도학습의 경우 .796으로 상당히 높은 상관을 보였다.

한편, 신뢰도의 경우 관찰변인의 오차분산을 관찰변인의 적합분산을 나눈 값과 1과의 차 이를 의미하는 수치인 다중상관자승(R2)을 통해 진단할 수 있다. 측정모델의 R2은 잠재변 인이 관찰변인에 의해 설명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관찰변인의 신뢰도를 평가하는데 활용되며, 0.5이상의 값을 가지면 신뢰도를 확보했다고 본다(배병렬, 2011). 측정모형에서 산출된 관찰변인의 R2은 다음 <표 Ⅳ-9>와 같다.

분석 결과, 단일 관찰변인 구조인 자아존중감과 관심(.360)을 제외하고는 모두 .5이상으 로 나타나 측정모형의 전반적인 신뢰도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관심 요인은 개인의 일 관된 성향을 측정하기 보다는 개인이 처한 환경에 대한 분위기에 영향을 받기 때문으로 해

석된다. 실제 관심을 측정하는 문항을 살펴보면, 관심의 수준과 함께 계획 및 실천적 행동 을 포괄하는데, 이는 개인의 상황적 요소인 학년과 졸업 후 진출분야에 따라 다르게 나타 날 수 있다는 점에서 체계적인 오차분산을 유도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추후 모델 해석 에 있어 주의를 요할 필요가 있다.

변인 다중상관자승(R2)

진로적응성 관심 .360

통제 .560

호기심 .513

자신감 .575

사회적 지지 정서적 지지 .852

정보적 지지 .762

물질적 지지 .661

평가적 지지 .795

자아존중감 자아존중감 .131

자기주도학습 학습계획 .612

학습실행 .556

학습평가 .566

<표 Ⅳ-9> 측정모형의 관찰변인 다중상관자승(R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