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가. 관찰변인의 기술 통계치

이 연구에서 다루는 잠재변인인 진로적응성, 사회적 지지, 자아존중감, 자기주도학습 각 각의 잠재변인들은 1~4개의 관찰변인으로 측정되고 있다. 이에 대한 평균, 표준편차, 실제 범위 등의 개괄적인 기술 통계치는 다음의 <표 Ⅳ-2>와 같다.

변인 응답가능범위 최소값 최대값 평균 표준편차 환산평균

진로적응성 24-120 69 120 92.92 9.83 3.87

관심 6-30 15 30 23.69 3.04 3.95

통제 6-30 14 30 23.68 3.10 3.95

호기심 6-30 14 30 22.67 3.10 3.78

자신감 6-30 16 30 22.88 3.22 3.81

사회적 지지 25-125 68 120 95.80 11.61 3.83

정서적 지지 7-35 19 35 27.41 3.53 3.92

정보적 지지 6-30 14 30 22.86 3.18 3.81

물질적 지지 6-30 14 30 22.21 3.09 3.70

평가적 지지 6-30 16 30 23.30 2.96 3.88

자아존중감 10-50 21 50 37.90 6.20 3.79

자아존중감 - - - - -

-자기주도학습 40-200 96 184 133.06 15.90 3.33

학습계획 15-75 29 69 49.88 7.45 3.33

학습실행 14-70 31 66 48.03 6.20 3.43

<표 Ⅳ-2> 관찰변인의 기술적 통계량

진로적응성에 해당하는 관찰변인은 관심, 통제, 호기심, 자신감으로, 그 값이 증가할수록 진로적응성이 높음을 의미한다. 관찰변인들의 평균을 5점을 만점으로 한 환산평균으로 살 펴보면, 모든 값이 보통이상으로 나타나 우리나라 대학생의 진로적응성은 높은 것으로 나 타났다. 구체적으로 관심은 3.95, 통제는 3.95, 호기심 3.78, 자신감 3.81로 호기심이 상 대적으로 낮은 점수를 나타났으며, 진로적응성 전체의 평균은 3.87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에 해당하는 관찰변인은 정서적 지지, 정보적 지지, 물질적 지지, 평가적 지 지로, 그 값이 증가할수록 사회적 지지가 높음을 의미한다. 관찰변인들의 환산평균을 살펴 보면, 정서적 지지는 3.92, 정보적 지지는 3.81, 물질적 지지는 3.70, 평가적 지지는 3.88로 나타나, 상대적으로 물질적 지지가 낮고 정서적 지지가 높게 나타났다. 사회적 지 지 전체의 평균은 3.83로 사회적 지지를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자아존중감에 해당하는 관찰변인은 자아존중감 자아존중감으로 그 값이 증가할수록 자아 존중감이 높음을 의미한다. 관찰변인의 환산평균을 살펴보면 3.79로 나타났다.

자기주도학습에 해당하는 관찰변인은 학습계획, 학습실행, 학습평가로, 그 값이 증가할수 록 자기주도학습이 높음을 의미한다. 관찰변인들의 환산평균을 살펴보면, 학습계획이 3.33, 학습실행이 3.43, 학습평가가 3.51로 나타났으며, 자기주도학습 전체는 3.33으로 보통 이 상의 학습능력을 나타냈다.

나. 관찰변인의 다변량 정규성

구조방정식 모델에서 사용되고 있는 추정법인 최대우도법(ML:Maximum Likelihood)과 일반최소자승법(GLS:Generalized Least Squares)은 다변량 정규성을 가정하고 있다. 따 라서 구조방정식 모델에서 사용되는 측정치들은 다변량 정규성(multivariate normality)을 만족해야한다는 기본가정을 갖는다. 관찰변인의 다변량 정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관찰변인 의 왜도(skewness)와 첨도(kurtosis)를 분석한 결과 <표 Ⅳ-3>과 같다.

왜도와 첨도의 유의성은 일반적으로 왜도나 첨도의 값 자체로 판단하게 되는데, 이 경우 왜도 절대 값이 3.0, 첨도 절대값이 8.0보다 크면 정규성을 가정하기 어렵다고 판단하게 된다(김대업, 2008). 이 연구에서 측정한 변인들의 왜도 절대값이 3.0 미만, 첨도 절대값 이 8.0 이하로 나타나 단변량 정규성을 확보한 것으로 나타났다.

변인 최소값 최대값 왜도 첨도

지수 결정률(C.R.) 지수 결정률(C.R.)

진로적응성

관심 15 30 0.086 0.725 -0.205 -0.866

통제 15 30 0.043 0.368 -0.145 -0.615

호기심 14 30 0.085 0.716 -0.19 -0.804

자신감 16 30 0.254 2.147 -0.323 -1.366

사회적 지지

정서적 지지 19 35 0.013 0.107 -0.343 -1.451

정보적 지지 14 30 0.264 2.236 -0.183 -0.776

물질적 지지 14 30 0.13 1.104 -0.067 -0.286

평가적 지지 16 30 0.154 1.307 -0.252 -1.067

자아존중감

자아존중감 21 50 -0.122 -1.032 -0.558 -2.362

자기주도학습

학습계획 29 69 -0.151 -1.278 0.038 0.159

학습실행 31 66 0.213 1.806 -0.118 -0.498

학습평가 21 50 0.145 1.23 0.186 0.788

Multivariate 20.273 11.467

<표 Ⅳ-3> 관찰변인의 일변량 및 다변량 정규성 검정 결과

다변량의 정규성의 경우, 유의도 .05 수준에서 다변량 첨도지수가 20.273으로 나타나 정규성을 가정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나는데, 최대우도법의 경우 다변량 정규성을 충족하지 못하더라도 적정한 표본을 대상으로 할 경우 미지수 추정에 큰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보고되 고 있다(김계수, 2010). 적정한 표본의 기준은 Hair, Black, Babin, Anderson, &

Tatham(2010)에 따라, 데이터가 비정규자료일 때 모수와 응답자수가 1:15의 비율로 가정 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추정모수는 잠재변인의 수 4, 잠재변인간의 공분산 6, 경로계수 8 (지표변인 제외), 측정오차의 수 11(자아존중감의 관측변인은 1로서 측정오차에서 제외)개 로 총 29개로 나타났는데, 이에 따라 적정한 표본의 수는 435명으로, 본 연구에서 사용된 430명과 근접한 것으로 나타나 최대우도법 활용에 무리가 없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다. 관찰변인의 다중공선성

구조방정식 모형의 안정적인 분석을 위해 관찰변인 간 다중공선성을 확인하였다. 다중공 선성의 진단은 공차(Tolerance)와 분산팽창지수(variance inflation factor: VIF)를 기준 으로 확인하였으며, 결과는 다음 <표 Ⅳ-4>와 같다.

다중공선성 판단 기준 값은 공차(Tolerance)의 값이 .10보다 크거나 분산팽창지수(VIF) 가 10보다 작을 때, 다중공선성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판단에 따랐다(Kline, 2010). 각 관 찰변인의 공차가 .213~.544의 값을, 분산팽창지수는 1.840~4.691의 값으로 나타나, 관 찰변인들은 어느 정도의 상관관계는 지니고 있으나, 다중공선성을 유발시키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변인 공차(Tolerance) 분산팽창지수(VIF)

진로적응성

관심 -

-통제 .510 1.961

호기심 .537 1.863

자신감 .503 1.987

사회적 지지    

정서적 지지 .213 4.691

정보적 지지 .278 3.597

물질적 지지 .339 2.951

평가적 지지 .251 3.988

자아존중감    

자아존중감 .544 1.840

자기주도학습    

학습계획 .495 2.020

학습실행 .532 1.880

<표 Ⅳ-4> 관찰변인의 다중공선성 진단

라. 변인간 상관관계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의 기초행렬이 되는 관찰변인간의 상관관계 행렬은 다음의 <표 Ⅳ-5>와 같다.

변인 1 2 3 4 5 6 7 8 9 10 11

진로적응성

1 관심 1

2 통제 .433*** 1

3 호기심 .464*** .546*** 1

4 자신감 .424*** .591*** .518*** 1

사회적 지지

5 정서적 지지 .322*** .374*** .312*** .358*** 1

6 정보적 지지 .310*** .328*** .324*** .353*** .795*** 1

7 물질적 지지 .273*** .300*** .271*** .343*** .749*** .761*** 1

8 평가적 지지 .409*** .432*** .377*** .435*** .832*** .767*** .699*** 1 자아존중감

9 자아존중감 .286*** .517*** .329*** .510*** .529*** .474*** .364*** .509*** 1 자기주도학습

10 학습계획 .454*** .422*** .546*** .458*** .248*** .271*** .240*** .323*** .312*** 1

11 학습실행 .381*** .362*** .421*** .421*** .332*** .321*** .226*** .395*** .359*** .589*** 1 12 학습평가 .372*** .400*** .485*** .460*** .330*** .308*** .210*** .353*** .346*** .570*** .577***

주) *p<.05, **p<.01, ***p<.001

<표 Ⅳ-5> 관찰변인 간 상관행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