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II. 이론적 배경

3. 사회적 지지, 자아존중감, 자기주도학습

가. 사회적 지지

1) 사회적 지지의 개념

사회적 지지에 대한 개념은 학자들마다 다르다. Cobb(1976)는 사회적 지지를 개인이 존 경받고 보호받을 수 있다는 신념의 결과로 정의하였으며, Cohen과 Hoberman(1983)은 사 회적 지지를 한 개인이 그가 가진 대인관계로부터 얻을 수 있는 긍정적인 모든 자원을 말 하는 것으로 보다 광의의 개념으로 정의하였다. 또한 대인관계에 보다 초점을 맞추어서 Kahn과 Antonucci(1980)는 정서적 관심, 유효한 원조, 환경에 대한 정보 및 평가를 포함 하는 대인적 관계를 사회적 지지로, House(1981)는 애정, 긍정, 도움의 요소 중 하나 또 는 그 이상의 요소를 포함한 대인간의 교류로 사회적 지지를 정의하였다. Schwarzer, Knoll, & Rieckmann(2004)은 지지원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언급하며, 문제 해결에 대한 조언 및 정보, 정서적 안정을 제공하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이러한 사회적 지지의 개념은 사회적 지지의 구조적 특성보다는 기능적 특성을 의미하며, 사회적 지지의 다차원적 기능 을 반영한다. 즉, 사회적 지지란 다른 사람에 의해 제공되거나 얻을 수 있는 다차원의 긍 정적인 자원으로 정의할 수 있다.

사회적 지지의 기능적 특성이란, 개인이 얼마나 많은 대인관계를 맺고 있으며 어떤 사람 과 관계를 맺고 있는가 하는 것을 객관적으로 측정하는 구조적 특성과 달리 사회적 지지를 다른 사람과의 신뢰관계에 대한 인지적 평가로 보는 것이다. 사회적 지지의 기능적 특성을 반영한 기존연구의 하위요인 분류를 살펴보면, 사회적 지지를 정서적 지지(emotional support), 정보적 지지(informational support), 도구적 지지(instrumantal support), 평 가적 지지(appraisal support)의 4가지로 분류하였다(House, 1981). 정서적 지지는 개인 에게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해주는 것이며, 도구적 지지는 개인이 필요로 하는 구체적인 도 구나 재원을 제공하는 것이며, 정보적 지지는 문제해결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정보를 제공 해 주는 것이고, 평가적 지지는 개인의 평가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여 스스로 평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유사하게 1995년 MOS(Medical Outcomes Study) 연구팀은 사회적 지지를 정서적 지지(긍정적 정서의 표현, 감정이입적 이해, 감정표출의 격려)와 정 보적 지지(조언, 정보, 지침 또는 환류의 제공), 구체적 지지(물질적 보조 혹은 행동적 보 조를 제공), 긍정적인 상호작용(함께 즐거움을 나눌 수 있는 사람의 이용가능성), 애정적 지지(사람과 애정의 표현을 포함)의 5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이와 같이 사회적 지지의 기능적 특성은 다차원적으로 각각의 하위개념들이 서로 긴밀하 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사회적 지지의 목적과 기능을 모두 반영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기 능을 종합하여 사회적 지지를 설명하다고 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Wethington과 Kessler(1986)는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실제로 제공받은 사회적 지 지와의 차이를 설명하며, 지각된 사회적 지지가 실제로 제공받은 지지에 비하여 행동을 예 언하는데 더 중요하다고 보고하였다. 국내에서도 객관적인 사회적 지지보다는 개인에게 지 각된 사회적 지지가 중요하게 여겨지며, 객관적인 사회적 지지는 지지를 받았다고 하더라 도 지각하지 않는 경우에는 사회적 지지의 가치가 없다고 설명하였다. 이외에도 개인에서 지각된 지지가 더 중요하다고 선행연구를 통해 봤을 때(송종용, 1988; Cohen & Willis, 1985; Heller & Swindle, 1983; Henderson, 1984), 개인이 인식한 사회적 지지의 가치 를 통해 사회적 지지의 수준을 살펴보는 것이 적절하다고 볼 수 있다.

사회적 지지는 위기에 대처하고 변화의 적응을 촉진한다. 삶의 균형을 통해 신체적, 정 신적 건강을 유지하는 기능을 한다는 점에서, 1970년대 중반부터 심리학과 행동과학 분야 에서 예방심리학 차원에서 다루어졌다(김성남, 2005). 개인이 인식한 사회적 지지가 적응 에 어떤 과정을 통해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관심이 높았다. 특히, 대학생은 과도기적 시기 로, 대학생활에서 심리적 변화뿐만 아니라 환경적인 변화까지 함께 겪게 되면서 기존의 지 지자원을 활용하지 못하며, 새로운 지지자원을 개발해야 하는 부담을 안게 된다. 따라서 대 학생들의 적응에 있어 외적인 지지자원의 유무는 심리적 적응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Compas, 1987). 또한 사회적 지지는 학교 부적응에 대한 완충 및 예 방의 역할을 하여(Demaray & Malecki, 2002), 학교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심리적 과도기 상태에 있는 대학생들에게 사회적 지지는 개인의 적응을 돕고, 이를 기반으로 자신의 역량을 개발해나는 데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2) 사회적 지지의 측정

사회적 지지의 측정에 있어, 1980년대 이후로는 사회적 지지의 개념에서 살펴보았던 지 지적 행동 유형의 개념에 기반을 두어, 사회적 지지를 다차원적 자기 기능을 측정하는 방 향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기존의 단일 차원의 접근보다 높은 신뢰도와 타당도를 나타낸다 는 점에서 국내에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원숙(1992)에 따르면, 단일기능과 다차원적 기능 외에도 사회적 지지를 기능적 특성으 로 접근하는 측정에 있어서 구분해야 할 또 다른 측면으로 두 가지를 제시하였다. 하나는

사회적 지지척도를 개별적 구성요소로 볼 것인가와 전체적으로 접근할 것인가로, 최근에는 사회적 지지를 전체적으로 접근하되, 다차원적 기능으로 개별화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각지지 기능의 지수를 산출하여 사회적 지지의 전체효과와 함께 각각의 기능에 대 한 개별적 분석도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Cutrona & Russell, 1990; Krause, 1986).

또 다른 하나는 사회적 지지의 이용가능성과 관련하여 인식의 수준을 측정할 것인가 실 제 제공된 지지룰 측정할 것인가이다. 그러나 개인이 실제적으로 제공된 사회적 지지에 대 한 정보를 측정하는 일은 사실의 여부를 파악할 수 없다는 비판에 따라, 사회적 지지의 이 용가능성에 대한 개인의 인식을 토대로 사회적 지지의 이용가능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또한 이는 실질적인 사회적 지지가 주어졌다하더라도, 개인이 인 식하지 못하자면 사회적 지지의 가치가 없다는 여러 주장을 통해(송종용, 1988; Cohen &

Willis, 1985; Heller & Swindle, 1983) 인식을 기반으로 한 측정의 방향성에 대한 연구 자들의 지지를 받고 있다.

이와 같은 논의에 따라 사회적 지지 척도들은 사회적 지지의 이용가능성에 대한 개인의 인지를 토대로 개발되어 사회적 지지가 요구되는 가상적 상황에서 개인이 사회적 지지를 어떻게 인지하는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국내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사회적 지 지의 측정도구 중에 하나는 Cohen과 Hoberman(1983)의 대인관계지지평가 척도 (Interpersonal Support Evaluation List; ISEL)로, 사회적 지지를 정서적 지지, 평가․정 보적 지지, 소속적 지지, 유형적 지지로 구분하여 각각 12문항씩 총 48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문항에 대해 긍정-부정으로 반응하게 되어 있으며, 점수는 각 문항마다 1점씩 총 48점을 최고점수로 하고 있다.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국내에서 개발된 박지원(1985)의 사회적 지지 도구는 사회적 지지 의 개념을 사회적 지지망, 지지형태, 지지욕구의 3차원으로 분류하였다. 기능적 특성인 지 지형태를 간접적으로 지각한 지지척도로 명명하였으며, 지지형태의 차원에서는 정서적 지 지, 정보적 지지, 물질적 지지, 평가적 지지의 4가지 지지행위를 포함시켜 총 25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이 도구는 간접적으로 지각한 지지척도(지지형태) 4가지 지지에 대한 인지를 측정하는 척도로서 적합하다는 평을 받고 있어(이원숙, 1992), 국내의 사회적 지지 측정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 밖에도 김정희와 이장호는 Cohen과 Hoberman(1983)이 개발한 ISEL을 토대로 사회적 지지의 기능적 특성을 측정하는 척도를 평가적 지지, 소속지지, 자 존심지지, 유형적 지지로 구분하여 개발하였다.

나. 자아존중감

1) 자아존중감의 개념

자아존중감(self-esteem)이란 자신에 대한 주관적인 평가로, 자아존중감이 높다는 것은 자신을 수용 및 존중하고 자신을 좋아하며 스스로를 가치 있는 인간으로 느끼는 것을 말한 다(Rosenberg, 1985). Wylie(1979)은 자아존중감을 자아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로 정의하 였으며, Coopersmith(1981)는 개인이 자신에 대해 형성하고 유지하는 평가로 자신을 유능 하고 중요하며 성공적이고 가치롭다고 여기는 정도라 정의하였다. 국내 장휘숙(1988)은 개 인 내적 특성과 외적환경의 영향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자신에 대해 가지고 있는 개인적 가치감이나 긍정적 평가로 정의하였다. 최근 김만근(2012)은 자기 자신에 대한 부정 적 혹은 긍정적 평가와 연관되는 것으로 자기 자신을 긍정적으로 믿고 인정하며, 자신 을 소중히 사랑하고 가치 있는 사람으로 생각하는 정도의 포괄적이고 전체적인 개념으 로 정의하였다.

연구자 정의

Rosenberg(1965) 자아에 대한 긍정적, 부정적 태도

Wylie(1979) 자아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

Coopersmith(1981) 개인이 자신에 대해 형성하고 유지하는 평가로서 긍정적 또는 부정적 태도로 표현되며, 자신을 유능하고 중요하며 성공적이고 가치롭다고 여기는 정도 Cook(1985) 능력에 대한 믿음, 타인과의 관계, 개인적 기대 등을 포함하는 자신에 대한

전체적인 관점

장휘숙(1988) 자신에 대해 가지고 있는 개인적 가치감이나 긍정적 평가

김만근(2012) 자기 자신에 대한 부정적 혹은 긍정적 평가와 연관되는 것으로 자기 자신을 긍정적으로 믿고 인정하며, 자신을 소중히 사랑하고 가치 있는 사람으로 생각하는 정도

김만근(2012) 자기 자신에 대한 부정적 혹은 긍정적 평가와 연관되는 것으로 자기 자신을 긍정적으로 믿고 인정하며, 자신을 소중히 사랑하고 가치 있는 사람으로 생각하는 정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