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다 . 참여한 직업교육훈련 전반에 대한 인식

문서에서 평생 직업교육훈련 종합 대책(I) (페이지 115-124)

그러면 직업교육훈련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일반인이나 현재 참여하고 있 는 학습자들은 어떤 분야에 어떠한 경로를 통해 참여하게 되었으며, 직업교 육훈련의 전반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이들의 인식 결과를 통해 나타나는 직업교육훈련의 문제점과 개선점은 무엇인가.

&lt ;표 IV - 7&gt ;은 일반인이 지난 3년 동안 참여하였거나, 학습자가 현재 참여하고 있는 직업교육훈련의 분야를 나타낸 것이다. 일반인의 경우에는 서비스 (23.4% ), 정보통신 (18.9% ), 직업윤리, 문제해결능력, 창의성, 직장예 절 등의 기초교육과 관련한 직업일반교육 (17.9% )의 순으로 참여했던 것으 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학습자들은 정보통신 (28.2% ), 서비스 (18.0% ), 기

계/ 장비 (15.8% )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조사 결과는 기술 변화 및 학습자 31(1.8) 59(3.4) 16 (0.9) 8 (0.5) 278 (15.8) 61(3.5) 52(3.0) 62(3.5) 496(28.2)

구분 운송

일반인 - 2(1.0) 6(3.0) 1(0.5) 11(5.5) 13(6.5) 47(23.4) 3(1.5) 36(17.9) 14(7.0) 201(100.0) 학습자 6(0.3) 5(0.3) 4(0.2) 48(2.7) 66(3.8) 40(2.3) 317(18.0) 155(8.8) 56(3.2) - 1760(100.0)

앞서 제시한 결과에서 보면, 많은 일반인이나 학습자들은 직업교육훈련에

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취업을 목표로 참여한 비율이 높은 학습자 의 경우는, 신문 및 지역정보지, 잡지를 통해 (35.6% ), 주위 사람들의 권유 로 (21.6% ), 직장에서 지정하여 (11.1% ), 노동사무소 및 동사무소 등 공공기 관의 알선으로 (10.4% )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직업교육훈련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경로가 상당부분 주위사람이나 직장, 공공단체 등을 통해 비공식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보다 많은 사람들 이 직업교육훈련에 대한 정보를 방송매체나 인터넷 등을 통해 획득할 수 있 도록 하는 정보체제를 구축함으로써 보다 많은 국민이 참여할 수 있는 기회 를 확대해 나가야 함을 시사해 준다.

&lt ;표 IV - 8&gt ; 직업교육훈련에 참여하게 된 경로

(단위: 명(% ))

구분 일반인 학습자

신문 및 지역정보지, 잡지를 통해 32( 15.8) 724( 35.6)

전단, 포스터, 현수막 등 9( 4.5) 157( 7.7)

PC통신 및 인터넷 등을 통해 5( 2.5) 153( 7.5)

T V , 라디오 등 방송매체 3( 1.5) 39( 1.9)

주위 사람들의 권유로 41( 20.3) 440( 21.6)

직장에서 지정하여 71( 35.1) 226( 11.1)

노동사무소 및 동사무소 등 공공기관의 알선으로

23( 11.4) 212( 10.4)

기타 18( 8.9) 85( 4.2)

202(100.0) 2036(100.0)

&lt ;표 IV - 9&gt ;는 일반인과 학습자가 최근 혹은 현재 참여하고 있는 직 업교육훈련기관의 유형을 제시한 것이다. 직업교육훈련기관의 참여 비율은 직무 향상을 목적으로 한 비율이 높은 일반인과 취업을 목적으로 한 비율이 높은

&lt ;표 IV - 9&gt ; 최근 혹은 현재 참여한 직업교육훈련기관의 유형

(단위: 명(% ))

구분 일반인 학습자

공무원 및 공공교육 연수 기관 21( 10.4) 124( 7.0)

공공 훈련 단체 7( 3.5) 237( 13.4)

학원 및 민간 훈련 기관 59( 29.4) 813( 45.9)

법무부 산하 직업훈련원 - 13( 0.7)

산업교육/ 연수기관(기업연수원 포함) 66( 32.8) 80( 4.5)

여성 단체 및 사회복지 시설 11( 5.5) 129( 7.3)

학교 및 (전문)대학 부설 11( 5.5) 251( 14.2)

지방자치단체 및 공공기관 16( 8.0) 92( 5.2)

통신 및 인터넷 전문회사 4( 2.0)

-기타 6( 3.0) 31( 1.8)

201(100.0) 1770(100.0)

학습자의 특징을 잘 반영해 준다. 일반인의 경우, 근로자들이 직업일반교육 을 받기 위하여 산업교육/ 연수기관(기업연수원)에 참여한 비율이 32.8%로 가장 높고, 학원 및 민간훈련기관이 29.4% , 공무원 및 공공교육연수기관이 10.4%의 순으로 나타났다. 학습자의 경우에는 학원이나 민간훈련기관 참여 비율이 45.9%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학교 및 대학 부설이 14.2% , 공공훈 련단체가 13.4%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조사 결과를 보면, 현재 우리 나라에서 학원 및 민간훈련기관이 성인 대상의 직업교육훈련 기능을 핵심적 으로 수행하고 있음을 보여주며, 이는 곧 직업교육훈련의 참여에 따른 개인 부담 비용이 높을 수 있다는 점을 간접적으로 나타내 준다.

&lt ;표 IV - 10&gt ;은 일반인과 학습자가 최근 혹은 현재 참여하고 있는 직 업교육훈련의 내용이 무엇인가를 조사한 결과이다. 일반인의 경우에는 직무 향상 교육과 관련하여 기초적 지식과 기술 (28.6% ), 특수한 전문지식과 기 술 (26.1% ), 취업 준비 과정 (15.8% ), 자격 취득 과정 (15.3% )의 순으로 응답 하였다.

&lt ;표 IV - 10&gt ; 최근 혹은 현재 참여한 직업교육훈련의 내용 (과정)

(단위: 명(% ))

구분 일반인 학습자 직무와 관련된 특수한 전문지식과 기술

(전문성이 요구)

53( 26.1) 443( 24.5)

직무와 관련된 기초적 지식과 기술 (컴퓨터활용능력, 어학, 직급교육 등)

58( 28.6) 261( 14.5)

자격 취득 과정 31( 15.3) 463( 25.7)

취업 준비 과정 32( 15.8) 570( 31.6)

직업활동에 필요한 일반 기초 교양 (직장예절, 협상능력, 리더십 등)

25( 12.3) 37( 2.0)

기타 4( 2.0) 31( 1.7)

203(100.0) 180.5(100.0)

이에 비해 학습자들은 취업 준비 과정 (31.6% ), 자격 취득 과정 (25.7% ), 직무관련 특수한 전문지식과 기술 (24.5% )의 순으로 응답하였다. 이러한 결 과는 일반인의 경우, 직무능력 향상을 위하여 직업교육훈련에 참여하고 있 는 근로자의 비율이 높게 나타나며, 학습자의 경우는 취업을 목표로 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남을 보여준다.

&lt ;표 IV - 11&g t ;은 일반인과 학습자가 참여한 직업교육훈련 기간을 제시 한 것이다. 일반인의 경우, 단기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 며, 학습자는 장기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일반인의 경 우, 1~2일이 24.1% , 1주~1개월 미만이 21.2% , 1개월 이상~3개월 미만이 19.2%의 순으로 나타나고 있어 매우 단기적으로 이루어졌음을 보여준다. 이 에 비해 주로 취업을 목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학습자의 경우에는 3개월~6 개월 미만(37.7% ), 6개월 이상~1년 미만(24.6% ), 1년 이상(12.2% )의 순으로 장기간에 걸쳐 참여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는 직무 향상을 위한 직업일반 교육은 주로 단기간에 이루어지는 경향이 있고, 취업을 목적으로 실시되는 직업교육훈련은 장기간에 걸쳐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lt ;표 IV - 11&gt ; 최근 혹은 현재 참여한 직업교육훈련기간

(단위: 명(% ))

일반인 49(24.1) 43(21.2) 39(19.2) 33(16.3) 22(10.8) 9(4.4) 8(3.9) 203(100.0) 학습자 42(2.3) 158(8.8) 136(7.5) 680(37.7) 444(24.6) 219(12.2) 123(6.8) 1802(100.0)

&lt ;표 IV - 12&g t ;는 일반인이나 학습자가 어떠한 방법으로 직업교육훈련 학습자 929(36.3) 1191(46.6) 125 (4.9) 276 (10.8) 37(1.4) 2558 (100.0)

&lt ;표 IV - 13&gt ;은 일반인이나 학습자가 직업교육훈련에 참여하는 데 따

자의 비율이 높다는 점을 고려하면, 응답 결과와는 달리 고용보험을 통한 비 용 지원이 가장 높게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일반인들이 고용보험의 직업능력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되고 있는 비용 지원에 대하여 정확하게 이해하지 못한 데 따른 결과로서 보여지며, 이는 &lt ;표 IV - 14&gt ;와 &lt ;표 IV - 15&gt ;의 결과에서도 잘 나타나고 있다. 학습자의 경우, 정부 (39.9% ), 본인 및 가족 (25.4% ), 고용보험 (21.2% ) 순으로 비용을 부담한다고 인식하고 있는데, 정부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난 것은 그동안 실업자 재취업 프로그 램 등 정부가 지원하는 훈련 정책이 강화되었던 데에 따른 결과라고 할 수 있다.

&lt ;표 IV - 13&gt ; 최근 혹은 현재 참여한 직업교육훈련 소요비용의 부담 주 체

(단위: 명(% )) 구분 본인 또는

가족 고용보험 소속단체

및 직장 정부 모른다 기타

일반인 80 (39.8) 10 (5.0) 73 (36.3) 31(15.4) 2(1.0) 5 (2.5) 201(100.0) 학습자 458 (25.4) 383 (21.2) 188 (10.4) 720 (39.9) 27 (1.5) 28(1.6) 1804(100.0)

&lt ;표 IV - 14&g t ;는 일반인이 최근 3년 동안에 본인이 부담한 직업교육훈 련 비용이 얼마인가를 조사한 결과이다. 전혀 없다고 응답한 일반인은 47.8%로 나타나며, 10만원 이상~50만원 미만이 16.3% , 10만원 미만이 13.8%의 순으로 나타나고 있다. 여기에서 개인 부담이 전혀 없었다고 응답 한 것은 고용보험에 의한 비용이 지원되었던 것으로 간주된다.

&lt ;표 IV - 14&gt ; 최근 3년 동안에 일반인(본인)이 부담한 직업교육훈련 비 용

구분 전혀

(% ) 97(47.8) 28(13.8) 33(16.3) 21(10.3) 18(8.9) 3(1.5) 3(1.5) 203(100.0)

&lt ;표 IV - 15&g t ;는 지난 한 해 동안 개인이 부담한 직업교육훈련 비용이

(단위: 명(% ))

구분 일반인

매사에 자신감이 생겼다 28( 13.8)

교육을 계속 받아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139( 68.5)

별다른 생각을 하지 않았다 24( 11.8)

교육을 계속 받을 필요성을 갖지 못했다 11( 5.4)

교육에 대한 흥미를 잃었다 1( 0.5)

203(100.0)

&lt ;표 IV - 17&gt ;은 일반인들이 최근에 참여한 취업 준비 과정을 이수함 으로써 어떠한 성과를 얻었는가를 제시한 결과이다. 총 32명 중 이미 취업 을 하였다고 응답한 비율은 28.1% , 취업가능성을 밝힌 비율은 31.3%로 나타 난 것에 비해, 취업의 어려움을 보인 응답자도 40%의 비율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lt ;표 IV - 17&gt ; 최근 참여한 취업 준비 과정에서 얻은 일반인의 성과

구분 취업을

하였다

아직 취업하지는 못했으나 취업가능성이 있다

취업하기가 다소 어렵다

취업하기가

매우 어렵다

명(%) 9(28.1) 10 (31.3) 10 (31.3) 3(9.4) 32(100.0)

&lt ;표 IV - 18&g t ;은 일반인들이 가장 최근에 참여한 직무관련 직업교육훈 련을 통해 얻은 성과가 무엇인가를 제시한 결과이다. 93.7%의 일반인이 업 무 수행이 매우 향상되었거나 다소 향상된 것으로 인식함으로써 직업교육훈 련의 성과가 긍정적으로 인식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인식 결과는 직 업교육훈련 과정이 회사에서의 직무 수행과 밀접하게 관련된 내용으로 편 성・운영됨으로써 교육적 성과가 컸던 것으로 생각된다.

&lt ;표 IV - 18&g t ; 최근 참여한 직무 관련 교육의 업무 수행 도움 여부에 대 한 일반인의 인식

구분 매우

향상

다소 향상

별로 도움안됨

전혀

도움안됨

명(%) 29(26.4) 74(67.3) 4(3.6) 3(2.7) 110(100.0)

문서에서 평생 직업교육훈련 종합 대책(I) (페이지 115-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