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나 . 직업교육훈련 참여에 따른 학습자의 집단간 만족도 차이

문서에서 평생 직업교육훈련 종합 대책(I) (페이지 161-166)

현재 직업교육훈련에 참여하고 있는 학습자들이 개인적 특성에 따라 만족 감의 차이를 느끼고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개인적 특성의 변인 으로 성별, 연령, 거주지, 학력, 고용 형태, 월 평균 소득을 설정하였다. 그리 고 만족도를 구성하는 요인으로 교사 및 강사 수준, 교육훈련 내용, 교육훈 련 방법. 교육훈련 비용, 교육훈련 시설 및 설비, 취업 알선, 정보 자료 및 서비스 제공을 제시하였다. 이들 집단간 인식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F 검증을 실시하였다.

&lt ;표 IV - 58&g t ;은 학습자가 성별에 따라 직업교육훈련에 대한 만족도에 있어서 인식의 차이가 있는가를 제시한 결과이다. .05 유의도 수준에서 남자 와 여자간에 만족도의 차이를 보이는 항목은 교사 및 강사 수준 , 교육훈련 시설 및 설비 , 취업 알선 , 정보자료 및 서비스 제공 이다. 흥미로운 점은 이들 모든 항목에 대해 남자의 만족도가 여자에 비해 높게 나타나고 있다는 점이다. 이와 같이 성별간에 만족도의 차이가 나타나는 이유는 학습자가 참 여하고 있는 교육훈련 내용, 기간, 참여 동기에 대한 성별 차이와 연계지워 해석할 수 있다. &lt ;부록 1&gt ;에서 제시한 학습자의 성별에 따른 교육훈련 의 내용, 기간, 참여 동기의 차이를 제시한 교차분석 결과를 보면, 남자와 여자간에 유의미한 인식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남자들의 경우, 특수한 전문지식과 기술 , 취업 및 창업 준비 과정 , 자격 취득 과정 의 순으로 참여 비율이 높은 것에 비해 여자들은 취업 및 창업준비 과정 , 자격취득 과정 ,

기초적 지식과 기술 의 순으로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참여하고 있는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기간에 있어서도 남자들은 여자들에 비해 장기간 인 6개월 이상~1년 미만 의 프로그램에 참여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 났다. 또한 교육훈련을 받게 된 동기에 대해서는 남자들의 경우 취업을 위 하여 , 직무 향상을 위해 참여하는 비율이 여자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것에 비해, 여자들의 경우는 배움 자체가 즐거워서 참여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성별간 참여하는 교육훈련의 특성 차이는 곧 성별간 만족도의 차이와 밀접하게 연관된다. 즉, 남자들은 여자들에 비해 취 업 준비를 위한 장기간의 특수한 전문지식과 기술에의 참여 비율이 높게 나 타난다는 점은 보다 체계적이고 조직적으로 이루어지는 교육훈련에 참여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보여준다. 이에 비해 여자들이 남자들에 비해 배움 자체가 즐거워서 참여하는 비율이 높고 단기적인 기초적 지식과 기술에 참 여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나는 점은 교사 및 강사 수준 , 교육훈련 시설 및 설비 , 취업 알선 , 정보자료 및 서비스 제공 에 있어서 남자들에 비해 상대 적으로 낮은 만족도를 가질 가능성이 높음을 보여준다.

&lt ;표 IV - 58&gt ; 직업교육훈련 참여에 따른 학습자의 성별 만족도

변인 평균

F 값 유의도 (p )

남자 여자

교사 및 강사 수준 3.94 3.84 5.202 .023

교육훈련 내용 3.66 3.68 .329 .566

교육훈련 방법 3.64 3.64 .000 .993

교육훈련 비용 3.60 3.57 .456 .499

교육훈련 시설 및 설비 3.73 3.42 41.023 .000

취업 알선 3.39 2.90 42.398 .000

정보자료 및 서비스 제공 3.40 3.21 17.412 .000

&lt ;표 IV - 59&g t ;는 학습자들이 연령에 따라 직업교육훈련에 대한 만족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를 분석한 결과이다. .05 유의도 수준에서 연령

정도에 유의미한 인식의 차이를 보이는 항목은 교사 및 강사 수준 , 교육훈 련 내용 , 교육훈련 방법 , 취업 알선 , 정보자료 및 서비스 제공 으로 나타 났다. 40대의 경우에는 정보자료 및 서비스 제공 항목을 제외하고, 다른 항 목에 대해서는 만족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lt ;표 IV - 59&gt ; 직업교육훈련 참여에 따른 학습자의 연령별 만족도

변인 평균

F 값 유의도(p) 20대 이하 30대 40대 50대 이상

교사 및 강사 수준 3.83 3.93 4.12 3.96 6.677 .000

교육훈련 내용 3.60 3.75 3.88 3.71 7.561 .000

교육훈련 방법 3.57 3.73 3.84 3.74 7.411 .000

교육훈련 비용 3.54 3.63 3.72 3.68 1.714 .162

교육훈련 시설 및 설비 3.54 3.59 3.73 3.69 2.342 .072

취업 알선 3.25 3.09 2.86 3.26 3.330 .019

정보자료 및 서비스 제공 3.26 3.33 3.50 3.60 5.210 .001

&lt ;표 IV - 60&gt ;은 거주지에 따라 학습자의 직업교육훈련에 대한 만족도 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는가를 제시한 결과이다. .05 유의도 수준에서 집단 간 유의미한 인식의 차이를 보이는 항목은 교사 및 강사 수준 , 교육훈련 내 용 인 것으로 나타났다. 각 항목에 대한 거주지별 만족도의 평균값을 살펴보 면 교사 및 강사 수준 에 대해서는 군에 거주하는 학습자들이, 교육훈련 내 용 에 대해서는 서울/ 광역시에 거주하는 학습자들이 가장 높은 만족감을 나타 냈다.

&lt ;표 IV - 61&g t ;은 학습자들이 학력 정도에 따라 직업교육훈련에 대한 만족도에 차이를 보이는가를 검증한 결과이다. .05 유의도 수준에서 학력간 의 만족도에 차이가 나타나는 항목은 교육훈련 내용 , 교육훈련 시설 및 설 비 , 정보자료 및 서비스 제공 인 것으로 나타났다. 각 항목에 대한 학력별 만족도는 다소의 차이는 있으나, 전반적으로 학력 수준이 높을수록 직업교 육훈련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에서 보면 집단간 유의미

한 인식 차이가 나는 항목에 대해서는 대졸 이상자들이 가장 높은 만족감을 나타냈으며, 그 다음으로는 전문대졸, 고졸의 순으로 만족감을 보였다. 이러 한 사실로 비추어 볼 때, 학력이 높은 학습자들은 상대적으로 질 높은 교육 훈련을 받고 있음을 추론할 수 있다.

&lt ;표 IV - 60&gt ; 직업교육훈련 참여에 따른 학습자의 거주지별 만족도

변인 평균

F 값 유의도(p) 서울/광역시 중소도시 군(읍/ 면)

교사 및 강사 수준 3.92 3.79 3.94 4.241 .015

교육훈련 내용 3.72 3.58 3.57 5.725 .003

교육훈련 방법 3.68 3.59 3.54 2.612 .074

교육훈련 비용 3.61 3.53 3.62 .802 .448

교육훈련 시설 및 설비 3.60 3.53 3.58 .888 .412

취업 알선 3.19 3.15 3.09 .322 .724

정보자료 및 서비스 제공 3.34 3.29 3.23 1.065 .345

&lt ;표 IV - 61&gt ; 직업교육훈련 참여에 따른 학습자의 학력별 만족도

변인

F 값 유의도(p) 중졸 이하 고졸 전문대졸 대졸 이상

교사 및 강사 수준 4.00 3.92 3.87 3.83 1.710 .163

교육훈련 내용 3.66 3.61 3.73 3.74 2.736 .042

교육훈련 방법 3.65 3.62 3.70 3.65 .697 .554

교육훈련 비용 3.57 3.55 3.72 3.58 2.068 .103

교육훈련 시설 및 설비 3.64 3.50 3.55 3.71 4.496 .004

취업 알선 3.29 3.21 3.13 3.12 .549 .649

정보자료 및 서비스 제공 3.17 3.24 3.33 3.44 5.031 .002

&lt ;표 IV - 62&gt ;는 학습자가 고용 형태에 따라 직업교육훈련에 대한 만 족도에 차이를 보이는가를 분석한 결과이다. 분석 결과, .05 유의도 수준에 서 유의미한 인식의 차이를 보이는 항목은 교사 및 강사 수준 , 교육훈련

내용 , 교육훈련 시설 및 설비 , 정보자료 및 서비스 제공 인 것으로 나타났 다. 각 항목에 대한 집단간 만족도의 차이를 평균값으로 비교해 보면, 교사 및 강사 수준 에 대해서는 비경제활동인구가 3.96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 며, 그 다음으로는 피고용자, 실업자, 자영업자의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교 육훈련 내용 에 대해서는 피고용자가 3.78로 가장 높은 만족도를 나타냈고, 그 다음으로는 비경제활동인구, 실업자, 자영업자의 순으로 나타났다. 교육 훈련 시설 및 설비 , 정보자료 및 서비스 제공 에 대해서는 피고용자들이 가 장 높은 만족도를 나타냈고, 그 다음으로는 실업자, 비경제활동인구, 자영업 자의 순으로 만족감을 보였다. 고용 형태에 따른 학습자의 만족도 차이를 정리해 보면, 자영업자들의 만족도가 가장 낮게 나타나고 있으며, 피고용자 들이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인식의 차이는 피고용인의 경우, 근무하는 회사에서 제공하는 직무 향상 및 직급교육에 참여하는 비율 이 상대적으로 높고, 이러한 교육이 보다 체계적으로 지원되었을 것이라는 가능성에서 비롯됨을 알 수 있다.

&lt ;표 IV - 62&gt ; 직업교육훈련 참여에 따른 학습자의 고용 형태별 만족도

변인 평균

F 값 유의도(p) 피고용자 자영업자 실업자 비경제활동

교사 및 강사 수준 3.88 3.70 3.86 3.96 2.759 .041

교육훈련 내용 3.78 3.55 3.63 3.68 2.628 .049

교육훈련 방법 3.70 3.50 3.64 3.65 1.155 .326

교육훈련 비용 3.60 3.45 3.64 3.54 1.240 .294

교육훈련 시설 및 설비 3.82 3.44 3.53 3.53 7.402 .000

취업 알선 3.34 2.95 3.16 3.16 1.342 .260

정보자료 및 서비스 제공 3.50 3.12 3.33 3.19 7.947 .000

&lt ;표 IV - 63&g t ;은 학습자가 월 평균 소득에 따라 참여하고 있는 직업교 육훈련에 대한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가를 제시한 결과이다. .05 유의도 수준 에서 볼 때, 소득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간 의

미있는 차이는 없다고 하더라도 표에서 보면, 100만원 미만 소득자들의 만

문서에서 평생 직업교육훈련 종합 대책(I) (페이지 161-1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