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나 . 기관 운영자의 인식 및 요구

문서에서 평생 직업교육훈련 종합 대책(I) (페이지 189-192)

1 ) 기관의 성격 및 운영 방식

설문 응답 기관은 학원 및 민간 직업훈련원 이 46.0%로 가장 많은 비율 분포를 보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학교 및 (전문)대학 부설 (15.8% ), 지방자 치단체 및 공공기관 (12.9% )의 순으로 나타났다. 직업교육훈련의 주 대상층

은 실업자 , 학교 졸업생 , 주부 및 여성 , 일반 회사원 의 순으로 나타났는 데, 이는 많은 민간 직업교육훈련기관에서 최근 정부가 재정 지원하는 실업 자 재취업 프로그램을 개설・운영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수강료는 무료이거 나 수강생과 정부 지원금, 수강생 부담 등으로 지불되고 있다. 학습자 모집 을 위한 홍보 방법은 신문 및 지역정보지, 잡지 등을 통해 (33.3% ), 전단, 포스터, 현수막 등을 통해 (24.3% ), P C통신 및 인터넷 등을 통해 (23.5% ) 홍 보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홍보가 개별 기관의 부담으로 이루어 지고 있다.

절반 정도의 직업교육훈련기관은 학습자를 모집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기관에서는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대부분 자체적 으로 개발하고 있으며, 프로그램 개발시 주로 학습자의 요구나 만족도를 평 가하는 데 초점을 두며, 산업 현장의 요구나 필요를 반영하는 데는 매우 미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직원에 대한 체계적인 재교육이나 연수는 37.7%의 기관이 필요에 따라 수시로 실시하며, 29.6%의 기관은 연 1회 정도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 직업교육훈련 운영 실태

조사 대상 직업교육훈련기관은 다양한 분야를 포괄하고 있으나, 노동시장 의 수요가 있는 정보/ 통신 분야, 서비스 분야, 기계/ 장비 분야 등이 상대적 으로 높은 분포를 나타냈다. 이들 기관에서 개설하고 있는 주된 교육 내용 은 직무 관련 전문지식 및 기술 , 자격 취득 과정 , 취업 및 창업준비 과정 의 순으로 나타났다. 주된 교육훈련 방법으로는 실습 위주 , 강의 중심의 교실 수업 방법을 적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프로그램의 개설 방식은 상설제 로 운영하는 기관이 58.6%로 가장 높고, 부정기제 운영하는 기관은 20.7%로 나타났다.

3 ) 직업교육훈련 운영에 따른 장애 및 애로사항

운영 기관자들은 학습자들이 중도에 학습을 중단하는 원인을 바쁜 직장 생활 및 일상 업무로 인한 시간 확보의 어려움 (29.5% ), 학습 능력 부족 및 자신감 결여 (20.0% ), 생계 곤란 (14.5% )의 순으로 이해하였다. 여기에서 생 계 곤란으로 인해 지속적인 직업교육훈련이 불가능한 것은 이들 기관의 주 된 교육 대상층이 실업자라는 점에서 기인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학습자 들은 바쁜 직장 업무나 일상생활로 인한 시간 부족 이외에도 직업교육훈 련 이수 결과에 대한 사회적 인정도 부족 , 계속 직업교육훈련에 대한 동기 부족 , 직업교육훈련에 대한 부담과 자신감 결여 로 어려움을 겪는다고 기관 운영자들은 인식하였다.

기관 운영자가 직업교육훈련을 운영하는 과정에서 겪는 가장 큰 애로 사 항은 수강생 유치의 어려움 (43.4% ), 재정 부족 (21.2% ), 시설・설비 부 족 (13.6% )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프로그램을 운영하면서 겪는 애로 사항 은 예산・재정 (53.6% ), 시설・장비 (33.2% ), 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의 홍 보 (28.4% ), 프로그램의 현장성 반영 (22.1% ), 우수한 교・강사 확보 (21.9% )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4 ) 발전 방향에 대한 인식

기관 운영자들은 기관의 발전을 위하여 시설・장비의 확대 (31.7% ), 프로 그램의 질 수준 제고 (21.1% ),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설 (13.1% ), 직업교육훈 련 프로그램의 홍보 및 광고 (10.6% ), 지역사회내 기타 기관과의 협력 및 연 계 (10.1% ) 등의 부분에 주력하여 투자할 것을 제시하였다. 또한 정부가 국 민의 평생직업능력 개발을 지원하기 위하여 중점을 두어야 할 사항으로서 직업교육훈련 이수 결과에 대한 사회적 인정 (78.0% ), 직업교육훈련 비용 에 대한 지원 (77.1% ), 직업교육훈련에 대한 안내 및 정보 제공 확대 (75.7% ), 직업교육훈련의 필요성에 대한 홍보 확대 (69.4% ), 직업교육훈련기 관의 질 관리 강화 (67.4% )의 순으로 나타났다.

문서에서 평생 직업교육훈련 종합 대책(I) (페이지 189-1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