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다 . 설문조사

문서에서 평생 직업교육훈련 종합 대책(I) (페이지 27-36)

1 ) 조사 목적

평생 직업교육훈련의 발전적 운영을 위한 과제를 도출하고 정책을 수립하 기 위해서는 직업교육훈련의 참여 실태는 물론 참여 집단들의 인식이나 태 도 등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가질 필요가 있다. 즉, 성인들의 직업교육훈련 에 대한 요구는 어느 정도인지, 어느 정도의 성인들이 어떠한 목적으로 어 떠한 유형의 교육훈련에 참여하고 있는지, 그리고 누가 참여하지 않으며, 참 여에 따른 장애 요인은 무엇인지 등을 전반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이와 함께 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을 직접적으로 개발・시행하는 제공자 (pr ov ider s )인 교육훈련기관은 프로그램의 질이나 내용 설정, 그리고 학습자 의 선택이나 만족도에 중요한 영향을 준다. 이런 점에서 이 연구에서는 어 느 정도의 성인이 직업교육훈련에 참여하고 있고, 학습 기회 접근이 어려운 요인으로는 무엇이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설문조 사를 실시하고, 현행 직업교육훈련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을 파악하기 위하 여 교육훈련에 참여하고 있는 학습자와 기관 운영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2 ) 조사 대상

설문조사는 일반 국민과 현재 직업교육훈련에 참여하고 있는 학습자, 그 리고 교육훈련기관 운영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이 연구 조사에서는 경제활동 연령층인 15~64세의 국민을 일반인으로 설

정하고 성별, 연령별, 지역별을 고려한 다단계 유층 군집 무선표집 방식 (M u lt i - S t ag e S tr at ified R an dom S am plin g )' 으로 1,000명을 표본 추출하여 조사하였다(&lt ;표 I- 1&gt ; 참조). 일반인의 경우에는 우편조사가 어렵다는 점에서 면접 조사원을 통해 대인면접 방식으로 조사를 수행하였고, 면접원 이 조사지를 직접 회수하는 방식으로 실시하였다. 조사의 효율적인 실시를 위해 외부 전문 조사기관에 용역을 의뢰하여 수행하였으며, 100%의 회수율 을 얻었다.

&lt ;표 I- 1&g t ; 일반인의 표집 규모

(단위: 명(% ))

구분 표집 수

성 별 498( 49.8) 502( 50.2)

연 령

10대 11( 1.1) 40대 214( 21.4)

20대 290( 29.0) 50대 110( 11.0)

30대 350( 35.0) 60대 25( 2.5)

지 역

서울 312( 31.2) 강원 20( 2.0)

부산 111( 11.1) 충북 22( 2.2)

대구 75( 7.5) 충남 12( 1.2)

인천 57( 5.7) 전북 32( 3.2)

광주 35( 3.5) 전남 20( 2.0)

대전 36( 3.6) 경북 31( 3.1)

울산 26( 2.6) 경남 39( 3.9)

경기 172( 17.2)

학습자나 기관 운영자의 경우에는 우선 우리 나라의 평생학습기관 중 직 업교육훈련을 실시하는 기관의 규모와 비율을 고려하여 표본을 추출하는 방 식의 할당표집(qu ot a sampling ) 방법을 적용하여 선정하였다. 여기에서는 연 구진이 분류한 평생 직업교육훈련기관의 유형별 규모 및 비율에 근거하여 추출하였으며, 표집한 총 학습자 수는 2,000명이고, 기관 운영자 수는 500명 이다(&lt ;표 I- 2&gt ; 참조).

학습자와 기관 운영자에 대한 조사 방법은 우편조사를 주로 실시하였으 며, 미비한 점은 방문조사를 통하여 보완하였다. 우편조사는 500개 기관을

대상으로 기관별로 기관 운영자용 설문지 1부와 학습자용 설문지 4부를 발 송하여 회수용 봉투를 활용해서 회수하였다. 최종적으로 회수된 학습자용 설문지는 1,725부이고, 기관 운영자용 설문지는 202부로서 회수율이 각각 86.3% , 40.4%를 보이고 있다.

&lt ;표 I- 2&g t ; 학습자 및 기관 운영자 표집 규모

유형 규모 비율 (%) 기관수 학습자수

공무원 및 공공교육연수기관 191 6.6 33 132

직업훈련기관 574 19.9 99 397

산업교육연수기관 239 8.3 42 165

학원과 일반사회교육시설 1,268 43.8 219 877

학교중심(부설) 평생교육기관 452 15.6 78 313

여성평생교육기관 및 단체 168 5.8 29 116

2,892 100.0 500 2,000

3 ) 조사 도구

연구진은 설문 조사를 위하여 일반인, 학습자, 기관 운영자를 대상으로 설 문지 3종을 개발하였다. 설문조사를 위하여 연구진은 국내외의 평생교육 관 련 각종 선행 실태 조사지를 수집・분석하였다. 국내(최돈민 외, 1999; 정지 선・차갑부・전현중, 1999)는 물론 국외(T h e A dult E ducation P articipation S urv ey , E UROS T A T (S t at ist ical Office of t h e Eur opean Com m un it ie s )의 Cont inu in g V ocation al T r ainin g S u rv ey )에서조차 평생 직업교육훈련의 참 여 실태를 분석한 조사 도구가 거의 없다는 점에서 평생학습과 관련된 실태 조사 결과를 참조하였다.

현재 우리 나라의 국민 중 어느 정도의 비율이 어떠한 유형의 직업교육훈 련에 참여하고 있는가를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통계 자료는 없다. 통 계청은 사회통계조사의 일환으로 연간 평생학습 참여율 및 교육이수 일수 를 조사하여 제시하고 있으나, 이는 평생학습에 대한 영역 설정이 모호하고,

타당성이 부족1)하여 직업교육훈련에 대한 참여 실태를 제대로 파악하기가 어렵다.

외국의 경우, 평생학습에의 참여에 대한 실태 분석의 중요성을 강조하면 서도 교육주체의 다양성, 제도적・재정적 운영의 다양성, 학습 요구의 폭, 다양한 학습 내용 등의 어려움(Belang er and Valdivielso, 1997) 등으로 인해 전국적인 수준에서 이루어진 실태 조사 결과는 많지 않다.

일반인 대상의 설문조사 도구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중요하게 고려한 사항 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 대상 일반인의 연령 기준을 경제활동 가능 연령인 15세 이상 에서 64세 이하로 규정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평생 직업교육훈련의 개념 및 범위를 학력이나 학위 취득을 제외한 개인의 직업능력 개발과 관련된 내용 으로 규정하고 있으므로 그 대상을 경제적 활동이 가능한 연령으로 제한할 필요가 있다. UNE S CO (1970)는 성인의 범위를 16세 이상의 연령 소지자로 어떤 시점에서 중단하지 않고 정규 교육훈련을 이수하고 있는 16~25세를 제외한 65세 이하로 규정하고 있다. OE CD (1999)에서는 국가간에 성인의 설 정 범위를 다소 다르게 설정하고 있으나 노동인구 참여율 산정시 보통 15~

64세로 설정하고 있다. 이와 함께 우리 나라의 경제활동인구 가능 연령층은 15~64세로 규정하고 있다. 이와 같은 성인에 대한 국내외의 규정 기준을 참고로 하여 이 조사에서는 일반인을 경제활동 가능 연령으로 설정하였다.

둘째, 일반인의 직업교육훈련 참여 시기는 1997년 7월부터 2000년 7월 현 재까지로 설정하고, 이 기간 동안 직업교육훈련기관에 참여했는지의 경험 여부를 파악하였다. 일반적으로 평생학습의 참여 여부를 조사할 때는 조사

1) 통계청(1999). 한국의 사회지표 : 통계청에서는 평생학습을 직장 연수, 학원 수강, 교양 강좌, 직업훈련, T V・라디오 강좌 청취로 구분하고 해당 학습 참여자의 비 율을 지역별, 성별, 학력별, 직종별로 제시하고 있다. 이 조사는 학습 내용과 방법, 기관의 유형 등이 혼재되어 있어 평생학습 전체를 포괄하고 있지 못하며, 더구나 평생학습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직업교육훈련의 참여 비율을 제대로 파악하기가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시기 1년 전부터 조사시점 현재까지의 1년 동안의 참여 경험을 질문하게 된 다. 그러나 직업교육훈련의 영역은 평생학습의 한 영역을 차지할 뿐만 아니 라, 일반인의 경우에는 직업교육훈련의 참여 경험이 흔하지 않다는 점을 고 려하여 참여 시기를 3년으로 설정하였다. 특히 일반인에 대한 예비조사 과 정에서 참여 경험 시기를 1년으로 제한할 경우, 일반인의 참여 비율이 매우 적고, 이에 따라 학습 경험에 대한 인식이나 만족 여부를 충분히 파악하는 데 한계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일반인의 직업교 육훈련 참여 경험 시기를 3년으로 설정하여 구성하였다.

셋째, 직업교육훈련에 대한 일반인의 인식이나 요구를 파악하기 위하여 가장 최근에 참여한 직업교육훈련으로 제한하여 응답하도록 하였다. 일반인 중 지난 3년간 다양한 직업교육훈련을 경험할 수도 있으며, 참여한 직업교 육훈련의 내용이나 방법, 수준 등이 다양하여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이나 만 족도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응답에 따른 일반인의 혼란을 피하기 위하여 가장 최근에 참여한 직업교육훈련을 중심으로 답변하도록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넷째, 일반인과 학습자 대상의 설문지 개발에서 장애 요인에 대한 항목 구성을 크게 상황적 요인, 제도적 요인, 기질적 요인으로 고려하여 설정하 였다. 선행 연구(Kelly , 1992; Galu sha , 1998; Sm ith an d S purlin g , 1999; 정 태화, 1999: 16) 결과의 분석을 통해 직업교육훈련의 참여에 따른 장애 요 인으로서 ① 상황적 장애 요인에는 교육훈련 비용에 대한 부담, 교육훈련 참여 시간 부족으로, ② 제도적 장애 요인에는 교육훈련 시간, 교육훈련 장 소, 교육훈련 정보 및 프로그램의 부재로, ③ 기질적 장애 요인에는 교육훈 련 동기의 부재, 능력 부족에 대한 인식, 연령에 따른 심리적 좌절 등으로 설정하였다.

넷째, 연구진은 이상과 같은 사항을 고려하여 일반인 대상의 설문지 초안 을 작성하고, 연령, 성별, 직종, 직업 유무 등을 고려하여 15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예비 조사 결과와 관련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여 최종 설문지를 완성하였다.

한편, 학습자용과 기관 운영자용 설문지는 초안을 작성하여 학습자 50명 과 기관 운영자 10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pr e- surv ey )를 실시하였고, 최종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특히 예비조사 과정에서 설문 응답자들이 평생 직업 교육훈련의 개념이나 범위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했던 점을 고려하여 응답자 의 이해를 돕기 위해 설문지에 직업교육훈련 의 개념을 정의하고 구체적인 사례를 제시하였다.

예비조사는 7월 18일부터 7월 28일까지 실시하였고, 본 조사는 8월 1일부 터 8월 30일까지 실시하였다.

4 ) 조사 내용

일반인과 학습자의 경우는 직업교육훈련의 운영 전반에 대한 인식과 요구 를 분석하기 위한 내용으로 설문 조사지를 구성하였고, 이를 통해 참여 집

일반인과 학습자의 경우는 직업교육훈련의 운영 전반에 대한 인식과 요구 를 분석하기 위한 내용으로 설문 조사지를 구성하였고, 이를 통해 참여 집

문서에서 평생 직업교육훈련 종합 대책(I) (페이지 27-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