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건강가정기본법(개정 2011.9.15., 법률 제11045호).

구윤희‧김선권‧심재윤‧원혜성‧이필량‧김암(2006). 출생신고에 근거한 전국 조산율 의 분석 –1995년부터 2003년까지-. 대한산부회지, 49(9), pp.1855~1865.

국민건강보험법(개정 2013.5.22., 법률 제11787호).

국민영양보험법(개정 2010.3.26., 법률 제10191호).

길기철‧이귀세라‧권지영‧박인양‧김사진‧신종철‧김수평(2007). 40세 이상 고령 임 신이 주산기 결과에 미치는 영향. 대한주산회지; 18(2): pp. 125-130.

김경하‧황라일‧윤지원‧김진수(2009). 임부의 산전 진찰 의료이용양상 및 진료비 분석. 보건행정학회지. 19(4), pp.53~65.

김동식‧김영택‧김태희(2011). 고령 임산부의 임신결과 및 정책지원 방안. 서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김상미‧김동식(2012).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출산 결과 및 영아사망에 미치는 영향: 2000년대 초반과 후반을 중심으로. 한국인구학, 35(1), pp.131~149.

김상미‧조영태(2011). 사회경제적 수준에 따른 산모의 고연령이 영아사망에 미 치는 영향: 교육 수준을 중심으로. 보건과 사회과학, 29, pp.69~97.

김상원‧이정주‧김지현‧이재희‧윤신원‧채수안 외(2010). 우리나라 저체중출생아와 이에 관계된 인자의 변화양상, 1995-2007. 대한주산회지, 12(3), pp.282~287.

김태은‧이순표‧박종민‧황병철‧김석영(2009). 건강한 고령 초산모에서 산모 연령 이 임신 결과에 미치는 영향. 대한주산회지; 20(2): 146~152.

뇌기반교육용어사전. 인터넷 주소: http://21erick.org.

대한민국정부(2012). 제2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 2011-2015.

모자보건법(개정 2012.5.23., 법률 제11441호).

이찬열 외 12인(2012.6.13.). 모자보건법 일부개정법률안.

190 저출산‧고령화 대응 인구 자질 향상 방안: 고령 임산부의 출산 실태와 정책 과제

문주영‧한원호‧심계식‧장지영‧배종우(2011). 한국의 출산 산모 연령분포 변화와 고령 산모에서 저체중출생아의 빈도. 대한주산회지, 22(1), pp.30~36.

박상화‧임달오‧윤병준(2005). 출생신고자료를 이용한 만35세 이상 초산부의 조 기분만 위험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지, 30(1), pp.11~16.

박상화‧한정호‧김성민‧구승엽‧김석현(1999). 만35세 이상 임산부에서 조산 발생 위험 인자에 관한 연구 –1996년 인구동태 통계를 중심으로-. 대한산부회 지, 42(7), pp.1416~1412.

박정한‧이주영‧박순우‧박성준(2004). 늦은 첫 임신이 저출생체중 및 조산에 미치 는 영향. 한국모자보건학회지, 8(1), pp.7~15.

박문일(2004). 임신부 관리 현황과 문제점. 한국모자보건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서울: 한국모자보건학회.

박문일‧한동운‧류기영‧윤태형‧이정은, 한현주(2005). 고위험 임신부의 효율적 관 리방안 연구.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건강증진사업지원단.

보건복지부(2012). 마음더하기 –결혼, 임신에서 육아까지 정부지원정책 가이드.

서경(2005). 고령 임신의 위험 및 바람직한 어머니의 출산 연령. 한국모자보건학 회 학술대회 자료집. 서울: 한국모자보건학회.

양영균‧정병욱‧정진국‧이명재‧윤광혁‧신승권(1998). 고령산모에 관한 임상통계학 적 고찰. 대한산부회지, 41(1), pp.34~41.

이경석‧한동훈‧배종우(2011). 한국의 15년간 산모 및 신생아 관련 통계 지표의 변화. 대한주산회지, 22(3), pp.229~236.

이정주(2007). 여성의 첫 출산 연령이 저체중출생아의 출생률에 미치는 영향. 대 한소아과학회지, 50(12), pp.1206~1211.

이종성(2006). 델파이방법. 서울:교육과학사.

이철(1997). 우리나라 저체중아 출생 현황 및 문제점. 한국모자보건학회지, 1(2), pp.223~227.

인구보건복지협회 블로그. 인터넷주소: blog.naver.com/4674219.

장은철‧손은식‧임희택‧김기중‧이호형‧최호준(2002). 만35세 이상 산모의 임신 및 주간기 예후에 관한 고찰. 대한산부회지, 45(5), pp.816~822.

참고문헌 191

저출산‧고령사회기본법. (개정 2012.5.23., 법률 제11444호)

최수란‧김광준‧이순표‧김석영‧윤성준‧이의돈(2003). 40세 이후 고령 산모의 임신 과 출산의 임상적 고찰. 대한산부회지, 46(3), pp.612~616.

통계청. 인구동향조사. 각 연도.

. 인구총조사. 각 연도.

. 주민등록인구통계. 각 연도.

. 출생통계. 각 연도.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복지실태조사. 각 연도.

한정열(2005). 계획임신-건강한 아기 출산을 원하는 엄마들의 선택. 서울: 조선일보 생활미디어.

허혁‧황지영‧김도균‧이형종‧심재철‧양회생(2004). 만35세 이상 고령 산모의 임신 과 출산에 대한 임상적 연구. 대한산부회지, 47(3), pp.458~463.

홍성훈‧김윤진‧최형민‧정병준‧전명권‧이응수(2002). 만35세 이상 고령 산모의 임 신과 출산의 최근 동향에 관한 임상적 연구. 대한산부회지, 45(4), pp.549~553.

황라일‧김경하‧윤지원‧이정석(2011). 만35세 이상 고령 임산부 진료실적 추이에 관한 연구. 보건행정학회지, 21(4), pp.585~598.

Acevedo-Garcia, D., Soobader, M. J., & Berkman, L. F.(2007). Low birthweight among US Hispanic/Latino subgroups: The effect of maternal foreign-born status and education. Social Science &

Medicine, 65(12), pp.2503~2516.

Acevedo-Garcia, D., Soobader, M. J., & Berkman, L. F.(2005). The differential effect of foreign-born status on low birth weight by race/ethnicity and education. Pediatrics, 115(1), pp.20~30.

Astolfi P., De Pasquale A., Zonta L.A.(2005). Late childbearing and its impact on adverse pregnancy outcome: stillbirth, preterm delivery and low birth weight. Rev Epidemiol Sante Publique 53, pp.2S97~2S105.

192 저출산‧고령화 대응 인구 자질 향상 방안: 고령 임산부의 출산 실태와 정책 과제

Astolfi P. and Zonta L.(1999). Risks of preterm delivery and association with maternal age, birth order, and fetal gender.

Hum. Reprod., 14, pp.2891~2894.

Auger, N., Luo, Z-C., Platt, R. W., Daniel, M.(2008). Do mother’s education and foreign born status interact to influence birth outcomes? Clarifying the epidemiological paradox and the healthy migrant effect. Journal of Epidemiology & Community Health. 62, pp.402~409.

Berkowitz G. S. et al. (1993). Does delayed childbearing increase risk?

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69(6), pp.745~746.

Beydoun H, Itani M, Tamim H, Aaraj A, Khogali M, Yunis KA. (2004).

National Collaborative Perinatal Neonatal Network. Impact of maternal age on preterm delivery and low birthweight: a hospital~based collaborative study of nulliparous Lebanese women in Greater Beirut. Journal of Perinatol, 24(4), pp.228~35.

Bronfenbrenner, U. (1979). The Ecology of Human Development:

Experiments by Nature and Design.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Bronfenbrenner, U. & Crouter, A. C. (1983). The evolution of environmental models in developmental research. In P. H.

Mussen (Series Ed.) & W. Kessen (Vol. Ed.),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Vol. 1: History, theory, methods (4th ed., pp.

357~414). New York: Wiley.

Bullard, R. D., Mohai, P., Safa, R., Wright B.(2007). Toxic wastes and race at twenty: 1987-2007:United Church of Christ Racial Justice Ministry Team.

Catov. JM., Bodnar. LM., Olsen. J., Olsen. S. and Nohr EA.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