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고령 임산부에 관해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고 교육하고 홍보하기 위해 서는 무엇보다 과학적인 근거에 기반을 둔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져야 한 다. 우리나라의 경우 고령 임산부를 주제로 하는 선행연구는 많지 않다.

연구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신뢰할만한 자료(data)가 있어야 한다. 현재 발표된 우리나라의 고령 임산부에 관한 선행연구들은 모두 통 계청의 출생통계자료를 사용하거나 병원 단위의 진료기록을 사용하여 이

제8장 정책적 지원 방안 및 결론 175

루어졌다. 본 연구에서는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 · 복지실태조사」

2003, 2006, 2009년 자료를 사용했는데 2003년 자료부터 2009년 자료 에 연속으로 포함된 변수가 제한적이어서 더 많은 설명변수를 회귀분석 에 포함시킬 수 없었다. 또한 의학적 질병 사항이 자료에 포함되어 있지 않아서 통제변수로서 유용한 의학적인 요인들이 배제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자료에는 출생통계자료에서 포함하고 있지 않은, 많은 사회·

경제적 요인들을 설명하는 변수들이 포함되어 있는 현재 사용가능한 유 일한 자료이다. 따라서 국가적 차원의 신뢰할 만하며 많은 설명 변수들을 포함한 자료를 구축하는 일이 무엇보다 선행되어야할 일이라고 본다. 즉, 한국에도 미국의 PRAMS(the Pregnancy Risk Assessment Monitoring System)와 같은 자료(database)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PRAMS의 경우 미국 질병관리본부(the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와 각 주의 Health Department에서 함께 하는 프로젝트로서 가능한 많은 산모(주 별 매년 1,300~3,400명)에게 임신 전, 임신 중, 출산 직후의 산모의 태도(attitudes)와 경험 등 의학적인 요 인과 사회·경제적인 요인들과 기타 여러 가지 요인들을 포함한 임신과 출 산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다. 이렇게 구축된 자료(database)는 지속 적으로 많은 연구의 기초자료로 사용된다. 한국도 미국의 PRAMS를 벤치 마킹(benchmarking)하여 각 지방자치단체에서 실시하고 중앙정부가 수집하는 국가 차원의 임신과 출산에 관련한 신뢰할만한 자료를 구축하 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신뢰할 만한 자 료를 바탕으로 하여 많은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이를 토대로 하여 올바른 정보들이 공유되어야 한다.

또한 모든 고령 임신이 위험한 것은 아니며 관리를 잘 받게 되면 안전 하게 출산할 수 있다는 점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교육이 필요하다. 실제

176 저출산‧고령화 대응 인구 자질 향상 방안: 고령 임산부의 출산 실태와 정책 과제

로 본 연구의 회귀분석 결과를 보면 산모의 고령은 저체중출생아 출산과 조산에 있어서는 다른 여러 요인의 영향력을 통제했을 때 유의미한 위험 요인이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심층 면접 조사의 결과 에서도 볼 수 있었듯이 부정확하고 무책임한 정보로 인해 임산부들은 혼 란스러워하고 있으며 한쪽에서는 과도한 걱정으로 임신 시도 자체를 하 지 않는 경우도 있었다. 더욱이 몇몇 경우는 고령 임신과 출산을 바라보 는 사회의 부정적인 시각에 대해 지적하기도 했다. 따라서 고령 임신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을 해소하고 사회의 부정적인 시각을 제거하기 위한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캐나다의 경우 국가적 차원에서 ‘건강한 임신 전략(Healthy Pregnancy Strategy)’을 세우고 건강한 임신에 관한 국 민 인식을 높이기 위해 여러 캠페인을 벌리고 여러 프로그램을 운영한 다. 한국도 이처럼 전문가들을 통해 합의가 된 내용을 가지고 정확한 정 보를 많은 사람들이 인지할 수 있도록 대대적으로 홍보하는 노력을 강구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TV광고, UCC 공모, 대중 교통을 이용한 광 고, 온라인상의 홍보 배너 광고 등을 활용할 수 있겠다. 많은 가임기 여 성들이, 특히 고령의 가임기 여성들이 제대로 된 임신과 출산에 관한 정 보를 획득하여 고령 임신은 무조건 위험한 임신이라는 인식을 탈피하여 본인의 출산 관련 건강에 대해 정확히 알고 건강한 임신과 출산을 위해 미리부터 관리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도록 하는 대대적인 교육과 홍보가 우선적으로 필요하다고 하겠다.

제8장 정책적 지원 방안 및 결론 177

2. 생애 주기별 대상자 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