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4차산업혁명 시대의 농업 대응전략

문서에서 2018 발간 보고서 요약집 (페이지 115-118)

▶4차산업혁명 시대의 우리농업의 비전은 산업 간 융복합과 민간 혁신역량 강화를 통한 새로운 부 가가치 창출 및 농업의 지속적 성장으로 세웠음.

▶추진전략은 핵심기술 경쟁력을 갖춘 농산업벤처와 스타트업 활성화임. 이를 위해서는 농업부문 벤처캐피탈 등 전문투자기업을 육성하고 기술 거래와 기업 간 인수합병을 활성화해야 함. 또한, 신기술의 공공사업 수요를 창출하고, 신기술을 적용한 테스트베드 산업을 유치할 필요가 있음.

빅데이터와 클라우드 시범사업의 성과를 농업부문에 신속히 적용하고 기업들이 응용할 수 있는 플랫폼이 구축되어야 함. 4차산업혁명 관련 장비-S/W-재료 등 3D 프린팅 관련 중소 농기업 간 협력모델 발굴, 공공수요 창출을 통한 관련 산업 진흥 촉진이 필요함.

▶농업부문에 활용성과 신뢰성이 높은 데이터 공유 플랫폼의 구축이 필요함. 국가차원의 빅데이터 보유기관 간 연계를 강화할 필요가 있음. 미국의 경우 수많은 스타트업 회사들이 날씨, 종자, 토 양 데이터 등을 분석해 농업 생산성을 제고하며, 비용 절감, 수확기 결정 등에 관한 다양한 서비 스를 제공함. 스마트팜 혁신밸리와 같은 비즈니스 허브를 조성하여 사용자 수요에 맞는 충분한 분석 능력을 갖춘 연구 시설 장비를 구축하고, 시설원예 사물인터넷 및 빅데이터 연구 결과를 주 변농가가 활용할 수 있도록 확대할 필요가 있음. ICT 융복합을 통한 스마트농업 실현을 위해서 는 무엇보다 유용하고 표준화된 데이터 구축이 필수적임. 다시 말해 정보 수집 농가 및 품목 확 대, 생산을 포함한 유통·소비의 정보 수집 항목 확대, 기관 빅데이터 정보공동연계 플랫폼 구축 등이 필요함.

▶농업환경과 기술변화에 대응하는 법·제도·규제를 정비해야 함. 농기계 산업의 경우 무인농기계 허가가 핵심 과제임. 농가의 데이터 수집, 공유 및 활용 활성화 신규시장 조기 창출을 위해 개인 정보보호법을 개정하고 규정을 정비해야 함. 사물인터넷 확산으로 생산되는 농가의 빅데이터 공 개, 공유 범위와 방법 등에 관한 가이드라인을 설정하고 데이터 신뢰성 및 안정성을 보장하는 전 문 기관 및 규범 마련이 필요함.

▶글로벌 경쟁력 확보가 가능한 스마트농업분야 R&D에 집중 투자해야 함. 스마트농업과 관련 연 구개발에 있어 관련 부처별 주요 연구분야와 역할을 명확히 하고 체계적인 연구를 위한 협업체 계 구축이 필요함. 농업부문 ICT 융복합 기자재 및 시설, 빅데이터 및 클라우드, 인공지능 및 로 봇 등을 실증할 수 있는 테스트 베드를 구축해야 함.

▶전문연구개발 인력을 포함하여 기술 활용 및 유통 인력 양성이 필요함. 인력과 관련해서는 스마 트농업 관련 전문연구개발 인력뿐만 아니라 기술 활용 인력과 기술 유통 인력의 양성이 필요함.

농업분야의 경우 생육과 환경 데이터를 연계하여 최적의 품목 맞춤형 S/W를 개발하는 전문 인

력과 함께 빅데이터 분석 인력이 필요함. 한편, 정부는 스마트팜 혁신밸리를 통해 2022년 600여 명의 전문 인력을 양성할 계획임. 품목 재배 교육뿐만 아니라, 빅데이터 분석, H/W·S/W 교육을 병행하고 실증단지 참여 기업의 실증 테스트에도 참여할 기회를 제공하여 다양한 기술의 활용 역 량을 키울 필요가 있음. 이를 통해 양성된 전문 인력들에게 창농뿐만 아니라 기술창업 등 여러 갈 래의 취업의 길을 제공할 필요가 있음.

김연중 선임연구위원 TEL_061-820-2256 Email_yjkim@krei.re.kr 강창용 명예선임연구위원 TEL_061-820-2273 Email_cykang@krei.re.kr 이명기 연구위원 TEL_061-820-2166 Email_mklee@krei.re.kr 박지연 부연구위원 TEL_061-820-2330 Email_jiyunpark@krei.re.kr 박영구 전문연구원 TEL_061-820-2270 Email_ygpark@krei.re.kr 추성민 연구원 TEL_061-820-2217 Email_sungmincheu@krei.re.kr

연구 관련 문의

연구자: 황의식, 김수석, 김규호, 최지선, 김태영

지방분권을 위한 농정 추진 체제

문서에서 2018 발간 보고서 요약집 (페이지 115-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