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 진출전략

문서에서 글로벌 화장품 산업 백서 (페이지 87-90)

● SWOT 분석

Strengths Opportunities

- 유럽 주요 브랜드 대비 높은 가성비

- 다양한 고기능성(안티에이징, 피부 보습 및 개선 효과) 제품 포트폴리오

- 잘 가꿔진 피부를 위한 화장품 트리트먼트와 미용 혁신 제품

- 구매수요를 자극하는 독특하고 창의적인 제품 디자인 및 포장

- K-Pop의 인기를 통한 후광효과

- 소비자 제품 후기 및 인플루언서 마케팅에 편승한 입소문 확산

- 온라인 유통망 확대 양상, TV 쇼핑 등도 유망 - 순한 천연화장품에 대한 수요 증가세

- 국내 CPNP 준비 대행기업 확대로 시장 접근성 강화

Weaknesses Threats

- 브랜드 인지도 취약, 유럽 유명 브랜드의 입지가 확고해 경쟁이 심한 편

- 높은 중간 마진율로 국내 판매 가격 대비 높은 가격대 형성

- 해외마케팅에 취약한 국내 기업 다수

- 가격이나 기능성에도 불구하고 시장 양분화로 제품 포지셔닝에 애로

- 약국이나 유기농 전문점 등 유통망 확보 어려움

- 복잡한 규제 및 인증 절차

- 특히 품목별 제품안전성 테스트 의무에 따른 높은 비용 소요

- 중국, 대만. 일본 등의 시장 공략 확대로 경쟁 강화 - 국내 기업간 차별성 없는 제품 난무

- 시장 내 인지도가 높은 유럽산 화장품 선호 경향 - 화장에 큰 관심이 없는 여성 소비자 다대

● (유망품목) 천연화장품·비건·할랄 등 독일 최신 트렌드에 적합한 상품 출시 및 미개척 색조시장 공략

- (천연화장품) 독일은 유럽 최대의 천연화장품 시장으로서, 시장 규모는 10년간 2배 증가

⦁ 해외 브랜드 비중은 적지만, 기존 상품에 천연화장품을 추가하면 시너지 효과 가능 - (비건·할랄) 독일 내 비건 라이프 스타일이 확대되고 있으며, 무슬림 인구가 꾸준히

증가함에 따라 할랄도 틈새시장에서 주류로 확대

- (미개척 색조시장 공략) 현지 트렌드 및 소비자들의 최근 관심사를 분석하여 국내기업이 상대적으로 약한 색조시장 진출 필요*

✽ BB 크림이나 색조화장품의 경우 유럽 소비자는 어두운 피부 톤에 대한 선호도가 높으므로, 이를 고려한 제품을 포트폴리오에 포함시켜 색조시장 공략 필요

- (특화제품 개발) 현재 유럽 시장 내 인지도가 높은 BB 크림, 수분크림, 마스크팩, 천연화장품, 선크림 등 외 특화제품 공급 적극 고려 필요

⦁ 전문 안티에이징 케어나 선케어, 수분케어 또는 연령대별 맞춤형 제품 시리즈 등 특화 제품 공급을 적극 고려한 필요

● (마케팅 전략) 젋은 여성 고객을 타깃으로 한 세련된 디자인 개발 및 인플루언서 마케팅 활용 필요, 개별기업의 브랜드 강화전략 필요

- (제품 디자인) 현지 K-Beauty 트렌드를 중심으로 젊은 여성 소비자가 주 타깃고객이므로 심플하면서도 세련된 디자인이 중요

⦁ 색다르고 독특한 제품 디자인을 통해 관심을 유도하며 가격 대비 고급 제품을 구매한다는 이미지 구축유리*

✽ 단, 과다한 포장으로 환경을 저해한다는 느낌을 주게 되면 오히려 역효과

- (인플루언서 마케팅) K-Beauty 사용자들의 SNS 사용 빈번도가 높으므로, 인스타그램·페이스북·유튜브 등을 활용한 인플루언서 마케팅 효과가 큼.

- (브랜드 포지셔닝) 한국 제품이 대거 공급되면서 브랜드 포지셔닝의 중요성 증대

⦁ ‘K-Beauty’는 많이 알려져 있으나 개별 브랜드에 대한 인지도는 부족한 편, 매력적인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홍보하며 타제품 대비 차별화가 중요*

✽ 특히 유관 전시회나 다양한 기획 이벤트, 인플루언서 등 다양한 통로를 이용한 온·오프라인을 아우르는 통합 마케팅 필요

- (자료 제공) 성분에 민감한 독일 소비자들을 위해 화장품 성분에 대한 상세 정보를 현지어(최소한 영문)로 명시하는 것이 좋음.

⦁ 아울러 각 제품별 성분, 사용법, 효과 등의 정보를 현지어로 제공하는 것도 제품 신뢰도 향상에 큰 효과

⦁ 특히 독일 소비자에게 다소 생소한 국내 화장품 제품 성분에 대한 인식 제고는 신뢰도 향상 및 구매로 직결

● (유통채널) 온·오프라인을 병행한 멀티유통 필수, 코스메틱 스튜디오·호텔·미용실 등 다양한 공급선 발굴 추진 필요

- (멀티유통) 온라인 마케팅에만 집중하기보다는, 제품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오프라인 마켓에 대한 신뢰도가 높은 유럽인들의 특성을 감안한 멀티유통 전략 중요 - (공급선 발굴 확대) 대형 온라인 공급선(Amazon)이나 TV 홈쇼핑 등을 대상으로

적극적인 공급선 발굴 노력 필요

⦁ 이 외에도 점진적으로 코스메틱 스튜디오나 호텔, 온천, 미용실, 네일 스튜디오, 약국 등 미개척 유통 분야 내 수요 발굴 추천

- (PR자료 및 홈페이지) 잠재 유통기업 및 바이어에게 제공하는 자료에 기업의 강점, 상품 랭킹, 주요 시장, 가격, 상품 성분 등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할 필요, 프로페셔널 한 홈페이지 구축이 필수

● (인증) 인증 취득은 기본 조건이나, EU 화장품 인증은 국내기업의 주요시장인 미국·중국·동남아보다 취득 절차가 까다롭고 비용도 높은 편*

✽ 화장품 기업의 EU 인증 취득을 지원하는 기업인 Biorius 관계자 및 주요 바이어와의 인터뷰를 종합

- (요청자료) EU에서는 화장품 인증 발급 전 생산공정, 화장품 성분, 동물실험여부*

등 다양한 자료를 요구하며, 미국·중국·동남아와 요구 자료가 상이*

✽ ’13년 EU 화장품법에 따른 동물실험 금지규정으로 천연화장품을 제외한 대다수 기업의 시장 진입시 가장 큰 장애 요인으로 작용

⦁ EU 시장을 염두에 두고 동 자료를 준비했다면 인증 절차 진행이 쉬운 편이나, 영세 기업들은 그렇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인증 절차가 지체되는 경향

⦁ 특히 직접 생산을 하지 않는 업체의 경우 생산기업을 통해 필요한 자료를 받아야 하는데 이 경우 상당한 시간이 소요*

✽ 인증 절차를 거치지 않고 불법으로 유럽에서 소규모로 판매하는 기업도 있으나, EU 당국의 단속 강화로 벌금이 부과되는 사례 발생. 장기적으로 유럽에서 비즈니스를 희망할 경우 인증 취득은 필수

- (비용 및 절차) 독일을 위시한 EU 시장 내 유통을 위해서는 각 제품별로 제품 안전성평가(Safety Report)를 포함해 CPNP 등록 의무를 준수해야 하는데, 이는 품목별로 이뤄지므로 비용 부담이 큰 편*

✽ 비용뿐만 아니라 수십 페이지에 달하는 분량으로 작성되므로 최초 수입시 큰 애로로 작용하나, 최근에는 국내에서도 대행업체가 다수 설립돼 부담이 다소 감소

- 제품안전성평가는* 시장 진입에 가장 관건이 되는 가장 중요한 기본 전제조건, 현지 바이어와의 신뢰 형성을 위해 적극적인 협력 필요

✽ 다소 많은 비용이 소요되므로, EU 시장 최초 진입 시 비교적 적은 비용이 드는 국가를 통해 진입 후 다른 회원국으로 유통을 확대해 나가는 것도 방법. 단, 일부 회원국의 인증기관의 경우 비용이 적게 드는 대신 AS가 상대적으로 좋지 않다는 평가도 있음.

- (동물실험 금지) 유럽은 EU 화장품 개정(2013년)에 따라 제품에 대한 동물실험금지 규정이 적용되므로 반드시 유의

- (CPNP 등록) 유럽 내 유통을 위해 필요한 CPNP 등록은 EU 회원국 중 1개국에서 등록시 전역에 통용, 따라서 경우에 따라 EU 내 한국산 화장품 등록 현황 파악 및 정보 공유 필요

✽ EU 화장품법 1223/2009에 의거해 2013. 7.11 이후 신규로 EU 시장 내 유통되는 화장품은 사전에 의무적으로 화장품 등록 포탈 CPNP(Cosmetic Products Notification Portal)에 등록 필요

- (천연화장품 인증) 시장 내 입지를 구축한 기존의 천연화장품 브랜드에 대한 경쟁력 강화를 위해 현지 시장 내 천연화장품 인증 취득을 통한 소비자의 신뢰도 제고 필요

문서에서 글로벌 화장품 산업 백서 (페이지 87-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