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지역사회연구의 의의와 중요성

제1절 지역사회연구의 유형과 연구방법

3. 지역사회연구의 의의와 중요성

○ 지역사회연구는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다양한 목적을 가지고 진행되며, 따 라서 그것이 가지는 의의도 다양하다. 여기서는 순수 학문적 측면에서 지역사 회연구가 가지는 의의와 중요성은 논외로 하고, 현재 한국 사회에 존재하고 있는 중앙과 지방의 관계라는 측면에서 지역사회연구의 의의에 초점을 맞추 고자 한다.

○ 현재 한국 사회가 안고 있는 많은 모순들 중 하나는 ‘서울 중심주의’ 혹은

‘수도권 편중의 지역 불균형 발전’문제이다. 한국 현대사의 전개과정은 권 력과 부와 지식과 여타 사회적 자원이 서울 혹은 수도권으로 집중되는, 그로 인해 수도권과 여타 지역간의 격차가 ‘대한민국은 서울공화국’이라 할 정 도 기형적으로 확대, 심화되는 과정이었다. 지역 불균등 발전이 문제되는 것 은 지역 간에 양적 격차가, 따라서 생활수준의 차이가 점점 벌어지기 때문만 은 아니다. 이보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그 과정에서 개발독재와 맞물려 중앙

12

-집권이 과도하게 추구되어 지역사회의 자율성이 극도로 침해되었다는 점이다 (이윤갑, 2004).

○ 서울과 여타지역의 관계는 ‘중앙’과 ‘지방’, 혹은 ‘중심’과 ‘주변’으 로 표현되고 있다. 양자 간의 관계는 양적 격차뿐만 아니라 질적으로도 지배-종속의 관계로 재편되어 왔다. 그 결과 ‘서울 중심주의’가 심화될수록 여타 지역의 주민들은 삶의 자율성이나 주체성은 더욱 약화되고, 그들의 삶의 터전 이 되는 지역사회 또한 자치권과 개성을 상실하고 서울 혹은 중심을 추수하 는 아류적 존재로 전락하게 되었다. 결국 지방은 정치, 문화적으로 소외되고, 경제적으로도 자기 발전의 전망을 상실한 체 낙후되기에 이르렀으며, 이러한 소외감과 피해의식을 정치권이 교묘하게 악용하면서 망국적인 지역감정이 생 겨나기도 하였다 (이윤갑, 2004).

○ 지역사회연구의 중요성은 우리 사회의 이러한 시대적 흐름과 밀접한 관련을 지닌다. 학계에서 지역사회연구에 관심을 보이기 시작한 것은 1980년대 초였 지만, 연구가 본격화된 시기는 지방자치제도가 부활된 1990년대 중반 이후부 터다. 지방자치제도가 부활되고 지역 사회의 자치문화와 문화적 정체성을 형 성하는 것이 주요한 사회적 의제로 대두되면서 이와 연관해 지역에 대한 사 회과학적, 인문학적 연구가 확대되고 그 과정에서 지역을 연구하는 방법론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게 되었던 것이다.

○ 지역을 연구하는 문제의식은 다양하다. 국토의 균형 개발이라는 관점에서 지 역을 연구하기도 하고, 지역의 특수한 생태계나 고유한 문화적 전통 혹은 개 성을 해명하고 부각시키기 위해 연구하기도 한다. 중앙 정부의 정책을 보다 효과적으로 시행하기 위해 지역의 특수성을 연구하기도 하고, 지역사회의 자 율성을 개발하고 지역 내에 잠재된 물적, 인적, 역사 문화적 자원을 발굴하기 위해 연구하기도 한다. 또한 특정 지역을 정치적, 경제적 공략대상으로 삼고 보다 효과적인 방도를 찾기 위해 이루어지는 연구도 적지 않다. 지역에 대한 이러한 다양한 문제의식과 연구 방법은 그 나름의 장점과 한계를 지니기 때 문에 무조건적으로 어느 하나만을 취해 그것을 최선이라 고집할 수는 없다.

13

-○ 그러나 그 어떤 문제 의식을 가지고 지역사회연구를 수행하다고 하더라도, 중 앙과 지방 간에 존재하는 권력과 자원의 불균형 문제로부터 자유로울 수는 없을 것이다. 그리고 바로 이것이 현 시대 지역사회연구의 초점이 지방자치 및 지방분권화에 맞추어질 수밖에 없는 이유이기도 하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어떻게 하면 중앙과 차별화되는 지역 혹은 지방만의 특수성과 고유성을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예술적 차원에서 발견하고 발전시켜나가야 한다는 규범적 과제를 안게 되는 것이다. 뒤에서 살펴보겠지만, 실제로 최근에 이루어지는 대부분의 지역사회연구가 가치 중립적인 성격보다는 규범적이고 실천적인 성 격을 띠는 경향을 보이고 있는데, 이 또한 이러한 맥락에서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것이 바로 현 시대에서 지역사회연구가 가지는 의의와 중요 성이기도 하다.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