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전문가 인식조사의 빈도분석 결과

제2절 인식조사 분석 및 정책적 시사점

2. 전문가 인식조사의 빈도분석 결과

1) 지역사회 연구가 필요한 이유

○ “귀하께서는 왜 ‘대전지역사회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라는 질문에 대하여 응답자의 81.3%(26명)는 지역정체성 및 공동체 형성에 응답했 으며, 지역문화발전 12.5%(4명), 지역산업발전 및 관광자원 발굴 3.1%(1명), 기 타 3.1%(1명)의 순으로 응답했다.

○ 다수의 응답자들은 지역사회 연구활동이 필요한 이유를 산업또는 경제적인 측면보다는 지역의 정체성 및 공동체 형성 그리고 지역문화 발전에 필요하다 는 의견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84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누적퍼센트

유효

지역정체성 및 공동체

형성

26 76.5 81.3 81.3

지역문화

발전 4 11.8 12.5 93.8

지역산업발 전 및 관광자원

발굴

1 2.9 3.1 96.9

기타 1 2.9 3.1 100.0

합계 32 94.1 100.0  

결측 시스템

결측값 2 5.9    

합계 34 100.0    

표 4-7. 지역사회 연구가 필요한 이유

2) 지역사회 연구가 활발한 분야

○ “귀하께서는 현재 가장 활발한 ‘대전지역사회 연구분야’는 어디라고 생각 하십니까?”라는 질문에 대하여 응답자의 32.3%(10명)는 경제(산업)라고 응답 했으며, 29%(9명)는 도시(지리포함)와 환경에 응답했다. 이 밖에 전통문화(문화 재, 민속) 12.9%(4명), 역사와 인물이 각각 9.7%(3명), 문학과 예술, 시민 삶이 각각 3.2%(1명)를 차지하였다.

○ 다수의 응답자들은 대전의 지역사회 연구가 타 분야에 비해 지역의 경제(산 업) 및 도시(지리포함)와 환경분야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제시하였 다.

85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누적퍼센트

유효

역사와

인물 3 8.8 9.7 9.7

정치 3 8.8 9.7 19.4

경제(산업) 10 29.4 32.3 51.6

전통문화(

문화재, 민속)

4 11.8 12.9 64.5

문학과

예술 1 2.9 3.2 67.7

도시(지리 포함)와

환경

9 26.5 29.0 96.8

시민 삶 1 2.9 3.2 100.0

합계 31 91.2 100.0  

결측 시스템

결측값 3 8.8    

합계 34 100.0    

표 4-8. 지역사회 연구가 활발한 분야

3) 지역사회 연구가 가장 중요한 분야

○ “귀하께서는 향후 가장 중요한 ‘대전지역사회 연구분야’는 어디라고 생각 하십니까?”라는 질문에 대하여 응답자의 43.8%(14명)은 시민 삶에 응답했으 며, 도시(지리포함)와 환경 18.8%, 역사와 인물, 문학과 예술이 각각 15.6%(5 명), 경제(산업) 분야가 6.3%(2명)으로 나타났다.

○ 디수의 응답자들은 향후 지역사회 연구 분야에 있어 시민 삶과 도시와 환경 의 중요성을 지적하였는데, 이는 현재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경제(산업) 분 야의 수준으로 지역 시민의 삶의 질 증대를 위한 연구를 우선순위로 선정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86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누적퍼센트

유효

역사와

인물 5 14.7 15.6 15.6

경제(산업) 2 5.9 6.3 21.9

문학과

예술 5 14.7 15.6 37.5

도시(지리 포함)와

환경

6 17.6 18.8 56.3

시민 삶 14 41.2 43.8 100.0

합계 32 94.1 100.0  

결측 시스템

결측값 2 5.9    

합계 34 100.0    

표 4-9. 지역사회 연구가 가장 중요한 분야

4) 지역사회 연구의 파급효과가 가장 중요한 분야

○ “귀하께서는 다양한 분야에 대한 ‘대전지역사회 연구’가 대전지역사회에 미칠 파급효과 중에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라는 질문 에 대하여 지역사회 정체성 형성이 43.8%(14명)로 가장 높았고, 지역공동체 강화 25%(8명), 지역의 문화다양성 증진 12.5%(4명), 지역 관광자원 형성(스토 리텔링등) 9.4%(3명), 지역문화산업 발전 6.3%(2명), 지역문화예술 발전 3.1%(1 명)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 대다수의 응답자들은 지역사회 연구의 파급효과가 가장 중요한(큰) 분야로 지 역사회의 정체성 형성과 지역공동체의 강화를 지적하였는데, 향후 지역성 증 진과 지역공동체 강화 등에 초점을 맞춘 분야를 발굴하여 지역사회 연구에 매진하도록 하고, 이를 지역사회에 파급하기 위한 다양한 활동이 요구된다.

87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누적퍼센트

유효

지역사회 정체성

형성

14 41.2 43.8 43.8

지역공동

체 강화 8 23.5 25.0 68.8

지역문화

예술 발전 1 2.9 3.1 71.9

지역문화

산업 발전 2 5.9 6.3 78.1

지역 관광자원 형성(스토 리텔링등)

3 8.8 9.4 87.5

지역의 문화다양 성 증진

4 11.8 12.5 100.0

합계 32 94.1 100.0  

결측 시스템

결측값 2 5.9    

합계 34 100.0    

표 4-10. 지역사회 연구의 파급효과가 가장 중요한 분야

5) 지역사회 연구 활용의 필요성

○ “‘지역사회 연구’의 활용이란, 대전지역사회 연구 결과물들이 다양한 방식 의 자료나 콘텐츠로 제공되어 지역주민들이 향유함으로서 지역 정체성과 자 긍심을 강화하며, 지역의 문화산업과 관광발전 등을 위한 문화자원으로 사용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대전지역사회 연구’의 활용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라는 질문에 대하여 응답자의 97%(33)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보였으며, 필요하지 않다는 의견을 보인 응답자는 2.9%(1명)에 불과했다.

○ 대다수의 응답자들은 지역사회 연구를 지역의 정체성 및 자긍심 강화, 지역

88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누적퍼센트

유효

매우 필요하지

않다

1 2.9 2.9 2.9

필요하다 13 38.2 38.2 41.2

매우

필요하다 20 58.8 58.8 100.0

합계 34 100.0 100.0  

산업발전의 일환으로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는 것에 전적으로 동의 하고 있다.

표 4-11. 지역사회 연구 활용의 필요성

6) 연구주체간 거버넌스의 현재모습과 향후 중요성

○ “지역연구에 필요한 ‘거버넌스 환경’이 마련되었는가?”라는 질문에 대하 여 응답자들의 의견을 분석해보면, 거버넌스 환경이 마련되었다에 저조하다는 의견이 62.5%(20명), 보통 31.3%(10명), 활발하다 6.3%(2명)로 나타났다. “향후 거버넌스 환경 마련의 중요성”에 대하여 응답자의 90.7%(29명)가 중요하다는 의견을 보였으며, 중요하지 않다 6.3%(2명), 보통 3.1%(1명)로 나타났다.

○ “연구자간 ‘정보획득 및 자료공유 여건’이 마련되었는가?”라는 질문에 대 하여 응답자의 78.2%(25명)는 저조하다는 의견을 보였으며, 보통 43.8%(14명), 활발하다 3.1%(1명)로 나타났다. “향후 정보 획득 및 자료공유 여건 마련의 중요성”에 대하여 응답자의 96.9%(31명)가 중요하다는 의견을 보였으며, 3.1%(1명)가 보통의 의견을 나타내었다.

○ “연구주체간 지역연구를 위한 ‘통합적 연구환경’이 구축되었는가?”라는 질문에 대하여 응답자의 81.3%(26명)는 저조하다는 의견을 보였으며, 보통 31.3%(5명), 활발하다 6.3%(1명)로 나타났다. “향후 통합적 연구환경 구축의 중요성”에 대하여 응답자의 87.5%(28명)가 중요하다는 의견을 보였으며, 보

89 -통이 12.5%(4명)로 나타났다.

○ “연구주체간 지역연구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 형성’이 이루어졌는가?”

라는 질문에 대하여 응답자의 53.1%(17명)가 저조하다는 의견을 보였으며, 보 통이 34.4%(11명), 활발하다가 12.5%(4명)로 나타났다. “향후 공감대 형성의 중요성”에 대하여 응답자의 90.6%(29명)가 중요하다는 의견을 보였으며, 보 통이 9.4%(3명)로 나타났다.

○ “연구주체간 ‘동등한 권한’을 보유하고 지역연구에 참여하고 있는가?” 라 는 질문에 대하여 응답자의 78.1%(27명)가 저조하다는 의견을 보였으며, 21.9%(7명)가 보통이다에 응답했다. “향후 지역연구 참여에 있어 동등한 권 한 보유의 중요성”에 대하여 응답자의 90.6%(29명)가 중요하다는 의견을 표 했으며, 보통이다 6.3%(2명), 중요하지 않다(3.1%) 순으로 나타났다.

○ “연구주체간 지역연구에 있어 ‘활발한 소통’이 이루어지고 있는가?”에 대 한 질문에 대하여 응답자의 71.9%(23명)가 저조하다는 의견을 보였으며, 보통 이다가 28.1%(9명)로 나타났다. “향후 연구주체간 활발한 소통의 중요성”에 대하여 응답자의 90.6%(29명)가 중요하다는 의견을 보였으며, 보통이다가 9.4%(3명)로 나타났다.

○ “연구주체간 상호작용을 독려하기 위한 ‘모니터링체계’가 구축되었는가?”

에 대한 질문에 대하여 응답자의 71.9%(23명) 저조하다는 의견을 보였으며, 27.1%가 보통이다에 응답했다. “향후 상호작용을 독려하기 위한 모니터링체 계의 중요성”에 대하여 응답자의 87.5%(28명)가 중요하다는 의견을 보였으 며, 보통이다 9.4%(3명), 중요하지 않다 3.1%(1명)의 순으로 나타났다.

90

91

-구분 현재 미래 미래-현재

거버넌스환경 2.16 4.41 2.25

정보획득 및 자료공유 여건 1.91 4.59 2.69

통합적 연구환경 1.75 4.41 2.66

공감대 형성 2.44 4.53 2.09

동등한 권한 1.94 4.50 2.56

활발한 소통 2.00 4.66 2.66

모니터링체계 1.91 4.47 2.56

○ 지역사회 연구 활성화에 요구되는 조건으로서 연구주체간 거버넌스의 현재모 습을 살펴보면, 전반적으로 많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7개의 항목 을 5점 평균점수로 환산하여 보면, 최소 1.75점에서 최대 2.44점으로 나타났 다. 향후, 연구주체간 거버넌스의 항목별 중요성을 살펴보면, 최소 4.41점에서 최대 4.66점까지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향후 지역사회 연구의 활성화에 있어 연구주체간 거버넌스의 중요성을 나타냄과 동시에 현재 거버넌스의 모습이 많이 미흡하다는 것을 반증해주며, 향후 연구 거버넌스 개선의 필요성이 비교 적 높다는 것을 제시하는 점이다.

표 4-13. 지역사회 연구 거버넌스의 현재와 미래

92

-그림 4-1. 지역사회 연구 거버넌스의 현재와 미래

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