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지역사회연구의 개념과 유형

제1절 지역사회연구의 유형과 연구방법

1. 지역사회연구의 개념과 유형

○ 지역사회연구는 흔히 지역학, 혹은 지역연구라는 용어와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보다 엄밀하게 말한다면, 지역사회연구는 지역학 혹은 지역연구 와 다른 개념으로서, 일반적으로 이 둘보다 협의의 개념으로 볼 수 있다.

○ 먼저 지역학(regional science)이라는 개념과 지역연구(regional studies or area studies)라는 개념을 구분한다면, 지역학은 하나의 학문분야(discipline)을 의미 하며, 특정한 지역의 정치, 경제, 사회, 지리, 역사, 문화 등을 종합적으로 연 구하는 학문이라고 할 수 있는데, 그 뿌리는 경제학에 두고 있다. 지역 경제 학을 연구하던 학자들이 지역 경제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경제 적 측면만이 아니라 그 지역의 다양한 측면을 종합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 음을 인식하여 지역학이라는 학문이 탄생된 것이다. 지역학의 연구 대상은 국 제 지역과 국내 지역 모두가 될 수 있지만, 실제로는 국내 지역 연구에 초점 을 맞추고 있다.

○ 한편 지역연구는 주로 정치학에서 많이 사용하는 용어로서, 이는 하나의 학문 분야라기보다는 비교정치학의 한 영역으로 특정 국가나 지역에 초점을 맞추 어 정치, 경제, 사회 시스템을 역사, 문화, 종교, 문화, 언어 등 다양한 각도에 서 분석하는 종합적 연구기법을 의미한다. 이러한 지역연구에서 지역은

“region”보다는 “area”를 의미하며, 주요 연구 대상 또한 국내 지역이 아 니라 해외 지역이다. 예를 들어, 미국 연구, 유럽 연구, 아프리카 연구, 중남미

8

-지역 연구 등이다. 비록 -지역학과 연구 대상의 수준이 다르기는 하지만, 종합 적인 연구방법을 강조하고 사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둘은 분명한 공통점을 가 지고 있다.

○ 지역사회연구(regional studies or community studies)는 주로 사회학적 관점을 중시하면서도 정치, 경제, 역사, 문화 등 다양한 관점을 포함하는 종합적인 연 구 분야라고 할 수 있다. 그 주요 연구 대상은 해외 지역이 아니라 국내 지역 이며, 특정 지역 내의 사회(정치, 경제, 문화 등을 포함하는 넓은 의미의 사회) 관계와 사회 구조 등을 통합적으로 연구한다.

○ 지역사회연구의 정의, 그리고 연구의 대상, 범위, 방법론에 대해서는 분명하게 합의된 바가 없다. 그러나 한 연구자에 따르면, 지역이라는 개념이 가지는 세 가지 의미에 따른 유형 구분이 가능하다(김영정, 2014). 김영정은 먼저 지역 개념을 가치 중립적인 물리적 장으로서의 지역(region) 개념, 중앙에 대비되는 지방(local) 개념, 그리고 주로 맑시즘의 관점에서 물리적 경계를 넘어서는 영 역이라는 의미를 가진 공간(space) 개념으로 분류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일상적인 용어로 쓰일 때 상호 호환 가능한 이 개념들이 학술적 용어로 쓰일 경우에는 각기 상이한 관점과 의미를 함축하고 있기 때문이다.

○ 먼저‘지역(region)’이라는 개념은 ‘지리적으로 위치 지워진 사회적 활동의 물리적 장’이라는 가치중립적 의미를 갖는다. ‘지역’을 이런 뜻으로 사용 할 때 ‘지역사회’ 연구는 사회활동의 장으로 물리적 경계(한계)를 지니고 있는 ‘공동체’(community)에 대한 연구를 뜻한다. 이는 가장 오래된 전통적 인 지역사회연구로서 사회학과 정치학 분야에서의 공동체 권력 연구, 농촌사 회학 등이 포함된다.

○ 두 번째 지방(local)은 중앙과 대비되는 개념으로 (중앙)권력이 행사되는 장소 를 이른다. 따라서 ‘지방’은 중립적 개념인 ‘지역’과는 대비되는 (피)권력 의 속성을 내포한 개념으로 이해된다(이은진, 1999). 그러나 실제적으로는

‘지방’의 현실을 다루는 경우라도, 그것을 ‘지방’ 문제라고 개념화하지 않고, ‘지역’ 문제라고 개념화한 경우가 많다. 이런 경향은 그동안 지역연

9

-구의 대부분을 지방(대학)의 학자들이 주도해온 사실과 관련이 있다. 그들의 거주 ‘지역’이 바로 ‘지방’이었기 때문에 두 용어의 차이를 구별하지 않 고 사용해 왔다는 것이다(김영정 2014).

○ 그러나 이처럼 지역(region)과 지방(local)을 동일 개념으로 간주함에 있어서 한 가지 유의할 사항이 있다. 특히 영국의 경우 ‘region’은 ‘광역의 행정·

경제·환경· 복지정책 등이 구현되는 단위(대지역 또는 광역)’를 뜻하는 물 리적 장소 개념으로, ‘local’은 그보다 규모가 작은 공간적 정책 단위(소지 역)를 의미하는 개념으로 사용된다. 어느 정당이 집권하느냐에 따라 지역정책 의 방향과 내용이 확연하게 달라졌던 영국에서 역대 정부의 공간정책의 차이 를 설명해 주는 개념으로 양자는 뚜렷한 의미 차이를 가진다. 역사적으로 보 수당이 집권할 경우 중앙정부는 대체로 local, 즉 소지역 단위의 지역정책을 추구하며(이를 localism(소지역주의)라고 함), 노동당이 집권한 시기에는 region, 즉 광역 단위의 지역정책이 추진되는 관행(이를 regionalism(대지역주의)라고 함)이 확립되어 있다(김영정, 2014).

○ 보수당이 localism을 선호하는 이유는 사회정책의 근간 이념으로 시장에 기초한 개인의 자유와 창의성을 존중하며, 지역적으로 잉글랜드 남부 농촌지역의 지지 를 받아 오고 있기 때문이다. 반면, 시장 실패의 가능성과 그에 대한 정부의 교 정을 사회정책 이념의 근본으로 삼고 있고, 대도시 지역의 노동자와 서민들의 지지를 받아온 노동당이 regionalism을 선호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 한편 ‘지역’ 및 ‘지방’과 더불어 지역연구의 또 다른 대상으로 부상한

‘공간(space)’이라는 개념은 정치경제학적 지역연구의 관점을 함축하고 있 는 것으로 공동체적 생활양식은 물론 자본주의적 법칙이 창출되고 구현되는 영역으로 때로는 물리적 개념을 초월하는 의미로 사용된다(김영정, 2014)

○ 지금까지의 논의를 종합할 때, ‘지역사회연구’는 일정한 범위의 지리적 장 소(place)의 문제를 (1) 가치중립적 입장에서 접근하는 ‘region 연구’, (2) 중 앙과의 비대칭적 권력관계에 기초하여 문제를 바라보는 ‘local 연구’, (3) 정 치경제학적 공간이론의 관점에서 문제에 접근하는 ‘space 연구’ 등 세 가

10

-지 형태로 범주화할 수 있을 것 같다. 이것은 -지역문제를 바라보는 연구자의 관점과 이론적 지향의 차이를 반영한 분류체계이다(김영정,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