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지역단위 6차산업화 네트워크 특성

문서에서 지역단위 6차산업화 활성화 방안 (페이지 126-136)

2.1. 지역단위 6차산업화 네트워크 분석 방법

지역 산업 육성에 관한 연구에서는 생산활동의 공간집적과 더불어 지역 내 주체들의 상호작용 결과로 나타나는 네트워크의 특성과 그 변화에 대해 주목한다. 지역 산업 가치사슬에 참여하는 주요 행위 주체들의 상호작용 결 과로 나타나는 네트워크는 생산활동의 성장을 결정짓는 요인이자, 네트워크 구조의 특성 자체가 지역 산업구조의 건전성을 보여주는 지표로 간주된다 (Boggs & Rantisi 2003; Glückler 2007; Ter Wal 2010). 따라서 지역의 산업 구조 진화과정을 살펴보기 위해 생산활동 주체 및 지원 주체 간 네트워크의 변화를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지역산업 네트워크의 구조를 분석한 연구들 에서는 네트워크 구조의 다양성이나, 산업 성장 과정에서 나타나는 네트워크 구조 내 주체들의 위상 변화 등에 주목하여, 지역 산업 육성 관련 시사점과 정책 과제를 제시한다(이경진 2011; Rutherford & Holmes 2008).

이에 이 연구에서는 먼저 면접설문조사 결과를 통해 6차산업 관련 생산 활동의 착근을 확인하고, 지역단위 6차산업화 정책에서 강조되는 지역 내 주체 간 집합적 활동의 저변과 관련하여 기업 지원 네트워크의 변화를 분 석하였다. 이 분석에서 기업 지원 네트워크는 판매, 홍보·마케팅, 연구개발 등 직접적인 거래 관계 외의 경영활동 네트워크로 정의하고, 제조업체에 대한 면접설문조사를 통해 3년 전과 현재의 주요 연계 주체를 조사하여 분 석에 활용하였다.

네트워크 분석은 사회연결망분석(Social Network Analysis) 방법을 활용 하여, 지역별 6차산업화 관련 기업 지원 네트워크의 구조 및 특성 변화를 살펴보았다. 사회연결망분석 방법론은 네트워크 구조 내 노드(주체)들이 형성하는 연계망 구조 속에서 주체 간 상호작용을 시각화하고 전체 네트워 크 구조 및 개별 주체들의 특성을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연구 방법이다(유 선희·이용호·원동규 2007: 697).

지역(영동군) 내 비중 25% 이하 25~50% 50~75% 75~100% 100%

원료 구매 - - - 6.7% 93.3%

제품 판매 33.3% 40.0% 6.7% 13.3% 6.7%

기업지원 서비스 - - - - 100%

제품개발 - - - 6.7% 93.3%

자료: 설문조사.

네트워크 밀도 및 중심성 지수를 활용하여, 전체 네트워크 구조의 변화 와 지역별 기업 지원 네트워크의 중추를 담당하는 기관을 살펴보고, 기관 별 위상 변화를 살펴보았다. 네트워크 분석 프로그램인 NetMiner 4.0을 활 용하여, 지역별 6차산업 네트워크 구조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면접설문조 사 결과를 활용하여 3년간 연계망의 변화를 살펴보았는데, 네트워크 밀도 변화를 통해 구조의 변화를 살펴보고, 연결중심성 및 매개중심성 지수를 기준으로 주요 주체들의 위상 변화를 살펴보았다.

2.2. 6차산업 네트워크의 진화

2.2.1. 6차산업 경영체의 입지 요인 및 거래관계 착근

지역단위 6차산업화 관련 경영체의 입지 및 집적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 해 6차산업 경영체들의 입지요인에 대해 살펴보았다. 6차산업 경영체는 입 지 과정에서 저렴한 지대와 더불어 거래 업체와의 근접성 등 지역 내 거래 관계를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그림 4-1>.

아울러 6차산업 경영체들은 원료 구매 및 제품 판매 등 직접적인 생산활 동과 관련하여 지역 내 주체들과의 관계가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4-5>.

<표 4-5> 충북 영동 와이너리의 지역(영동군) 내 거래 관계 비중

<그림 4-1> 지역별 6차산업 경영체 입지요인(복수응답)

지역 없음 사업의

네트워크 밀도 경영체당 평균 연계

3년 전 현재 3년 전 현재

순창군 0.012 0.018 0.712 1.017

영동군 0.058 0.068 2.500 2.909

하동군 - - -

-서천군 0.124 0.133 1.733 1.867

자료: 설문조사.

증감을 확인하였다. 네트워크 밀도는 지역 내 주체들의 가능한 연계의 전 체 수 대비 실제 연계된 링크의 비율을 통해 측정하는 지수이며, 네트워크 밀도가 증가하였다는 것은 주체 간 연계 횟수가 증가하였음을 의미한다(김 용학 2004).15

면접 조사결과 6차산업과 관련하여 하동군을 제외한 지역에서 지역 내 경영체와 지원기관 간, 경영체 간 네트워크 밀도가 증가하였다. 지역 내 주 체 간 기업 지원 네트워크가 성장하였음을 의미한다. 아울러 개별 주체의 평균 연계 횟수를 살펴보았는데, 이 역시 하동군을 제외한 지역에서 모두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4-8> 지역별 6차산업 지원 네트워크 밀도 및 평균 연계 변화

네트워크 중심성 지수를 도출하여 지역별 네트워크 변화에서 나타나는 특성을 살펴보았다. 네트워크 중심성 지수 중 직접적인 연결빈도를 의미하 는 연결중심성16 지수와 주체 간 연계를 중개할 확률을 의미하는 매개중심 성 지수를 활용하였다.17 하동군을 제외하고 기업 지원 네트워크의 중추기

15 이 연구에서 네트워크 밀도는 개별 지역에서의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를 측 정하는 기준으로만 활용가능하며, 지역 간 네트워크 밀도의 차이는 비교하기 어렵다.

16 주체 의 연결중심성 지수    

가 맺는 연계 빈도 수

17 주체의 매개중심성 지수      

  



,

연결중심성 매개중심성

3년 전 현재 3년 전 현재

순창군청 0.0172 0.0172 0.0000 0.0000

순창군 농업기술센터 0.0517 0.1034 0.0200 0.0605

고추장정보화마을 0.1552 0.1379 0.0762 0.0835

순창고추장마을 영농조합 0.0517 0.1207 0.0417 0.1131

순창농협 연합사업단 0.0517 0.0862 0.0200 0.0544

전통고추장협회 0.0345 0.0517 0.0006 0.0018

자료: 설문조사.

관은 그 유형이 지역에 따라 다양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통적으로 제조 업체 간 협의체 성격을 지니는 조직의 위상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순창군의 경우 3년 전 지역의 집합적 활동에 관한 네트워크가 고추장정 보화마을을 중심으로 형성되었으나, 현재 고추장마을 영농조합, 순창군 농 업기술센터, 순창농협 연합사업단 등의 다양한 지원 주체들의 역할이 강화 된 것으로 나타났다.

개별 주체들의 네트워크 중심성 지수 변화를 살펴보면, 순창군 농업기술 센터와 순창고추장마을 영농조합의 연결중심성 지수 증가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매개중심성 지수의 경우도 동일한 결과를 보였다. 이는 이 주체들이 순창군 6차산업 네트워크에서 차지하는 위상이 높아졌음을 보여준다.

<표 4-9> 순창군 주체별 네트워크 중심성 지수 변화

 = 주체 , 사이에 존재하는 최단거리 경로 수

 = 주체 , 최단거리 사이에 기관이 위치한 수 (g-1)(g-2)/2 =기관을 제외한 나머지 주체 간 연계 수

<그림 4-2> 순창군 6차산업 지원 네트워크(3년 전)

자료: 설문조사.

<그림 4-3> 순창군 6차산업 지원 네트워크(현재)

자료: 설문조사.

연결중심성 매개중심성

3년 전 현재 3년 전 현재

와인연구회 0.4651 0.5581 0.3575 0.5384

영동군 농업기술센터 0.3256 0.3953 0.1742 0.3053

유원대학교 0.2558 0.2791 0.1357 0.1792

영동와인연구소 0.0465 0.0465 0.0009 0.0009

영동와인유통협동조합 0.0698 0.0698 0.0360 0.0437

영동와인협회 0.0465 0.0698 0.0354 0.0853

포도작목반 0.0465 0.0465 0.0011 0.0011

자료: 설문조사.

영동군의 경우 영동군 농업기술센터와 와인연구회를 중심으로 기업 지 원 네트워크가 성장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경영체당 지역 내 주체 와의 연계빈도는 다른 지역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네트워크 중심 성 지수 변화를 살펴보면, 와인연구회의 연결중심성 지수가 가장 높은 것 으로 나타났으며, 뒤를 이어 영동군 농업기술센터와 유원대학교의 중심성 지수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과거와 비교할 때, 와인연구회와 영동군 농업 기술센터, 유원대학교의 위상은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가운데, 주체별 중심 성 지수는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들 기관을 중심으로 경영체들의 네트 워크 참여가 확산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전문가 면담조사 결과, 와인 제조업체와 지역 내 지원 주체 간 공동학습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와인연구회와 농업기술센터 등 지역 내 협의체 및 지원기관을 매개로 와인제조업체들이 공동학습을 수행하는 가운데, 새로운 기술의 적 용이나 제품 개발 등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4-10> 영동군 주체별 네트워크 중심성 지수 변화

<그림 4-4> 영동군 6차산업 지원 네트워크(현재)

자료: 설문조사.

영동군의

6

차산업 설문조사 결과에서 주체 간 연계가 활발하게 나타나 는 것으로 조사된 이유는

, 6

차산업 경영체 대상 교육이 다른 지역보다 활 발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입니다

.

영동군 와이너리들은 와인연구회 등 지역 내 협의체를 중심으로 지속적인 학습을 통해 새로운 기술

,

,

느낌을 소비 자에게 전달하여 부가가치를 창출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

유원대학 교 교수

, 2017. 9. 21.)

서천군은 앞선 지역과 달리 기업 지원 네트워크가 한산소곡주협회를 중 심으로 일원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면접조사에 응답한 모든 소곡주 제조업 체가 한산소곡주협회에 한정하여 연계를 맺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전문가

면담조사 결과 한산소곡주협회를 중심으로 한 협력관계는 개별 경영체들 이 품질 개선 등 역량 강화를 위한 목적에서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향후 품질 향상 및 브랜드 가치 제고를 위한 높은 수준의 협력 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그림 4-5> 서천군 6차산업 지원 네트워크(현재)

자료: 설문조사.

소곡주 제조업체들이 한산소곡주협회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은 제

품 경쟁력이 낮고

,

품질을 높이기 위한 기술력이 떨어진다고 판단하고 있

기 때문입니다

.

특히

,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제품 경쟁력이 낮다고 인식하

고 있으며

,

협회는 제품 품질 및 제조 기술을 향상시키는 데 교육을 강화

할 필요가 있습니다

.”(

한산소곡주 제조업체 대표

, 2017. 9. 15.)

하동군의 경우 기업 지원 활동과 관련하여 지역 내 주체와 네트워크를 맺고 있다고 답한 기업은 50개 기업 중 한 곳에 불과하였다. 전문가 면담 조사 결과, 협력 관계를 위한 협의체 등은 일찍이 조직되었으며, 공동 활동 이 부분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설문조 사 결과와 같이 지역 내 협력관계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난 것은 녹차 시장 이 정체기에 접어든 까닭에 지역 내 경영체 간 경쟁이 심화된 것과 관련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하동군의 경우에도

200

여 경영체가 참여하는 녹차 생산자연합회가 조직

되어 있습니다

.

녹차 시장이 전반적으로 침체되어 있기 때문에 지역 내 많

은 문제들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

녹차 시장의 성장이 정체된 까닭에 하동군

내에서도 경영체 간 경쟁이 치열하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

일례로 전통차 품

목의 경우 선도제다업체와 농가 및 중소제조업체 간 판매가격 설정 등에 있

어 갈등이 있습니다

.

또한

,

선도제다업체와 농협 간 차 수매 가격 설정에 있

어서 문제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

하동 제다업체 대표

, 2017. 9. 19.)

문서에서 지역단위 6차산업화 활성화 방안 (페이지 126-136)